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vestigate the mechanism of urban development during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era. Since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was formulated in 1981, strong government-led development allowed supplying 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vestigate the mechanism of urban development during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era. Since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was formulated in 1981, strong government-led development allowed supplying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vestigate the mechanism of urban development during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era. Since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was formulated in 1981, strong government-led development allowed supplying large quantity of housing until 1990s. However, existing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evaluation and quality of policy outcome and did not attempt to understand internal mechanism of accelerated development. In order to fill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xamines formal process of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from administrative procedure perspective using project data from 1980 to 1997 and empirically described development law by region, area, presidency cycle and project type.
Additionally, ‘Suseo-area housing land development’ was chosen as a case study to explain informal side of development mechanism. Combined findings show that speed of administrative process, the role of administration, democratiza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 process and public value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
국문 초록 (Abstract)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택지개발사업은 공급 중심의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정부 주도 개발 및 주택보급정책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는 주로 주택의 신속...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택지개발사업은 공급 중심의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정부 주도 개발 및 주택보급정책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는 주로 주택의 신속한 대량 공급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촉진 과정의 특성이나 절차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제개발시기 공공 부문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개발사업의 특성을 사업현황 자료와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개발 과정에서 민주적이고 법에 근거한 행정 과정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하여 1980년부터 1997까지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사업을 정권별, 면적별, 지역별, 사업주체별, 사업기간별로 특성을 기술하였다. 또한 ‘택지개발촉진법’을 통한 개발사업들 중 가장 시대적속성을 띄며 다양한 행위자 조직들의 개입이 공개된 수서지구 사례를 통하여 비공식적인 절차의 작동기제를 분석함으로써 현황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행정과정의 속도, 행정의 역할, 행정조직의 민주화, 합법적 절차와 공공가치가 공간의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2006
2 엄석진, "행정의 책임성: 행정이론간 충돌과 논쟁" 한국행정학회 43 (43): 19-45, 2009
3 이병철, "행정기획의 역사와 이론" UUP 2006
4 조석준, "한국행정조직론" 法文社 2016
5 박찬욱, "한국 의회정치의 회고와 전망: 한국 의회정치의 특성" 1 : 14-39, 1995
6 김학환, "토지거래허가와 토지거래계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39) : 356-379, 2009
7 "택지개발촉진법. 법률 제15682호"
8 e-나라지표, "택지개발사업지구 현황 리스트"
9 김종보, "택지개발사업과 환매권의 헌법문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17 : 285-311, 2007
10 변창흠, "지속가능성 기준으로 본 대규모 국책개발사업의 평가" 한국공간환경학회 (26) : 120-153, 2006
1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2006
2 엄석진, "행정의 책임성: 행정이론간 충돌과 논쟁" 한국행정학회 43 (43): 19-45, 2009
3 이병철, "행정기획의 역사와 이론" UUP 2006
4 조석준, "한국행정조직론" 法文社 2016
5 박찬욱, "한국 의회정치의 회고와 전망: 한국 의회정치의 특성" 1 : 14-39, 1995
6 김학환, "토지거래허가와 토지거래계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39) : 356-379, 2009
7 "택지개발촉진법. 법률 제15682호"
8 e-나라지표, "택지개발사업지구 현황 리스트"
9 김종보, "택지개발사업과 환매권의 헌법문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17 : 285-311, 2007
10 변창흠, "지속가능성 기준으로 본 대규모 국책개발사업의 평가" 한국공간환경학회 (26) : 120-153, 2006
11 노정현, "지방자치시대의 도시행정"
12 임도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자율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31 (31): 57-71, 1997
13 임현, "정책과 법의 관계에 대한 모색"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85-102, 2014
14 박동서, "작은 정부의 개념 논의" 26 (26): 39-55, 1992
15 유기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178-219, 2014
16 임도빈, "역대 대통령 국정철학의 변화:한국행정 60년의 회고와 과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11-251, 2008
17 공보처, "신한국년 개혁백서" 공보처 정부간행물 1996
18 김병섭, "부패통제 방법의 변천과 방향" 1999
19 윤태범, "부패와 개혁: 체제적 접근" 515-535, 1999
20 안문석, "문민정부의 행정개혁" 1995 (1995): 180-212, 1995
21 김충남, "대통령과 국가경영: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22 박천오,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성향과 동기" 7 (7): 293-315, 1998
23 "국토교통통계누리"
24 김광웅, "관료와발전" 평민사 1986
25 유성용, "공영 택지개발사업에서의 주민참여에 관한 고찰" 국토연구원 47 : 125-144, 2005
26 백완기, "行政學" 博英社 1984
27 박경원, "共編" 나남
28 박필,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택지개발사업 시행자의 역할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32) : 288-295, 2008
29 Weber, M., "On charisma and institution build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30 Scott. W. R, "Formal Organizations" Chandler 1962
31 Kingdon, J. W, "Agenda setting" The essential readings 105-113, 1995
불균등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논의의 비판적 검토
한국의 도시와 지역에 대한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비판적으로 읽기 : 장소의 특수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기준으로
다문화가정 사례를 통해 바라본 초국적 이주와 공간 : 최병두의 이주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