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성소수자 상담역량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관련 변인들이 잠재집단을 분류하는데 유의한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57553
2022
-
373
KCI등재
학술저널
425-444(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성소수자 상담역량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관련 변인들이 잠재집단을 분류하는데 유의한 영...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성소수자 상담역량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관련 변인들이 잠재집단을 분류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학회홈페이지, 상담관련 커뮤니티 등을 통해 상담 관련 학부이상의 학위를 취득하고 상담 관련 기관에서 전문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317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LGBT 내담자 상담역량 척도, 자기성찰 척도, 인권감수성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가 몇 개의 상담 역량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관련 변인 중 집단을 구분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상담자들은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성소수자 상담역량에 따라 6개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상담자의 상담경력과 다문화 교육경험, 다문화 상담경험, 성소수자 상담경험, 자기성찰수준과 인권감수성 정도는 상담자의 잠재집단을 구분하는데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와 관련요인 검증을 통해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성소수자 상담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담자 훈련 및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ich latent groups could be classified by counselor’s general, multi-cultural, and LGBT counseling competency and identifying whether related variables affect to the classification of la...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ich latent groups could be classified by counselor’s general, multi-cultural, and LGBT counseling competency and identifying whether related variables affect to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Methods To this end, a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 scale,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y scale, the LGBT client counseling competency scale, the self-reflection scale, an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was conducted on 317 counselors who obtained an undergraduate degree and higher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who are professionally counseling at institutions through the website of the society and counseling-related communiti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how many counseling competency potential groups the collected data could be classified into,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group classification among related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counselors were classified into six latent groups according to general, multi-cultural, and LGBT counsel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counselor s counseling experien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unseling experience, LGBT counseling experience, self-reflection level,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nfluenced to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Conclusions The necessity for counselor training and education to improve general, multi-cultural, and LGBT counseling competencies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latent group classification and factors’ verif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경 ; 신윤선 ; 김반디 ; 민자원, "한국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의 안정성과 예측 및 결과 변인" 한국교육심리학회 35 (35): 507-532, 2021
2 임은미 ; 강혜정 ; 김성현 ; 구자경, "한국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9 (19): 421-442, 2018
3 이주영 ; 윤은희 ; 이아라, "한국 상담자의 LGBT 내담자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21 (21): 339-359, 2020
4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정의 옹호역량 척도(SJACS-K)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8 (18): 17-36, 2017
5 강진령, "한국 상담의 비교 문화적 고찰을 통한 상담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23-42, 2005
6 김광웅 ; 최명선 ; 한현주, "치료자의 전문적 경험과 공감능력이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03-522, 2005
7 조수연 ; 양미진,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류영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41 (41): 25-51, 2014
9 송지은 ; 이정윤,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07-2123, 2013
10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한국상담학회 13 (13): 2697-2713, 2012
1 이유경 ; 신윤선 ; 김반디 ; 민자원, "한국 중․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의 안정성과 예측 및 결과 변인" 한국교육심리학회 35 (35): 507-532, 2021
2 임은미 ; 강혜정 ; 김성현 ; 구자경, "한국 상담자의 다문화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9 (19): 421-442, 2018
3 이주영 ; 윤은희 ; 이아라, "한국 상담자의 LGBT 내담자 상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21 (21): 339-359, 2020
