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Estimation of Genomic Breeding Value using gBLUP model in ASREML : Practice of ASREML, PLINK, GCTA and 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5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omic information is now useful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hich is associated with economic traits as well as to predict genetic potential for individual in Animal Breeding Industry. Especially, genomic BLUP (gBLUP) is one of the useful model to estimate genomic breeding value (gEBV) with genomic relationship matrix (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 will be estimated from genomic information such a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hich is similar to numeric relationship matrix estimated from pedigree information used in traditional BLUP. The matrix defines the genetic covariance between individuals based on observed similarity using genomic information, rather than on expected genetic similarity from pedigree. Therefore, gBLUP would be given to better prediction accuracy in livestock breeding.
      번역하기

      Genomic information is now useful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hich is associated with economic traits as well as to predict genetic potential for individual in Animal Breeding Industry. Especially, genomic BLUP (gBLUP) is one of the use...

      Genomic information is now useful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hich is associated with economic traits as well as to predict genetic potential for individual in Animal Breeding Industry. Especially, genomic BLUP (gBLUP) is one of the useful model to estimate genomic breeding value (gEBV) with genomic relationship matrix (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 will be estimated from genomic information such a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hich is similar to numeric relationship matrix estimated from pedigree information used in traditional BLUP. The matrix defines the genetic covariance between individuals based on observed similarity using genomic information, rather than on expected genetic similarity from pedigree. Therefore, gBLUP would be given to better prediction accuracy in livestock bree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을 구성할 때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전체적인 matrix의 scale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VanRaden이 제안한 최초의 GRM에서는 기초집단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이용하여 GRM을 구성한다. 그러나, 최근 Forni et al. (2013)에 의하면 base population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사용하나, 현재 집단의 대립유전자빈도를 사용하여도 추정된 값은 매우 유사하다고 보고한다.
      2.ASREM 소프트웨어는 가축개량에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일단 GRM이 만들어 지면 gBLUP모델을 쉽게 설정할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http://www.vsni.co.uk/downloads/asreml 3.ASREML에서 gBLUP을 설정시, GCTA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미리 GRM을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ASREML에서 육종가 해를 구하기 위하여 inverse를 할 수 있다. GCTA소프트웨어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http://cnsgenomics.com/software/gcta/#Download
      번역하기

      1.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을 구성할 때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전체적인 matrix의 scale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VanRaden이 제안한 최초의 GRM에서는 기초집단의 대립유전...

      1.GRM (genomic relationship matrix)을 구성할 때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전체적인 matrix의 scale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VanRaden이 제안한 최초의 GRM에서는 기초집단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이용하여 GRM을 구성한다. 그러나, 최근 Forni et al. (2013)에 의하면 base population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사용하나, 현재 집단의 대립유전자빈도를 사용하여도 추정된 값은 매우 유사하다고 보고한다.
      2.ASREM 소프트웨어는 가축개량에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일단 GRM이 만들어 지면 gBLUP모델을 쉽게 설정할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http://www.vsni.co.uk/downloads/asreml 3.ASREML에서 gBLUP을 설정시, GCTA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미리 GRM을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ASREML에서 육종가 해를 구하기 위하여 inverse를 할 수 있다. GCTA소프트웨어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http://cnsgenomics.com/software/gcta/#Downloa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bier D, "The impact of genetic relationship information on genomeassisted breeding values" 177 : 2389-2397, 2007

      2 Meuwissen THE, "Prediction of total genetic value using genome-wide dense marker maps" 157 : 1819-1829, 2001

      3 VanRaden PM, "Invited review : reliability of genomic predictions for North American Holstein bulls" 92 : 16-24, 2009

      4 Clark S,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gBLUP) for the estimation of genomic breeding values" Humana Press 1019 : 321-330, 2013

      5 Clark S, "Different models of genetic variation and their effect on genomic evaluation" 43 : 18-, 2011

      6 Yang J, "Common SNPs explain a large proportion of the heritability for human height" 42 : 565-571, 2010

      7 Gilmour AR, "ASReml user guide release 30"

      8 Moser G, "A comparison of five methods to predict genomic breeding values of dairy bulls from genome-wide SNP markers" 41 : 56-, 2009

      1 Habier D, "The impact of genetic relationship information on genomeassisted breeding values" 177 : 2389-2397, 2007

      2 Meuwissen THE, "Prediction of total genetic value using genome-wide dense marker maps" 157 : 1819-1829, 2001

      3 VanRaden PM, "Invited review : reliability of genomic predictions for North American Holstein bulls" 92 : 16-24, 2009

      4 Clark S, "Genomic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gBLUP) for the estimation of genomic breeding values" Humana Press 1019 : 321-330, 2013

      5 Clark S, "Different models of genetic variation and their effect on genomic evaluation" 43 : 18-, 2011

      6 Yang J, "Common SNPs explain a large proportion of the heritability for human height" 42 : 565-571, 2010

      7 Gilmour AR, "ASReml user guide release 30"

      8 Moser G, "A comparison of five methods to predict genomic breeding values of dairy bulls from genome-wide SNP markers" 41 : 56-,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