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한종임,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학습 활동 개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175-210, 2013
3 손중선김정삼, "창의성과 초등영어교육: 단기기억 메커니즘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고찰" 대한영어영문학회 33 (33): 305-328, 2007
4 노승빈, "창의성과 영어교육의 통합을 위한 교과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61-72, 2007
5 안태연,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39-159, 2014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김지은, "중학생을 위한 영문학 활용 영어연극에 대한 연구: 예비 영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1-179, 2017
8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시안(최종)" 공교육 진흥과 2015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발표"
10 김미진,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성과 중학교육의 정체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8, 2016
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한종임,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학습 활동 개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175-210, 2013
3 손중선김정삼, "창의성과 초등영어교육: 단기기억 메커니즘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고찰" 대한영어영문학회 33 (33): 305-328, 2007
4 노승빈, "창의성과 영어교육의 통합을 위한 교과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61-72, 2007
5 안태연,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39-159, 2014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김지은, "중학생을 위한 영문학 활용 영어연극에 대한 연구: 예비 영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1-179, 2017
8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시안(최종)" 공교육 진흥과 2015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발표"
10 김미진,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성과 중학교육의 정체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8, 2016
11 김현철,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3
12 이재창,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135-1161, 2014
13 김나라,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적용 방안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1-46, 2013
14 김진숙, "아일랜드 Transition Year 교육과정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65-193, 2013
15 이덕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법정책학적 접근 : 자유학기제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26 (26): 125-154, 2014
16 박균열,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5-51, 2014
17 이지연, "「進路」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 과제"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22, 2013
18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Transition Year Progmme, Guidelines for Schools"
19 Jeffers. G., "Attitudes to Transition Year. A Report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Department of Education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