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496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성경 번역본 중에서 1961년판인 개역성경과 이의 1998년 개정판인 개역개정성경을 비교하여, 한국어의 고유어, 한자어, 기독교특수어, 관용표현의 변화를 역사언어학적 관점에서 기술함으로써, 한 세대 남짓의 기간에 일어난 언어변화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언어의 변화는 개인이나 작은 언어집단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언뜻 눈에 띄지 않지만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변화가 분명해진다. 사회가 급속히 변화는 시대에 있어서의 언어는 단기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언어 변화 특히 어휘의 변화는 사회변동과 함께 급속히 진행된다. 현재 한국의 상황을 볼 때 과거에 1-2세기에 걸쳐 일어나던 현상보다 더 많은 변화가 현대어에는 한두 세대 만에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역사언어학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고 변화현상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학문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 성경 번역본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역사언어학적 현상은 어휘에 관한 것이다. 1961년 이전 판본들 간의 비교에서 보이는 것보다는 현저하게 줄어든 현상이지만, 한자 어휘가 많이 없어졌고, 기독교적 특수어(register)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고유어도 많이 사라지고 있으며, 고유한 문법적 요소도 없어지기도 하고 관용적인 표현도 약화된 경우가 있다. 본 연구과제는 이 각각에 대한 자료를 두 가지 성경에서 찾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성경 전체에 걸쳐 이러한 한자어의 변화 현상과 유형을 분석하려 한다.
둘째, 역사언어학적 현상의 하나로서 특수어의 생성과 소멸은 언어변화의 자연스런 양상이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독교의 독특성을 나타내는 어휘나 표현들(Christian registers)이 일반적인 어휘로 대체되는 현상을 찾아보려고 한다.
셋째, 개역개정성경에서 나타나는 변화 중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고유 어휘가 상실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에 대한 실례를 찾아 이유를 설명한다. 두 성경 판본의 대조를 통해서 관찰하면 고유어 자립 형태소 뿐 아니라 여러 가지 고유어 문법 요소들도 사라지는 경향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다섯째, 성경에는 관용적인 표현이 많을 바꾸거나 직설적인 표현을 쓰거나 하여 부드럽거나 보편적인 표현이나 편견없는 말로 바뀐 곳이 있는데 이에 대한 의미 화용론적 설명이 필요하다.
위와 같이 한국어의 언어변화에 대한 여러 가지 현상들을 찾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언어학 이론인 형태론, 문장론, 의미론, 화용론이 도입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문법요소와 관련해서는 형태론과 문장론적 해석이 필요하며, 어휘상실과 의미변화는 의미론과 관련된 설명이 필요하며, 관용표현의 변화는 언어사용과 관련된 화용론적 이해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런 점에서 역사언어학적 변화는 문법의 전 분야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포괄적인 언어이해가 필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책임연구자의 기존의 연구 내용을 확대하고 심화한 연구로서 두 가지 성경 번역본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최초의 본격적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