4 임은미,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정의 옹호역량 척도(SJACS-K)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8 (18): 17-36, 2017
5 강진령, "한국 상담의 비교 문화적 고찰을 통한 상담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 23-42, 2005
6 김광웅 ; 최명선 ; 한현주, "치료자의 전문적 경험과 공감능력이 내담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503-522, 2005
7 조수연 ; 양미진, "청소년상담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59-75, 2013
8 류영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41 (41): 25-51, 2014
9 송지은 ; 이정윤,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한국상담학회 14 (14): 2107-2123, 2013
10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한국상담학회 13 (13): 2697-2713, 2012
11 정선영,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3) : 59-87, 2006
12 김충희, "정신보건영역 사회복지사의 인권민감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3 Neukrug, E., "전문 상담자의 세계" Cengage Learning 2015
14 황주연,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 자기성찰, 안녕감간의 경로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5 임은미 ; 강혜정 ; 구자경, "일반 상담역량, 다문화 상담역량, 사회정의 옹호 상담역량의구조적 관계 및 잠재집단 탐색" 한국상담학회 19 (19): 209-232, 2018
16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 평가도구 및 실행지침"
17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감수성지표 개발연구" 2002
18 전희정, "애도상담자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02-615, 2018
19 이소연 ; 최바올 ; 이정선 ; 서영석,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상담수련생의 전문적 역량의 문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45-270, 2014
20 김수은 ; 최한나 ; 김민정, "상담회기 수행에 관한 상담자 자기성찰 연구: 축어록 전사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15-844, 2019
21 손은정 ; 유성경 ; 심혜원, "상담자의 자기 성찰(reflection)과 전문성 발달" 한국상담학회 4 (4): 367-380, 2003
22 박지영 ; 김주연, "상담자의 애착유형과 공감능력: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상담학회 17 (17): 47-60, 2016
23 김미진 ; 권경인, "상담자의 사회정의 옹호역량과 상담자 발달수준, 작업동맹 그리고 상담성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20 (20): 67-87, 2019
24 이윤주 ; 김계현,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능력과 상담경력간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257-272, 2002
25 서영석 ; 차주환 ; 이정림 ; 강재희,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213-237, 2007
26 유성경 ; 심혜원,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789-812, 2005
27 정희선 ; 김지현, "상담자 자기성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8 (18): 87-109, 2017
28 김인규, "상담자 역량발달 학부 교육과정 개발 : J 대학교 상담심리학과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8 (18): 1-17, 2020
29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10 (10): 1-28, 1998
30 이미정 ; 박승민, "상담수련과정에서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1-29, 2015
31 길미현, "상담수련과정에 있는 초보상담사의 자기성찰 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32 조화진 ; 김민정, "상담수련, 다문화상담교육, 다문화상담실무에 따른 상담자유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849-869, 2019
33 손진희,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의 알아차림 방해요소 추출 및 분류연구" 2 (2): 163-180, 2001
34 이혜원 ; 최경옥 ; 이혜영,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아동복지론 교과목의 개발과 효과성" 한국아동복지학회 (29) : 73-96, 2009
35 이수영,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이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 (6): 59-80, 2019
36 정선영 ; 공상길 ; 임은경 ; 천덕희 ; 오영림, "부랑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63-289, 2010
37 박준호 ; Lawrence Gerstein ; Deborah Miller, "대학생 동성애 상담: 상담자 훈련을 위한 체계적 모델의 활용"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53-71, 2014
38 김혜영 ; 심혜원, "다문화아동상담교육실태 및 상담자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39-373, 2014
39 이영란, "다문화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40 임은미,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 학지사 2019
41 정지선, "다문화 및 사회정의 상담을 위한 상담자 교육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25-248, 2020
42 남현주, "기업 내 상담자의 역량 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69-206, 2014
43 윤아롬 ; 변시영 ; 조민경 ; 이겨라, "기관별 상담자 필요 역량에 대한 인식차: 상담자의 현장 경험 탐색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41 (41): 23-48, 2020
44 김지만 ; 홍기훈 ; 이춘엽 ; 김희정,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10 (10): 11-24, 2020
45 강혜정 ; 임은미, "고등학생의 학업 자율성과 진로결정 자율성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 분석" 한국상담학회 18 (18): 271-289, 2017
46 Bidell, M. P., "Utilizing the Sexual Orientation Counselor Competency Scale(SOCCS)in mental health and healthcare settings : An instructor’s guide" 11 (11): 2015
47 Hill, C. E., "Therapist Experience in Psychtherapy Revisited" 45 (45): 7-53, 2017
48 Bidell, M. P., "The sexual orientation counselor competency scale : Assessing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of counselors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44 (44): 267-279, 2005
