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하이브리드적 사고와 한국 문화 교육 방향 = Hybrid thinking and direction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5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offline and online methods is becoming common due to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henomenon results in the adop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ng peculiar and exotic products and images. Thus, we need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with a focus on culture education on the basis of hybrid thinking and trends which feature differences, complexity and diversity.
      Through this culture education, learners can have the advantage of more creative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because hybrid thinking-based education includes combinations of several elements. Hence, culture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simple assimil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stead, Korean teachers should teach learners to compa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ir home countries, and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Futhermore, after considering learners’ needs, personalities, and goals, teachers should modify and change pedagogical goals and curricula in order to contribute to creating new and particular culture.
      In this study, I have explored a model of culture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combination of Korean culture and learners’ home culture, and their subsequent outpu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view of culture. In addition, I have considered a lesson plan by choosing a special theme of traditional dres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untries’ traditional dress by thinking about the origin of their own country’s traditional dress. I have also discussed the curricula of culture education which include creating revised traditional dress and practical design.
      번역하기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offline and online methods is becoming common due to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henomenon results in the adop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ng peculiar and exotic p...

      Dissemin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offline and online methods is becoming common due to Information Technology. This phenomenon results in the adoption and combin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ing peculiar and exotic products and images. Thus, we need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with a focus on culture education on the basis of hybrid thinking and trends which feature differences, complexity and diversity.
      Through this culture education, learners can have the advantage of more creative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because hybrid thinking-based education includes combinations of several elements. Hence, culture education should not focus on the simple assimila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stead, Korean teachers should teach learners to compar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ir home countries, and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Futhermore, after considering learners’ needs, personalities, and goals, teachers should modify and change pedagogical goals and curricula in order to contribute to creating new and particular culture.
      In this study, I have explored a model of culture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combination of Korean culture and learners’ home culture, and their subsequent outpu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view of culture. In addition, I have considered a lesson plan by choosing a special theme of traditional dres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untries’ traditional dress by thinking about the origin of their own country’s traditional dress. I have also discussed the curricula of culture education which include creating revised traditional dress and practical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공간뿐 아니라 가상공간을 통한 지식 및 정보의 전달과 유통이 보편화되면서, 여러 가지 정보와 지식을 수용하고 융합한 독특하고 이질적인 특성을 살린 제품이나 산출물, 이미지 등이 부각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질성ㆍ복합성ㆍ다양성 등을 특성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적 사고와 성향을 살린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왜냐하면 하이브리드적 사고나 특성을 살린 교육은 여러 가지 요소를 융합하고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학습자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을 접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이제 단순히 한국 문화의 수용과 이해 차원의 교육 방법을 지양하여, 학습자 자국과 한국, 혹은 여러 나라의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여 이해하며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비판적인 안목을 가지고 수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학습자의 개인적인 필요와 개성, 목적 등을 고려하고 새롭고 독특한 특성을 살린 문화를 창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그 목표와 내용이 수정ㆍ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에 대한 총체론적인 관점을 근간으로 하여, 한국 문화와 학습자 자국 문화의 융합과 산출을 고려한 문화 교육의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 의상을 주제로 선정하여 학습자가 한국의 전통 의상에 대해 이해할 뿐 아니라, 자국의 전통 의상의 특징과 유래에 대해 인지하고 양국 전통 의상의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에 임하도록 지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 생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개량형 전통 의상이나 실용적인 디자인을 고안ㆍ산출해 보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공간뿐 아니라 가상공간을 통한 지식 및 정보의 전달과 유통이 보편화되면서, 여러 가지 정보와 지식을 수용하고 융합한 독특하고 이질적인 특성을 살린 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공간뿐 아니라 가상공간을 통한 지식 및 정보의 전달과 유통이 보편화되면서, 여러 가지 정보와 지식을 수용하고 융합한 독특하고 이질적인 특성을 살린 제품이나 산출물, 이미지 등이 부각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이질성ㆍ복합성ㆍ다양성 등을 특성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적 사고와 성향을 살린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왜냐하면 하이브리드적 사고나 특성을 살린 교육은 여러 가지 요소를 융합하고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학습자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학습자 중심적인 교육을 접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이제 단순히 한국 문화의 수용과 이해 차원의 교육 방법을 지양하여, 학습자 자국과 한국, 혹은 여러 나라의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여 이해하며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비판적인 안목을 가지고 수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학습자의 개인적인 필요와 개성, 목적 등을 고려하고 새롭고 독특한 특성을 살린 문화를 창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그 목표와 내용이 수정ㆍ변화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에 대한 총체론적인 관점을 근간으로 하여, 한국 문화와 학습자 자국 문화의 융합과 산출을 고려한 문화 교육의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 의상을 주제로 선정하여 학습자가 한국의 전통 의상에 대해 이해할 뿐 아니라, 자국의 전통 의상의 특징과 유래에 대해 인지하고 양국 전통 의상의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에 임하도록 지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 생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개량형 전통 의상이나 실용적인 디자인을 고안ㆍ산출해 보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일영,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적 경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05

