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청년들의 적극적 우대조치 태도에 미치는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과 사회지배 성향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기회 불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28751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6(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청년들의 적극적 우대조치 태도에 미치는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과 사회지배 성향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기회 불평...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청년들의 적극적 우대조치 태도에 미치는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과 사회지배 성향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 기회 불평등 인식 및 능력주의 믿음에 주목하여 성별에 따라 상이한 기제가 작동하는지를 검증해본다.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경로모형의 추정 결과, 적극적 우대조치에 대한 지지는 사회계층 인식이나 지각된 기회 불평등보다는 능력주의 믿음과 사회지배 성향에 의해 직접적으로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을 사회경제적 상층으로 여길수록 능력주의 믿음이 강해지며 적극적 우대조치에 더 회의적이지만, 이러한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지는 않다. 남성 청년들에게는 사회지배 성향이 능력주의 믿음을 거쳐 적극적 우대조치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이어지는 경로가 분명하게 나타나며, 기회 불평등을 높게 평가할수록 오히려 적극적 우대조치의 필요성에 소극적인 입장인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여성 청년들의 경우에는 능력주의 믿음 대신 기회 불평등 인식이 사회지배 성향은 물론 주관적 사회계층에 따른 적극적 우대조치 태도의 차이를 설명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지배 성향이 강할수록,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 생각할수록, 기회 불평등을 낮게 인식하며, 적극적 우대조치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보인다. 본 연구는 적극적 우대조치에 대한 한국사회 청년들의 태도 차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해관계 관점 못지않게 사회지배성향 및 체제정당화 기제와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들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아울러 각자의 젠더 불평등 경험에서 비롯한 사회적 정의와 공정성에 대한 상이한 관심과 태도가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해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delves into the complex interplay of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in shaping young South Korean adults' views on affirmative action. It particularly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opportunity i...
The present study delves into the complex interplay of subjective social status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in shaping young South Korean adults' views on affirmative action. It particularly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and meritocratic beliefs, while also exploring potential gender-specific pathways. For males,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ignificantly impacts attitudes indirectly through meritocratic beliefs. On the contrary, for females, perceived opportunity inequality, rather than meritocratic beliefs, serves as a key mediator for both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This research directs scholarly attention to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and factors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motivated cognition toward social inequality and hierarchy-enhancing ideologies in the context of affirmative action, going beyond simple self-interest explanations. Furthermore, it reveals two distinct social justice principles, equity and equal opportunity, plausibly originating from divergent experiences of gender inequality amidst growing within-group inequalities.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전북특별법’ 입법과정 분석 -창조적 정책혁신가를 중심으로-
넛지 커뮤니케이션의 실천적 프레임워크 연구 :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CaSE 프레임워크 제안과 적용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중년 여성의 심리 및 정신건강 분야 연구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