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 공공 디지털 문해 코디네이터 운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Plan for Operating the System of Regional Public Digital Literacy Coordin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3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문해력은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임이 분명하다. 디지털 문해교육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새로 나타난 공공영역으로 규정한다. 이 연구는 지방정부가 이 영역에서 필수적 교육 노동을 담당할 공공 인재를 체계적으로 운용하는 정책 방안을 구안하려는 것이다. 방법론적 관점으로 '지역인재목표제' 관점을 취한다. 즉 지역이 자체적으로 필요한 공공 인재를 양성·임용·관리함으로써 지역인재가 지역에 봉사하도록 제도화하려는 관점이다. 정책 방안은 곧 디지털 문해교육을 담당할 지역 공공인재를 어떻게 양성하고 임용하고 관리할 것인지의 방안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문해교육은 공공 필수노동으로 전화하고 있다. 이 디지털 문해력의 계층간 격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 문해력 증진을 공적으로 감당하는 ‘디지털 문해교육 코디네이터’가 지방정부의 사회기획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양성·임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디지털 문해교육정책이 중앙정부 주도의 사업추진, 교육장소와 교육 내용의 기관 간 격차, 디지털 문해교육 담당자의 임시적 고용이라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그 정책 방향은 지역 평생교육기관 및 전문 교육기관 간의 협력, 소외층의 학습기회와 지역인재의 일자리 확대, 지역 디지털 문해교육의 인적·물적 기반 강화, 지방정부 차원의 디지털 문해교육 코디네이터의 공적 양성·임용 확대 등이다. 셋째, 디지털 문해 전문 코디네이터를 양성해야 하는 바, 양성 주최기관, 양성 주관기관, 양성대상, 지원자격, 교육내용, 양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고, 지방정부의 자격부여·선발 및 임용, 관리와 지원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지역 대학을 거점으로 하는 양성과정을 통해 IT관련 교육 이수와 함께 2~3급의 평생교육사 자격을 취득한 ‘디지털 문해 코디네이터’를 양성하도록 구안하였다.
      번역하기

      디지털 문해력은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임이 분명하다. 디지털 문해교육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새로 나타난 공공영역으로 규정한다. 이 연구는 지방...

      디지털 문해력은 디지털 시대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능력임이 분명하다. 디지털 문해교육을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따라 새로 나타난 공공영역으로 규정한다. 이 연구는 지방정부가 이 영역에서 필수적 교육 노동을 담당할 공공 인재를 체계적으로 운용하는 정책 방안을 구안하려는 것이다. 방법론적 관점으로 '지역인재목표제' 관점을 취한다. 즉 지역이 자체적으로 필요한 공공 인재를 양성·임용·관리함으로써 지역인재가 지역에 봉사하도록 제도화하려는 관점이다. 정책 방안은 곧 디지털 문해교육을 담당할 지역 공공인재를 어떻게 양성하고 임용하고 관리할 것인지의 방안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문해교육은 공공 필수노동으로 전화하고 있다. 이 디지털 문해력의 계층간 격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 문해력 증진을 공적으로 감당하는 ‘디지털 문해교육 코디네이터’가 지방정부의 사회기획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양성·임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디지털 문해교육정책이 중앙정부 주도의 사업추진, 교육장소와 교육 내용의 기관 간 격차, 디지털 문해교육 담당자의 임시적 고용이라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그 정책 방향은 지역 평생교육기관 및 전문 교육기관 간의 협력, 소외층의 학습기회와 지역인재의 일자리 확대, 지역 디지털 문해교육의 인적·물적 기반 강화, 지방정부 차원의 디지털 문해교육 코디네이터의 공적 양성·임용 확대 등이다. 셋째, 디지털 문해 전문 코디네이터를 양성해야 하는 바, 양성 주최기관, 양성 주관기관, 양성대상, 지원자격, 교육내용, 양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고, 지방정부의 자격부여·선발 및 임용, 관리와 지원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지역 대학을 거점으로 하는 양성과정을 통해 IT관련 교육 이수와 함께 2~3급의 평생교육사 자격을 취득한 ‘디지털 문해 코디네이터’를 양성하도록 구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policy plan which local government operate systematically regional talents who take charge of essential labor in the public spher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drawing up the policy plan is that local government directly cultivate, employ, and manage the regional talents necessary to the region itself, and institutionalize to serve their own region. So, the policy plan is consisted of how to cultivate, employ, and manage the regional public talents to take charg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 designed that they can complete the prescribed IT curriculum and acquir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or through training course of universities and the related institutions in the region, and that local government qualify, select, employ, and manage them as digital literacy coordinators, that is, lifelong educator specializing in digital liter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policy plan which local government operate systematically regional talents who take charge of essential labor in the public spher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drawing up the po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policy plan which local government operate systematically regional talents who take charge of essential labor in the public spher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drawing up the policy plan is that local government directly cultivate, employ, and manage the regional talents necessary to the region itself, and institutionalize to serve their own region. So, the policy plan is consisted of how to cultivate, employ, and manage the regional public talents to take charg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 designed that they can complete the prescribed IT curriculum and acquir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or through training course of universities and the related institutions in the region, and that local government qualify, select, employ, and manage them as digital literacy coordinators, that is, lifelong educator specializing in digital litera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부태, "한국학력·학벌사회론: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경북대학교출판부 2022

      2 "한국판뉴딜" 디지털뉴딜

      3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2.0: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4 조정봉,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도서출판 살림터 2017

