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I):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 특성 연구 = Assessment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from Andong Lake(I):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of Sediments from Andong D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4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의 안동댐 퇴적물에 대한 오염도 조사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동댐 상류 40 km까지 약 5 km 간격으로 호수의 중간, 좌, 우지점에서 성층기와 전도기로 구분하여 퇴...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의 안동댐 퇴적물에 대한 오염도 조사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동댐 상류 40 km까지 약 5 km 간격으로 호수의 중간, 좌, 우지점에서 성층기와 전도기로 구분하여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일반 항목인 강열 감량, 총질소, 총인의 경우 오염도가 낮지만, 중금속의 경우 비소와 카드뮴의 오염도는 매우 높다. 지천 및 대조군에 비해 댐 내 퇴적물의 오염도가 높으며, 시료채취 시기별로는 성층기에 크롬, 구리, 납의 농도가 높고, 순환기에 아연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상하류의 위치에 따른 농도 차이를 나타내는 중금속은 비소, 카드뮴, 망간, 아연이며 차이를 보이지 않는 항목은 크롬, 구리, 수은, 철, 납 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pollu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dong Dam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lake up to 40km upstream of the Andong Dam at intervals of abo...

      In this study, pollu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dong Dam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lake up to 40km upstream of the Andong Dam at intervals of about 5km by stratification and turnover period. In the case of nutrients and total organics such as loss of ignition,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w, but heavy metals of arsenic and cadmium is very high. The contamination level of sediments in the dam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branch of river and the control group, and concentration of chromium, copper, and lead are higher in the stratification period, and that of zinc is higher in turnover period. Arsenic, cadmium, manganese, and zinc showed contamination variation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ut chromium, copper, mercury, iron and lead didn’t show the var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주, "안동호 퇴적물 중 수은 및 중금속의 분포특성 연구" 한국분석과학회 25 (25): 441-446, 2012

      2 서정민, "안동댐 퇴적물의 중금속 용출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32 (32): 303-312, 2019

      3 주재식,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오염도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333-338, 2016

      4 홍혁기,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분석" 한국환경분석학회 8 (8): 1-6, 2005

      5 이지현,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 특성 변화" 한국해양학회 24 (24): 535-547, 2019

      6 정혜령, "시화호 유역 하천 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9 (19): 25-36, 2016

      7 김경태, "시화호 및 주변 하천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변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5 (25): 447-457, 2003

      8 이준기, "부산시 하천퇴적물의 유기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1 (31): 975-982, 2009

      9 오경희, "대청호 추소 및 추동 수역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7 (37): 277-284, 2015

      10 황경엽, "낙동강 퇴적물 내 중금속 존재 형태 및 용출 가능성" 대한상하수도학회 21 (21): 113-122, 2007

      1 박진주, "안동호 퇴적물 중 수은 및 중금속의 분포특성 연구" 한국분석과학회 25 (25): 441-446, 2012

      2 서정민, "안동댐 퇴적물의 중금속 용출 특성 연구" 한국광물학회 32 (32): 303-312, 2019

      3 주재식,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오염도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333-338, 2016

      4 홍혁기,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분석" 한국환경분석학회 8 (8): 1-6, 2005

      5 이지현,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 특성 변화" 한국해양학회 24 (24): 535-547, 2019

      6 정혜령, "시화호 유역 하천 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9 (19): 25-36, 2016

      7 김경태, "시화호 및 주변 하천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변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5 (25): 447-457, 2003

      8 이준기, "부산시 하천퇴적물의 유기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1 (31): 975-982, 2009

      9 오경희, "대청호 추소 및 추동 수역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7 (37): 277-284, 2015

      10 황경엽, "낙동강 퇴적물 내 중금속 존재 형태 및 용출 가능성" 대한상하수도학회 21 (21): 113-122, 2007

      11 김신, "낙동강 수계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와 오염도" 한국환경과학회 24 (24): 969-980, 2015

      12 김신, "낙동강 본류 표층 퇴적물 내 미량금속 오염도 평가" 한국환경분석학회 22 (22): 10-21, 2019

      13 김지윤, "광해오염원 추적을 위한 낙동강 지역 퇴적물 및 하천수의 화학조성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7 (37): 211-217, 2016

      14 Kim, E. H.,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rom Surface Sediment in Nakdong River" 15 : 52-58, 2000

      15 Rajeshkumar, S., "Studies on seasonal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water, sediment, fish and oyster from the Meiliang Bay of Taihu Lake in China" 191 : 626-638, 2018

      16 US NOAA, "Sediment Quality Guidelines developed for the National Status and Trends Program"

      17 Hen, H., "Impacts of dam draining on the mobility of heavy metals and arsenic in water and basin bottom sediments of three studied dams in Germany" 640-641 : 1072-1081, 2018

      18 Redwn, M., "Heavy metals seasonal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in Lake Qaroun sediments, El-Fayoum, Egypt" 134 : 48-55, 2017

      19 Bing, H., "Current state, sources, and potential risk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Three Gorges Reservoir" 214 : 485-496, 2016

      20 Islam, M. S.,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distribu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in the sediment from Feni River estuary, Bangladesh" 202 : 25-32, 2018

      21 Lee, C. S.,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Heavy Metals for Surface Water and Sediments of Upstream and Midstream in Nakdong River" 44 : 547-55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20-0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물학회지 -> 광물과 암석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2019-12-30 통합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6 0.5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