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발전과 포스트 코로나 19 대응으로 한층 더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는 다극형 분산형 생산체계를 효율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연관다양성 확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68631
2020년
Korean
지역혁신성장 ; 전략산업 ; 구조고도화 ; 산업 Atlas 모형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발전과 포스트 코로나 19 대응으로 한층 더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는 다극형 분산형 생산체계를 효율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연관다양성 확대를...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발전과 포스트 코로나 19 대응으로 한층 더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는 다극형 분산형 생산체계를 효율적으로 모색하기 위해 지역경제의 연관다양성 확대를 통해 지역산업의 구조고도화와 효율적인 성장경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업 아틀라스(Atla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산업의 전후방연관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산업의 구조고도화 및 성장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0년 이후 정부가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역경제는 지속적인 성장침체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발전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수도권의 지역경제 위기는 기존 주력산업(제조업)의 경쟁력 저하에 기인하고 있으며, 연관산업으로 확산되고 있고, 주변 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경제 전반의 성장침체와 밀접히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혁신생태계 강화를 토대로 기존 주력산업의 구조고도화와 신성장산업 육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산업의 전후방연관구조를 토대로 효율적인 지역경제 및 지역산업의 성장경로 모색이 시급하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지역산업정책은 지역산업의 기반 구축을 목표로 개별 클러스터의 조성 및 경쟁력 강화 방안에 치중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향후 지역산업정책은 지역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주력산업의 구조고도화 및 신성장동력산업 창출을 통해 지역산업의 구조 개편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경제 및 지역산업의 정밀한 진단을 통해 핵심 전략산업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산업의 성장경로 설계가 시급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