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성 기사와 연성 기사의 문체적 특징과 변화 - 2000년대 초와 2010년대 초의 정치·경제·사회 및 문화 기사 코퍼스 비교 =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ard News and Soft News in Newspaper Style - A Comparison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ews Corpora in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1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So-hee & Kang, Beom-mo. 2015.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ard News and Soft News in Newspaper Style - A Comparison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ews Corpora in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0-1, 41-66.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ard news and soft news and to examine the stylistic changes of the new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a large corpus (about 150 million words) statistically. We first classified a news corpus(Trend21) into two groups representing hard news and soft news (political/economic/social subjects vs. cultural subjects). Each group was classified again by the year of issue -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And then, we extracted keywords from each group by means of keyword analysis. Finally, we conduct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observed the result in a two-dimensional domain. We particularly focused on linguistic features which show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such as verbs and adjectives, predicate nouns (mostly Sino-Korean), personal pronouns, degree verbs (with empathic meani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style of hard news is relatively similar to written language whereas the style of soft news is similar to spoken language. It also shows some stylistic changes in the news o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ffairs. The tendency is that hard news has become closer to soft news in style. (Korea University)
      번역하기

      Kim, So-hee & Kang, Beom-mo. 2015.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ard News and Soft News in Newspaper Style - A Comparison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ews Corpora in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

      Kim, So-hee & Kang, Beom-mo. 2015.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ard News and Soft News in Newspaper Style - A Comparison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News Corpora in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0-1, 41-66.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ard news and soft news and to examine the stylistic changes of the news in recent years.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a large corpus (about 150 million words) statistically. We first classified a news corpus(Trend21) into two groups representing hard news and soft news (political/economic/social subjects vs. cultural subjects). Each group was classified again by the year of issue - the early 2000s and the early 2010s. And then, we extracted keywords from each group by means of keyword analysis. Finally, we conduct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observed the result in a two-dimensional domain. We particularly focused on linguistic features which show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such as verbs and adjectives, predicate nouns (mostly Sino-Korean), personal pronouns, degree verbs (with empathic meani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style of hard news is relatively similar to written language whereas the style of soft news is similar to spoken language. It also shows some stylistic changes in the news o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ffairs. The tendency is that hard news has become closer to soft news in style. (Korea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컴퓨터와 통계적 기법의 이용" 태학사 2000

      3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4 유선영, "한국 신문의 대중주의-일간지 연성 기사 분석. 한국언론재단" 한국언론재단 2002

      5 고주환, "인터넷 신문 표제어 제시 유형 연구-경성기사와 연성기사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7-42, 2014

      6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7 최영, "온라인 뉴스의 제목달기 분석 :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헤드라인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15-140, 2010

      8 박재영, "역피라미드 구조의 한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한국언론학회 4 (4): 112-154, 2008

      9 안종묵, "신문닷컴(online newspaper)과 종이신문의 뉴스서비스에 대한 사례 연구: 경향닷컴⋅경향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29-46, 2012

      10 김사승, "신문뉴스의 상품가치에 관한 미디어 경제학적 관점의 분석" 한국언론학회 57 (57): 5-33, 2013

      1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범모,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컴퓨터와 통계적 기법의 이용" 태학사 2000

      3 노대규,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1996

      4 유선영, "한국 신문의 대중주의-일간지 연성 기사 분석. 한국언론재단" 한국언론재단 2002

      5 고주환, "인터넷 신문 표제어 제시 유형 연구-경성기사와 연성기사의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39 (39): 27-42, 2014

      6 조수선, "온라인 신문 기사의 제목과 개요 효과" 한국언론학회 49 (49): 5-32, 2005

      7 최영, "온라인 뉴스의 제목달기 분석 :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헤드라인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115-140, 2010

      8 박재영, "역피라미드 구조의 한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한국언론학회 4 (4): 112-154, 2008

      9 안종묵, "신문닷컴(online newspaper)과 종이신문의 뉴스서비스에 대한 사례 연구: 경향닷컴⋅경향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29-46, 2012

      10 김사승, "신문뉴스의 상품가치에 관한 미디어 경제학적 관점의 분석" 한국언론학회 57 (57): 5-33, 2013

      11 송경화, "신문기사의 언어 사용 양상: 코퍼스언어학적 접근" 한국인지과학회 17 (17): 255-269, 2006

      12 박갑수, "신문·광고의 문체와 표현" 집문당 1998

      13 김혜영, "신문 사설의 어휘적 특징 - 2009년 신문 코퍼스에 기초한 키워드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18 (18): 89-113, 2011

      14 안수찬, "스트레이트를 넘어 내러티브로: 한국형 이야기 기사 쓰기" 한국언론재단 2007

      15 유선영, "새로운 신문 기사 스타일: 역피라미드 스타일의 한계와 대안" 한국언론재단 2001

      16 최영묵, "방송 뉴스의 연성화,‘필요악’인가 ‘편법’인가" 22 : 75-77, 1997

      17 강범모, "명사 빈도의 변화, 사회적 관심의 트렌드: 물결 21 코퍼스[2000-2009]"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1) : 3-38, 2011

      18 조영순, "말뭉치를 이용한 신문 표제어 연구" 한국언어학회 36 (36): 1075-1099, 2011

      19 안의정, "국어사전에서의 구어 어휘 선정과 기술 방안 연구" 한국문화사 2009

      20 김혜영, "구어 속 강조적 정도부사의 사용과 의미" 한국어학회 48 : 101-129, 2010

      21 김일환, "공기어를 이용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의 추이 분석 -2000~2009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1) : 175-202, 2012

      22 강범모, "[물결 21] 신문 텍스트 기반의 장기간 언어·사회·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23 Leech, Geoffrey, "Word Frequencies in Written and Spoken English: Based on the British National Corpus" Longman 2001

      24 McCarthy, Michael,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39, 1997

      25 Taylor, Charlotte, "Science in the News: a Diachronic Perspective" 5 : 221-250, 2010

      26 Charnley, Mitchell V, "Reporting" Rinehart and Winston 1966

      27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8 Tuchman, Gaye, "Objectivity as Strategic Ritual: An Examination of Newsmen's Notions of Objectivity" 77 : 660-679, 1972

      29 Duguid, Alison, "Newspaper Discourse Informalisation: a Diachronic Comparison from Keywords" 5 : 109-138, 2010

      30 Partington, Alan, "Modern Diachronic Corpus-Assisted Discourse Studies (MD-CADS) on UK Newspapers: an Overview of the Project" 5 : 83-108, 2010

      31 Clark, Caroline, "Evidence of Evidentiality in the Quality Press 1993 and 2005" 5 : 139-160, 2010

      32 Nenadic, Oleg, "Correspondence Analysis in R, with Two- and Three-dimensional Graphics: The CA Package" 20 (20): 1-13, 2007

      33 Greenacre, Michael, "Correspondence Analysis in Practice" Chapman&Hall/CRC 2007

      34 Richardson, John E, "Analysing Newspapers: An Approach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Palgrave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 한국언어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임홍빈)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 1.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