· 연구 주제: 오늘날의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경향 분석· 연구 배경: 유행에 관한 연구는 특정 유행 경향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유행 경향에 대해 분석하여 오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 주제: 오늘날의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경향 분석· 연구 배경: 유행에 관한 연구는 특정 유행 경향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유행 경향에 대해 분석하여 오늘�...
· 연구 주제: 오늘날의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경향 분석· 연구 배경: 유행에 관한 연구는 특정 유행 경향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의 유행 경향에 대해 분석하여 오늘날의 유행 스타일을 구분하여 정리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최근 3년간의 세계 4대 컬렉션에 등장한 패션 스타일을 유형화하여 최근의 유행 경향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는 특정 스타일이 최근 컬렉션에 등장한 유형이나 형태에 대해서만 분석하고 있어 거시적 유행 경향 파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유행 중심 도시에서 진행된 컬렉션 전체를 대상으로 스타일 특성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오늘날의 유행 경향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한 내용의 정리· 연구결과: 첫째, 최근 몇 년간의 오버사이즈 경향에 영향을 받은 거대한 실루엣이 지속되고 있다. 둘째, 유행은 재등장한다는 이론에 맞는 20세기 말 스타일이 유행하고 있다. 셋째, 남녀에 구분 없는 젠더리스 스타일이 확장하여 전개되고 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최근의 유행 경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행을 파악하고 차기의 유행을 예측하는 연구의 초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신 ; 김현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경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 (20): 499-512, 2022
2 이교영,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애슬레저(Athleisure)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43-453, 2018
3 이정은 ; 신혜영 ; 이인성,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 디자인 특성 연구 - 2012~2014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529-541, 2015
4 김선영, "현대 여성패션에 나타난 보머 재킷의 조형성과 연출 특성 - 2013S/S~2016S/S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99-111, 2016
5 김경아, "현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재킷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552-563, 2019
6 허예은 ; 하지수,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 (18): 1-19, 2018
7 김종선 ; 하지수, "페르소나 발현 유형에 따른 패션스타일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 (17): 1-19, 2017
8 이재정, "패션, 문화를 말하다" 예경 2011
9 김기현 ; 변혜원, "패션 트렌드의 주기적 순환성에 관한 빅데이터 융합 분석" 한국융합학회 11 (11): 113-123, 2020
10 김미현, "칼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 관점에서 현대 스트리트 패션 디자인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8 : 84-94, 2019
1 엄신 ; 김현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경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 (20): 499-512, 2022
2 이교영,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애슬레저(Athleisure)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443-453, 2018
3 이정은 ; 신혜영 ; 이인성,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 디자인 특성 연구 - 2012~2014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529-541, 2015
4 김선영, "현대 여성패션에 나타난 보머 재킷의 조형성과 연출 특성 - 2013S/S~2016S/S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99-111, 2016
5 김경아, "현대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재킷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21 (21): 552-563, 2019
6 허예은 ; 하지수, "한국의 현대 패션과 젠더 가치관"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 (18): 1-19, 2018
7 김종선 ; 하지수, "페르소나 발현 유형에 따른 패션스타일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7 (17): 1-19, 2017
8 이재정, "패션, 문화를 말하다" 예경 2011
9 김기현 ; 변혜원, "패션 트렌드의 주기적 순환성에 관한 빅데이터 융합 분석" 한국융합학회 11 (11): 113-123, 2020
10 김미현, "칼 로젠크란츠의 추의 미학 관점에서 현대 스트리트 패션 디자인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8 : 84-94, 2019
11 이성호 ; 박찬영 ; 권원오, "유행 및 스키마 이론에 기반을 둔 메소 수준의 의류패션 소비자 세분화 연구" 한국창업학회 14 (14): 123-157, 2019
12 정호진 ; 간호섭, "아르데코 패션에 나타난 도가적(道家的) 패션미학" 한국복식학회 69 (69): 127-140, 2019
13 이지연 ; 김장현, "서울 패션 위크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84-295, 2019
14 김민자, "서양 패션 멀티 콘텐츠" ㈜교문사 2010
15 김혜은,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을 이용한 슬로건 패션 특성 분석 - 2017년 S/S, F/W 컬렉션의 슬로건 패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8 (18): 19-36, 2018
16 "https://www.tchwr.com/"
17 "https://www.artinsight.co.kr"
18 "https://nymag.com/"
19 "http://www.vogue.com"
20 Gilbert, D., "The Hunting of the Fashion City :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the Urban in the Twenty-First Century" 24 (24): 393-408, 2020
21 Black, S., "Fashion in a Time of Crisis" 12 (12): 327-330, 2020
22 Bowstead, J., "Fashion in Turbulent Times : New Technologies Meet New Economic Paradigms" 14 (14): 169-192, 2022
23 Choufan, L., "Fashion You Do Not Own, Fashion You Cannot Feel : Toward a New Paradigm of Sharing Fashion in the Digital Age" 26 (26): 307-328, 2022
24 Bardey, A., "Exploring the Third Gender in Fashion : From Consumers' Behavior to Designers' Approach towards Unisex Clothing" 12 (12): 421-439, 2020
25 DeLong, M., "Designing Fashion's Future, Present Practice and Tactics for Sustainable Change" 13 (13): 324-325, 2021
26 임소영 ; 하지수, "21세기 안티패션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 2000년부터 2020년까지 The New York Times의 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1 (21): 1-19, 2021
상사-부하 관계가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COVID-19 환경에서 업무몰입과 뉴미디어 이용 태도가 재택근무 업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성인 발달장애인의 주관적 비만 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식습관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