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사의 배열 양상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Some problems on the arrangement pattern of p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9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Korean, a noun phrase can be followed by several particles (cosa). In many cases, arrangement patterns hold between particles; if their order is changed, a sentence becomes ungrammatical. This paper studies the arrangement pattern of particles with the hop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between these patterns, and focuses on ‘ccum(쯤)’. We classify this particle as a “thukswucosa (delimiter),” because it can either follow or precede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lexical case markers and Class Ⅰ delimiter, but cannot follow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structural case markers and Class Ⅱ delimiter. So why are only some arrangements possible? “Semantic relevance” and “particle scope” determine arrangements. But particle phrase that includes ‘ccum’ are difficult to explain in terms of “semantic relevance” or “particle scope”.
      번역하기

      In modern Korean, a noun phrase can be followed by several particles (cosa). In many cases, arrangement patterns hold between particles; if their order is changed, a sentence becomes ungrammatical. This paper studies the arrangement pattern of particl...

      In modern Korean, a noun phrase can be followed by several particles (cosa). In many cases, arrangement patterns hold between particles; if their order is changed, a sentence becomes ungrammatical. This paper studies the arrangement pattern of particles with the hope of explaining the principles between these patterns, and focuses on ‘ccum(쯤)’. We classify this particle as a “thukswucosa (delimiter),” because it can either follow or precede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lexical case markers and Class Ⅰ delimiter, but cannot follow a particle phrase that combines structural case markers and Class Ⅱ delimiter. So why are only some arrangements possible? “Semantic relevance” and “particle scope” determine arrangements. But particle phrase that includes ‘ccum’ are difficult to explain in terms of “semantic relevance” or “particle sc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쯤’을 대상으로 조사의 배열 양상을 논의할 때 생기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지적하였다. 조사의 배열 순서는 조사 목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말뭉치 용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쯤’이 특수조사임을 밝히고 조사연속구성에서 ‘쯤’이 어떠한 배열 양상을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쯤’은 접미사로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용언의 활용형이나 조사 뒤에 실현될 수 있으므로 특수조사로 볼 수 있다. ‘쯤’은 어휘격조사나 특수조사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 조사의 의미적 상관성과 작용역은 조사의 배열 순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쯤’이 포함된 조사연속구성의 경우, 그것을 이용해 명확히 설명할 수 없음이 한계로 남는다. 다만 다른 조사에 후행하는 예보다 선행하는 예가 더 빈번히 나타난다. 특히 특수조사 중에서 ‘쯤’이 후행하는 예는 ‘까지’와 ‘부터’에 한한다. 이것은 ‘쯤’이 ‘즈음’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고는 ‘쯤’을 대상으로 조사의 배열 양상을 논의할 때 생기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지적하였다. 조사의 배열 순서는 조사 목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말뭉치 용례에 따라 ...

      본고는 ‘쯤’을 대상으로 조사의 배열 양상을 논의할 때 생기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지적하였다. 조사의 배열 순서는 조사 목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말뭉치 용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쯤’이 특수조사임을 밝히고 조사연속구성에서 ‘쯤’이 어떠한 배열 양상을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쯤’은 접미사로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용언의 활용형이나 조사 뒤에 실현될 수 있으므로 특수조사로 볼 수 있다. ‘쯤’은 어휘격조사나 특수조사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 조사의 의미적 상관성과 작용역은 조사의 배열 순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쯤’이 포함된 조사연속구성의 경우, 그것을 이용해 명확히 설명할 수 없음이 한계로 남는다. 다만 다른 조사에 후행하는 예보다 선행하는 예가 더 빈번히 나타난다. 특히 특수조사 중에서 ‘쯤’이 후행하는 예는 ‘까지’와 ‘부터’에 한한다. 이것은 ‘쯤’이 ‘즈음’에 기원을 두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형용, "형식명사ㆍ보조사ㆍ접미사의 상관관계" 1997

      2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국어학총서 36" 태학사 2000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1972

      4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1973

      5 임동훈, "현대국어 형식명사 연구" 1991나

      6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소고:격조사와 특수조사를 중심으로" 157-163, 2005

      7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2006

      8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2005

      9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10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1 최형용, "형식명사ㆍ보조사ㆍ접미사의 상관관계" 1997

      2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국어학총서 36" 태학사 2000

      3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서울대학교 1972

      4 고영근,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 1973

      5 임동훈, "현대국어 형식명사 연구" 1991나

      6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소고:격조사와 특수조사를 중심으로" 157-163, 2005

      7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2006

      8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2005

      9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Ⅰ:‘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10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7

      11 김승곤, "현대 나라 말본:형태론" 박이정 1996

      12 김계곤, "현대 국어의 ‘뒷가지 ’ 처리에 대한 관견" 95-139, 1969

      13 장호종, "한국어 허사의 중출 현상에 대한 연구" 2003

      14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102-116, 2003

      15 김영희, "한국어 조사류어의 연구" 271-311, 1974

      16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의 판별 기준과 구성 연구" 2001

      17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23 : 47-78, 1998

      18 이남순, "특수조사의 통사 기능" 82 : 1996

      19 황화상, "조사의 작용역과 조사 중첩" 국어학회 42 : 115-140, 2003

      20 엄정호, "조사의 범주 특성" 2 (2): 44-56, 2000

      21 김진형, "조사연속구성과 합성조사에 대하여" 2 (2): 59-72, 2000

      22 엄정호, "조사에 대하여 -조사 목록을 중심으로 언어와 언어교육" 12 : 74-103, 1997

      23 한재영, "조사 중첩 원리의 모색:16세기 국어를 중심으로" 신구문화사 774-801, 1996

      24 김상대, "복합조사에 대하여" 15-28, 1993

      25 고영근, "국어형태론연구,증보판"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6 홍사만, "국어특수조사론" 학문사 1983

      27 임홍빈, "국어의 명사구 확장 규칙에 대하여 463-513에 다시 실림" 16 : 4663-513, 1998

      28 김진호, "국어 특수조사의 통사ㆍ의미 연구:‘-은/-는’을 중심으로" 역락 2000

      29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2002

      30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31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24 : 1-62, 1999

      32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89

      33 안주호, "공간 명사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5 : 151-173, 2001

      34 임동훈, "격조사는 핵인가" 119-130, 1991가

      35 이남순, "격과 격표지" 월인 1998

      36 한용운, "助詞連續構成과 複合助詞"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145-169, 2004

      37 시정곤, "{를}의 정체는 무엇인가? 한국어의 목적어" 월인 179-201, 2001

      38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39 Bybee, "-의미ㆍ형태의 관계에 대한 연구"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orphology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형태론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87 2.4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