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1. 서론
- 2. 공공디자인, 디자인의 공공성
- (1) 디자인의 공적 성격과 공공성
- (2) 공공선으로서의 공공디자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1201
김동빈 (동덕여자대학교)
2020
Korean
공공디자인 ; 공공성 ; 공통감 ; 미적 자율성 ; 개별성 ; 소통 ; public design ; publicity ; sensus communis ; aesthetic autonomy ; individuality ; communication
660
KCI등재
학술저널
85-107(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수,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23 : 57-86, 2012
2 하선규, "현대 미학과 디자인 연구의 의미 있는 접점을 찾아서" 2011
3 백종현,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2016
4 김광명, "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세창미디어 2012
5 김상현, "칸트-판단력 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5
6 김동빈, "칸트 미학의 공통감과 부속미 개념으로 본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넛지디자인의 사회적 의의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8 : 319-328, 2017
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2
8 조재경, "인간을 위한 디자인" 미진사 2009
9 허보윤, "욕망의 사물, 디자인의 사회사" 일빛 2004
10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2007
1 김석수,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23 : 57-86, 2012
2 하선규, "현대 미학과 디자인 연구의 의미 있는 접점을 찾아서" 2011
3 백종현,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2016
4 김광명, "칸트의 판단력 비판 읽기" 세창미디어 2012
5 김상현, "칸트-판단력 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5
6 김동빈, "칸트 미학의 공통감과 부속미 개념으로 본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넛지디자인의 사회적 의의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8 : 319-328, 2017
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2
8 조재경, "인간을 위한 디자인" 미진사 2009
9 허보윤, "욕망의 사물, 디자인의 사회사" 일빛 2004
10 강수택, "시민연대사회" 아르케 2007
11 백종현, "시대와의 대화: 칸트와 헤겔의 철학" 아카넷 2010
12 최 범, "세월호 이후, 공공미술에 대한 물음" 미술세계사 2014
13 릭 포이너, "비주얼 컬처 에세이" 비즈앤비즈 2008
14 김동빈, "미와 도덕성의 관계 개념으로 본 한글의 디자인적 공공성" 우리어문학회 (63) : 221-250, 2019
15 최소인, "미감적 이념과 공통감 - 미감적 판단의 주관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68 (68): 443-463, 2012
16 제인 포지, "디자인 미학" 미술문화 2016
17 신혜경, "독일미학전통" 이학사 [서울] 2013
18 "그림 4] 인삼조형물, 충남 금산"
19 "그림 2] 황지해, 슈즈트리, 서울 서울역"
20 "그림 1] 자하 하디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DDP, 서울 동대문"
21 "https://www.kcdf.kr/common/"
22 "https://blog.naver.com/iloveddp"
23 "[그림 5] 간판 정비 사업의 결과물, 경기 안양 서울 강남"
24 "[그림 3] 전복조형물, 전남 완도"
25 박영태, "Contents 2012" 시공문화사 2013
19세기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본 이탈리아의 신고전주의 : 나폴레옹과 비오 7세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세계극장 : 아비 바르부르크의 문화이론에 나타난 퍼포먼스 패러다임
재현 매체를 통해 본 증언과 기억의 내레이션 : 영화 <생일>의 퍼스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내 지상파 방송사 웹사이트 디자인의 시기별 변화에 대한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2-01 | 평가 | 탈락(현장점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26 | 0.46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