      5 "평생교육사 자격관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6 "평생교육사"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7 "평생교육법시행령" 국가법령정보센터

      8 "평생교육법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9 "평생교육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0 최예나, "코로나19 시대 디지털 기술 수용이 도시주민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3 (33): 187-219, 2021

      1 김부태, "한국학력·학벌사회론: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경북대학교출판부 2022

      2 "한국판뉴딜" 디지털뉴딜

      3 관계부처 합동, "한국판 뉴딜 2.0: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4 조정봉,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도서출판 살림터 2017

      5 "평생교육사 자격관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6 "평생교육사" (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7 "평생교육법시행령" 국가법령정보센터

      8 "평생교육법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9 "평생교육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0 최예나, "코로나19 시대 디지털 기술 수용이 도시주민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33 (33): 187-219, 2021

      11 "초중등교육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2 이정은,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 7 (7): 1-29, 2020

      13 손종현, "지역 공공인재 양성과 임용 확대 방안"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2

      14 국민일보, "지방위기 해법은 디지털...대구시, 혁신인재 육성 ‘올인’"

      15 "지능정보화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6 최숙영,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25-35, 2018

      17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18 BBS, "장원용 원장, “차별화된 대구형 평생학습 프로그램 선보일 것”"

      19 이향수 ; 이성훈 ; 정용훈,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수준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3-48, 2020

      20 함승인 ; 정소연,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자기효능감 및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31 (31): 93-117, 2021

      21 대구광역시, "시민 누구나 무료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신청하세요 보도자료"

      22 강월석 ; 양해슬,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9-38, 2012

      23 브레이크뉴스, "서원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사 자격증 수여식 개최"

      24 강윤주 ; 심보선, "생활예술공동체 내 문화매개자의 역할 분석: 인천 ‘문화바람’의 경우" 비판사회학회 (100) : 335-373, 2013

      25 김효연, "빅데이터와 정치(참여)에서의 세대 간 대표의 불균형 - 정보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76) : 1-27, 2022

      26 위키트리, "미래 핵심 역량 갖춘 지역인재 양성에 손잡다"

      27 지영호 ; 민지은,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29): 28-49, 2015

      28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154-176, 2010

      29 안정임 ;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30 김주훈,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31 조윤희,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고령층 정보화교육 수준 분석 - 고령층 정보화교육 교재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09-518, 2017

      32 김정래, "디지털 리터러시" 해냄 1999

      33 대구일보, "디지털 교육 플렛폼, 공공도서관"

      34 허성호,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9-15, 2020

      35 "대구통계"

      36 국제뉴스, "대구창의융합교육원, 2020 인공지능과 교육, 릴레이 초청 특강"

      37 경북도민일보, "대구시, 올해 어르신 일자리 3만 개 만든다"

      38 대구광역시 컬러풀 뉴스룸, "대구시, 대구·경북 여행사 디지털 역량 실무교육 확대 실시"

      39 대구광역시, "대구시, ‘디지털배움터’ 강사, 서포터즈 및 교육생 사전 모집 보도자료"

      40 대구광역시, "대구시, ‘디지털배움터’ 강사, 서포터즈 및 교육생 사전 모집 보도자료"

      41 영남일보, "대구동부도서관,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강좌 수강신청 모집"

      42 매일신문, "대구노인복지관협회, KT와 함께 시니어 ICT리터러시 활동"

      43 대구신문, "대구글로벌교육센터 4일 개관"

      44 대경일보, "대구교육청, 대구민주시민교육센터 개관식"

      45 뉴스1, "대구교육청, 2023년까지 가정 학교에 원격수업 시설 확충"

      46 매일신문, "대구 평생학습 열기 뜨거워"

      47 영남일보, "대구 수성구립 용학도서관, 리터러시 세미나"

      48 영남일보, "대구 수성구립 용학도서관, ‘새로운 노인상, 신노인 되기’ 프로그램 운영"

      49 국제뉴스, "대구 미디어교육 경북대학교,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한다"

      50 영남일보, "대구 ‘시청자미디어센터’ 왜 필요한가...전염병처럼 번지는 괴담.가짜뉴스 차단 첨병 역할"

      51 대구광역시, "누구나 무료로 ‘디지털 시민’이 되는 교육 받아보세요 보도자료"

      52 김승환 ; 성욱준,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7 (27): 19-38, 2020

      53 지경미 ; 김남숙,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2 (12): 1601-1616, 2021

      54 "기관정보" 대구평생학습진흥원

      55 "교육협동조합 세움" Naver 블로그

      5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 2021년 디지털 격차 등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57 "공지사항" 대구평생학습진흥원

      58 "고등교육법" 국가법령정보센터

      59 브레이크뉴스, "경주 동국대, 디지털 미디어 자격증 취득과정 연다"

      60 영남일보, "경일대-대구평생학습진흥원, ‘스마트시민을 함께 양성합니다"

      61 "각종 법령(해당 웹페이지 참조)"

      62 전자신문, "KT, 취약계층 디지털 격차 해소 위해 비대면 교육프로그램 운영...복지관에 태블릿 장비 80대 지원"

      63 김문조, "AI 시대의 디지털 격차" 지역사회학회 21 (21): 59-88, 2020

      64 교육부, "2022학년도 교육자격검정 실무편람"

      65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21년도 국가균형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 2022

      66 대구광역시, "2021년 시민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한 디지털 배움터 모집 공지 사항"

      67 교육부, "2020 평생교육 백서" 2021

      6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