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형용, "형식명사ㆍ보조사ㆍ접미사의 상관관계" 1997
2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국어학총서 36" 태학사 2000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1972
4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1973
5 임동훈, "현대국어 형식명사 연구" 1991나
6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소고:격조사와 특수조사를 중심으로" 157-163, 2005
7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2006
8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2005
9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10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1 최형용, "형식명사ㆍ보조사ㆍ접미사의 상관관계" 1997
2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국어학총서 36" 태학사 2000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1972
4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1973
5 임동훈, "현대국어 형식명사 연구" 1991나
6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소고:격조사와 특수조사를 중심으로" 157-163, 2005
7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2006
8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2005
9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10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11 김승곤, "현대 나라 말본:형태론" 박이정 1996
12 김계곤, "현대 국어의 ‘뒷가지 ’ 처리에 대한 관견" 95-139, 1969
13 장호종, "한국어 허사의 중출 현상에 대한 연구" 2003
14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102-116, 2003
15 김영희, "한국어 조사류어의 연구" 271-311, 1974
16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의 판별 기준과 구성 연구" 2001
17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23 : 47-78, 1998
18 이남순, "특수조사의 통사 기능" 82 : 1996
19 황화상,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 국어학회 42 : 115-140, 2003
20 엄정호, "조사의 범주 특성" 2 (2): 44-56, 2000
21 김진형, "조사연속구성과 합성조사에 대하여" 2 (2): 59-72, 2000
22 엄정호, "조사에 대하여 -조사 목록을 중심으로 언어와 언어교육" 12 : 74-103, 1997
23 한재영, "조사 중첩 원리의 모색:16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신구문화사 774-801, 1996
24 김상대, "복합조사에 대하여" 15-28, 1993
25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6 홍사만, "국어특수조사론" 학문사 1983
27 임홍빈, "국어의 명사구 확장 규칙에 대하여 463-513에 다시 실림" 16 : 4663-513, 1998
28 김진호, "국어 특수조사의 통사ㆍ의미 연구:‘-은/-는’을 중심으로" 역락 2000
29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2002
30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31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24 : 1-62, 1999
32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89
33 안주호, "공간 명사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5 : 151-173, 2001
34 임동훈, "격조사는 핵인가" 119-130, 1991가
35 이남순, "격과 격표지" 월인 1998
36 한용운, "助詞連續構成과 複合助詞"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45-169, 2004
37 시정곤, "{를}의 정체는 무엇인가? 한국어의 목적어" 월인 179-201, 2001
38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39 Bybee, "-의미ㆍ형태의 관계에 대한 연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