49 Skovholt, T. M.,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Wiley 1992
50 Lo, Y.,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88 (88): 767-778, 2001
51 Wang,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Applications using Mplus" John Wiley &Sons 2012
52 Lewis, J. A., "Social justice counseling and advocacy : Developing new leadership roles and competencies" 3 (3): 5-16, 2011
53 Ratts, M. J., "Social justice counseling : Toward the development of a fifth force among counseling paradigms" 48 (48): 160-172, 2009
54 Ivey, A. E., "Social justice : A long-term challenge for counseling psychology" 31 (31): 190-298, 2003
55 Rutter, P. A., "Sexual orientation and counselor competency : The impact of training on enhancing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2 (2): 109-125, 2008
56 Thwaites, R., "Self-practice/Self-reflection(SP/SR)as a training strategy to enhance therapeutic empathy in low intensity CBT practitioners" 46 (46): 63-70, 2017
57 McLachlan, G. J., "On bootstrapping the likelihood ratio test statistic for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36 (36): 318-324, 1987
58 Smith, T. B.,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ental health professions : A meta-analytic review" 53 (53): 132-145, 2006
59 Pieterse, A. L.,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ocial justicetraining in counseling psychology and counselor education : A review and analysis of a sample of multicultural course syllabi" 37 (37): 93-115, 2009
60 Clark, S. L., "Mixture modeling with behavioral data" University of California 2010
61 Spengler, E. S., "Microaggressions : Clinical errors with sexual minority clients" 53 (53): 360-366, 2016
62 Adams, J., "Mental health issues for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ople : A qualitative study" 15 (15): 105-120, 2013
63 Pachankis, J. E., "LGB-affirmativ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young adult gay and bisexual me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transdiagnostic minority stress approach" 83 (83): 875-889, 2015
64 Davison, G. C., "Issues and nonissues in the gay-affirmative treatment of patients who are gay, lesbian, or bisexual" 12 (12): 25-28, 2005
65 Akaike, H., "Information measures and model selection" 44 : 277-291, 1983
66 Pedersen, P. B., "Inclusive cultural empathy : Making relationships central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
67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uidelines for psychological practice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67 (67): 10-42, 2012
68 Nagin, D. S.,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69 Schwarz, G.,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6 : 461-464, 1978
70 Miller, D., "Enhancing counselors' competencies with LGBT clients: Revisiting implicit values. Symposium conduc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71 Schön, D. A., "Educating the reflecting practitioner" Jossey-Bass 1987
72 김현아 ; 이자영, "E-Learning을 통한 다문화상담자 교육이 상담자의 고정관념, 다문화상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다문화평화연구소 12 (12): 59-79, 2018
73 Hook, J. N., "Cultural humility : Measuring openness to culturally diverse clients" 60 (60): 353-366, 2013
74 Axelson, J. A., "Counseling and developmen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omson Brooks/Cole Publishing Co 1993
75 Neufeldt, S. A., "Core process in brief psychodynamic psychotherapy: Advancing effective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25-341, 2004
76 Israel, T., "Contributions of multicultural counseling to counselor competence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31 (31): 84-98, 2003
77 Mohr, J. J., "Client and counselor trainee attachment as predictors of session evaluation and countertransference behavior in the first counseling sessions" 52 (52): 298-309, 2005
78 Lemoire, S. J., "Applying person-centered counseling to sexual minority adolescents" 83 (83): 146-154, 2005
79 Association for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Issues in Counseling(ALGBTIC)., "ALGBTIC issues in counseling competencies for counseling with lesbian, gay, bisexual, queer, questioning, intersex, and ally individuals" 7 (7): 2-43, 2013
80 King, M., "A systematic review of mental disorder, suicide, and deliberate self harm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8 (8): 70-87, 2008
영유아 대상 영어교육과 증강현실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K-MOOC) 담화 분석 연구
패턴 찾기 과제 수행에 나타난 중학생의 수학적 사고과정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