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학기 영어 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needs of English classes for the free semester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8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erception and needs of those students who have joined a free semester program, and to suggest more efficient way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its original intent. For this, a total of 91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Kangwon Province, who have carried out the free semester program more than once, were selected, and their perception and needs about the English class during the free semester were analyzed. The survey shows that, in case of their perception, the lowest averages are revealed in such questionnaires as the English class helps cultivate personality and aspiration, explore future careers, and reduce private tutoring, even though most of the averages are relatively low. As for their needs, students prefer the connection of the English class with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ity. When it comes to evaluation, some students like to have less exam pressure while others feel the need for partial written tests to evaluate the outcome more obje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erception and needs of those students who have joined a free semester program, and to suggest more efficient way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its original intent. For this, 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perception and needs of those students who have joined a free semester program, and to suggest more efficient way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its original intent. For this, a total of 91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Kangwon Province, who have carried out the free semester program more than once, were selected, and their perception and needs about the English class during the free semester were analyzed. The survey shows that, in case of their perception, the lowest averages are revealed in such questionnaires as the English class helps cultivate personality and aspiration, explore future careers, and reduce private tutoring, even though most of the averages are relatively low. As for their needs, students prefer the connection of the English class with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ity. When it comes to evaluation, some students like to have less exam pressure while others feel the need for partial written tests to evaluate the outcome more obj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한종임,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학습 활동 개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175-210, 2013

      3 손중선김정삼, "창의성과 초등영어교육: 단기기억 메커니즘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고찰" 대한영어영문학회 33 (33): 305-328, 2007

      4 노승빈, "창의성과 영어교육의 통합을 위한 교과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61-72, 2007

      5 안태연,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39-159, 2014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김지은, "중학생을 위한 영문학 활용 영어연극에 대한 연구: 예비 영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1-179, 2017

      8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시안(최종)" 공교육 진흥과 2015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발표"

      10 김미진,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성과 중학교육의 정체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8, 2016

      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한종임,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학습 활동 개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 (20): 175-210, 2013

      3 손중선김정삼, "창의성과 초등영어교육: 단기기억 메커니즘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 고찰" 대한영어영문학회 33 (33): 305-328, 2007

      4 노승빈, "창의성과 영어교육의 통합을 위한 교과과정" 대한사고개발학회 3 (3): 61-72, 2007

      5 안태연,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39-159, 2014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김지은, "중학생을 위한 영문학 활용 영어연극에 대한 연구: 예비 영어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71-179, 2017

      8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시안(최종)" 공교육 진흥과 2015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계획 발표"

      10 김미진,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성과 중학교육의 정체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8, 2016

      11 김현철,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3

      12 이재창,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135-1161, 2014

      13 김나라,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적용 방안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21-46, 2013

      14 김진숙, "아일랜드 Transition Year 교육과정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65-193, 2013

      15 이덕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법정책학적 접근 : 자유학기제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26 (26): 125-154, 2014

      16 박균열,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5-51, 2014

      17 이지연, "「進路」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 과제"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22, 2013

      18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Transition Year Progmme, Guidelines for Schools"

      19 Jeffers. G., "Attitudes to Transition Year. A Report to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ience"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어어문교육
      외국어명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6 1.1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