      2 이인자 외, "현대사회와 패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3 강정환, "현대건축의 하이브리드적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1980년 이후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1995

      4 김창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능력의 평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81-114, 2007

      5 민현식, "한국어 문화 교육의 개념과 실천 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2004

      6 김영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6

      7 안경화, "한국어 교육의 연구" 한국문화사 2007

      8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2006

      9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10 박영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1 장일영,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하이브리드적 경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05

      2 이인자 외, "현대사회와 패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5

      3 강정환, "현대건축의 하이브리드적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1980년 이후의 건축물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1995

      4 김창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능력의 평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81-114, 2007

      5 민현식, "한국어 문화 교육의 개념과 실천 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2004

      6 김영만,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역락 2006

      7 안경화, "한국어 교육의 연구" 한국문화사 2007

      8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3 (3): 2006

      9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43-189, 2006

      10 박영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11 홍성욱, "하이브리드 세상읽기" 안그라픽스 2003

      12 김기현, "하이브리드 개념을 적용한 주거 공간 계획:기존 구조를 활용한 주거 공간의 가변성 위주의 리모델링" 홍익대학교 2005

      13 김승희, "인터넷을 활용한 영미문화 지도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2006

      14 김영만, "인터넷 시대의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사 2007

      15 김양은, "인터넷 시대의 미디어 교육" 2003

      16 우한용, "인터넷 시대의 글쓰기와 표현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7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2003

      18 황인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와 문화" 이중언어학회 (35) : 409-438, 2007

      19 김영만, "영화 및 관련 웹 사이트를 이용한 한국어 고급반 수업 구성 연구" 한말연구학회 (20) : 53-72, 2007

      20 홍승대, "실내공간의 이미지 표현 경향에 있어서 hybrid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97

      21 김종석, "미국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고찰 in: 미국학논문집" 충남대학교 북미주연구소 1984

      22 김정은, "문화 교육의 연구사와 변천사 in: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사 2005

      23 유영만, "디지털 시대에 다시 생각해보는 아날로그 학습: 정보와 지식창출 및 공유 메카니즘에 비추어서" 한국산업교육학회 (7) : 2000

      24 박영민, 최숙기, "다문화시대의 국어 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67-84, 2006

      25 매일경제신문, "다문화사회 접어든 한국 1, 매일경제신문사"

      26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12) : 57-92, 2007

      27 민현식,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0 (10): 2003

      28 김선정,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회 (33) : 421-444, 2007

      29 유영만, "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한국산업교육학회 (8) : 2001

      30 Moran, P, "Teaching Culture" Newbury House 2001

      31 Brown,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 Hall 1994

      32 ACTFL, "Oral Proficiency Interview" ACTFL 1989

      33 Hinkel, E, "Cultur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4 Valdes, J, "Culture Bou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