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조형적 관점에서 본 한일 상품포장문화 비교연구 -전통상품 포장디자인의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Product Package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Formative 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4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al design in each country has been holding the more important position as the world is globaliz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products and its package design based on a variety of cultural inheritance, the originality in those fields of Korea has been improving day by da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package design is substantially affected by other Oriental cultures, especially by the Japanese, due to the influx of the foreign culture and civilization through the active interchange of information. Each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oth commonness and differences, which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first before the designing. Nevertheless, it is generally found that it is easy to apply the Japanese design to the Korean traditional products indiscreetly. This study was aimed at utilizing proper ideas of the Japanese traditional product development for the Korean cases without making a mistake to confuse the cultures between two countries, and at searching for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 to be contemporarily advanced. The packing design in Japan is peculiar and diverse in its types, and the design motive is well established to currently activate this culture. Korea also has lots of grand traditional motives and many trials have been progressed to give life to the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the goals of the package design for the traditional products through such exertions and new plans.
      번역하기

      The traditional design in each country has been holding the more important position as the world is globaliz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products and its package design based on a variety of cultural inheritance, the originality in ...

      The traditional design in each country has been holding the more important position as the world is globaliz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products and its package design based on a variety of cultural inheritance, the originality in those fields of Korea has been improving day by day.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package design is substantially affected by other Oriental cultures, especially by the Japanese, due to the influx of the foreign culture and civilization through the active interchange of information. Each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oth commonness and differences, which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first before the designing. Nevertheless, it is generally found that it is easy to apply the Japanese design to the Korean traditional products indiscreetly. This study was aimed at utilizing proper ideas of the Japanese traditional product development for the Korean cases without making a mistake to confuse the cultures between two countries, and at searching for the Korean traditional motive to be contemporarily advanced. The packing design in Japan is peculiar and diverse in its types, and the design motive is well established to currently activate this culture. Korea also has lots of grand traditional motives and many trials have been progressed to give life to the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the goals of the package design for the traditional products through such exertions and new pl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가 글로벌화함에 따라서 각국의 전통적인 디자인은 날로 그 가치가 심화되는 듯 하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살린 상품과 포장디자인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독창성도 날로 개선되고 있으나 정보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른 외국문물의 유입으로 인해 가까운 동양권, 특히 일본문화의 영향을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적잖이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양국의 문화는 각각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어서 이것을 확실히 이해한 후에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전통상품에 일본적 디자인이 사용되는 터무니없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게 된다. 본 논문은 그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으면서도 일본의 전통상품개발에 있어서 좋은 아이디어는 우리의 경우에 접목하여 더 좋은 것으로 살리고 또 우리만의 전통모티브를 찾아서 현대적으로 발전시키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포장문화는 독특한 것이어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전통디자인이 있으며 이것을 현대적으로 살릴 수 있을만한 디자인 모티브가 잘 정립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도 훌륭한 전통 모티브가 많이 있고 그것을 살리고자 하는 방안이 곳곳에서 모색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한 노력들과 새로운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전통상품의 포장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세계가 글로벌화함에 따라서 각국의 전통적인 디자인은 날로 그 가치가 심화되는 듯 하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살린 상품과 포장디자인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세계가 글로벌화함에 따라서 각국의 전통적인 디자인은 날로 그 가치가 심화되는 듯 하다. 우리나라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살린 상품과 포장디자인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독창성도 날로 개선되고 있으나 정보교환이 활발해짐에 따른 외국문물의 유입으로 인해 가까운 동양권, 특히 일본문화의 영향을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적잖이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양국의 문화는 각각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어서 이것을 확실히 이해한 후에 디자인 작업이 이루어져야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전통상품에 일본적 디자인이 사용되는 터무니없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게 된다. 본 논문은 그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으면서도 일본의 전통상품개발에 있어서 좋은 아이디어는 우리의 경우에 접목하여 더 좋은 것으로 살리고 또 우리만의 전통모티브를 찾아서 현대적으로 발전시키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포장문화는 독특한 것이어서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전통디자인이 있으며 이것을 현대적으로 살릴 수 있을만한 디자인 모티브가 잘 정립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도 훌륭한 전통 모티브가 많이 있고 그것을 살리고자 하는 방안이 곳곳에서 모색되고 있는 중이다. 그러한 노력들과 새로운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전통상품의 포장디자인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색채, 형태, 문양 특성에 관한 연구" 1996

      2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전통문양 응용에 관한 연구" 1998

      3 "전통문화가 현대 포장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 "전통문양이 포장디자인 개발에 미치는 영향"

      5 "우리가 꼭 알아야할 규방공예" 서울 1992

      6 "오방 색실과 천으로 잇는 천연세상-규방공예"

      7 "續 日本의 文樣"

      8 "紙의 大百科-The encyclopedia of paper" 美術出版社

      9 "日本의 패키지디자인 유럽과의 比較"

      10 "pine-Traditional patterns in Japanese design"

      1 "한국 색채, 형태, 문양 특성에 관한 연구" 1996

      2 "포장디자인에 있어서 전통문양 응용에 관한 연구" 1998

      3 "전통문화가 현대 포장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 "전통문양이 포장디자인 개발에 미치는 영향"

      5 "우리가 꼭 알아야할 규방공예" 서울 1992

      6 "오방 색실과 천으로 잇는 천연세상-규방공예"

      7 "續 日本의 文樣"

      8 "紙의 大百科-The encyclopedia of paper" 美術出版社

      9 "日本의 패키지디자인 유럽과의 比較"

      10 "pine-Traditional patterns in Japanese design"

      11 "Packagedesign in Japan biennial vol"

      12 "How to wrap five more egg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