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용 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디자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75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미용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에 사용된 미용기법, 디자인요소와 메이크업 변화양상을 종단적으
      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차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컨슈머
      스타일을 중심으로, 연구Ⅱ에서는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
      화양상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용기법, 디자인요소,
      메이크업 유형의 세부 유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미용기법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커트기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 모두 탑 부분의 경우,
      1980년대에는 탑 부분을 살리지 않았으나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탑 부분을
      살려주는 커트기법을 사용하였다. 프린지는 1980년대 앞머리를 자르지 않은 길고
      무거운 형태에서 1990년대 이후부터는 전체적인 커트선이 가벼워지면서 앞머리
      가 대칭 비대칭으로 짧게 커트된 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네이프의 경우, 전 시
      기에 걸쳐 수평라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컬러링 기법에 있어서는 탈색기법 위
      주에서 1990년대 이후 염색과 탈색이 병행된 기법이 사용되어 다양화가 이루어
      졌으며, 오리지널 세트기법에 있어서도 1980년대는 젤, 무스 등으로 디자인의 무
      게감과 형태감을 강조한 몰딩기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컬의
      느낌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드라이 기법 중심으로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디자인 요소들의 각각의 변화양상은 다음
      과 같다. 전체 윤곽선을 보여주는 디자인 모양은 컨슈머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삼각형과 마름모형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삼각형
      모양의 디자인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헤어바이나이트의 경우에는 1980
      년대는 사이드 전두부 쪽에 S웨이브의 볼륨감이 풍성한 마름모형 디자인에서
      199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가벼운 커트선을 강조해주는 삼각형 디자인 연출의
      크게 증가하였다. 컬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의 경우에는 탑, 백과 네이
      프 부분에는 전 시기별로 주로 C컬이 사용되었으나 프론트와 사이드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S컬이, 1990년 이후부터 J컬이 많이 나타났다. 헤어바이나이트는 컬
      유형에 있어서는 탑의 경우, C컬이 전 시기별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000년
      이후에는 J컬 또한 증가하였다. 프론트와 사이드에 있어서는 1980년대 중반에는
      디자인의 무게감 또는 연결성을 나타내는 S컬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중
      반부터는 앞머리 커트가 길고 가벼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된 웨이브의 흐름인
      J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C컬의 디자인을 대부분 사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색
      상계열을 살펴보면, 1980년대에는 옐로우, 브라운, 오렌지 색상과 같은 단색이 주
      로 많았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는 옐로우- 오렌지 또는 레드- 오렌지와 같은 색상
      으로 모발 끝으로 갈수록 밝아지는 그라데이션이 강조된 색상 연출이 두드러졌
      다. 또한 헤어바이나이트 스타일의 특징인 피스 사용에 있어서는 1980년대는 1개
      의 피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는 2개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부
      터는 3개가 사용되어 시기별로 사용 개수가 증가하였다. 피스사용 위치는 1980
      년대에는 네이프를 중심으로 연출되다가 1990년대부터는 탑과 전두부인 정면에
      서의 디자인 연출이 이루어졌으며, 형태에 있어서도 최근으로 갈수록 뱅· 분수·
      S형· 원형 등의 혼합 형태가 많이 나타나 화려한 컬러와 함께 피스를 이용한 장
      식적인 효과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헤어바이나이
      트에 사용된 장식소품으로는 주로 보석(큐빅류)· 비쥬 및 크리스탈이 많이 사용되
      었다. 마지막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에 사용된 메이크업 유형은 다음과 같
      이 변화하였다. 1980년대는 색상위주의 A유형 메이크업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에는 눈과 입술을 중점으로 아웃커브 라인을 강조하는 B유형 메이크업
      이 증가하였고 2000년대는 가벼운 커트선 및 컬 유형을 강조하고 색상의 다양성
      과 화려함으로 연출하는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변화로 인해 메이크업 역시
      펄과 라인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예술성을 살린 아트메이크업 형태인 C유형
      메이크업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20여년의 자료 분석을 통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기법 및 유행변화 ,시대별 흐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결과로서 앞으로는 미를 창
      조하는 헤어 드레서 들은 위에서 나타난 스타일에 따른 베이직 적인 부분의 이
      론과 기술적인 부분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섬세히 연구 기록하여 쉽게 받아
      들이고 이해하므로 습득 할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어떤 스타일이건 유행의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고 발휘해야 한다고 본다.
      변화를 살펴보았다. 컬의 유형은 J컬, S컬, C
      컬로 총 3가지로 구분 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네이프 부분으로 나누어 통
      계를 낸 결과로는 우선, 탑의 분석은 < 표 9>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
      =13.376, D.F = 6 , P < 0.001). J컬이 1980년대 후반기까지는 나타나지 않다가 2
      주기, 3주기부터 각각2건(2.9%), 4건(5.9%)으로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현재
      까지 3건(4.4.%)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컬의 경우 1주기와 4주기에
      만 각각 1건(1.5%)으로 나타나 사용비율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고1990년도
      초반기부터 2000년도 현재까지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컬의 경우 1980
      년 초반기부터 5건(7.4%)으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후반기까지 23건(33.8%)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00년도에서 현재까지 28건(41.2%)으로 가장 많은 분석결
      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탑 부분의 컬 유형은 C컬을 주로 사용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등
      에 자연스럽게 연결 하는 결론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미용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에 사용된 미용기법, 디자인요소와 메이크업 변화양상을 종단적으 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미용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에 사용된 미용기법, 디자인요소와 메이크업 변화양상을 종단적으
      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차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컨슈머
      스타일을 중심으로, 연구Ⅱ에서는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
      화양상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용기법, 디자인요소,
      메이크업 유형의 세부 유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미용기법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커트기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 모두 탑 부분의 경우,
      1980년대에는 탑 부분을 살리지 않았으나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탑 부분을
      살려주는 커트기법을 사용하였다. 프린지는 1980년대 앞머리를 자르지 않은 길고
      무거운 형태에서 1990년대 이후부터는 전체적인 커트선이 가벼워지면서 앞머리
      가 대칭 비대칭으로 짧게 커트된 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네이프의 경우, 전 시
      기에 걸쳐 수평라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컬러링 기법에 있어서는 탈색기법 위
      주에서 1990년대 이후 염색과 탈색이 병행된 기법이 사용되어 다양화가 이루어
      졌으며, 오리지널 세트기법에 있어서도 1980년대는 젤, 무스 등으로 디자인의 무
      게감과 형태감을 강조한 몰딩기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컬의
      느낌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드라이 기법 중심으로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디자인 요소들의 각각의 변화양상은 다음
      과 같다. 전체 윤곽선을 보여주는 디자인 모양은 컨슈머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삼각형과 마름모형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삼각형
      모양의 디자인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헤어바이나이트의 경우에는 1980
      년대는 사이드 전두부 쪽에 S웨이브의 볼륨감이 풍성한 마름모형 디자인에서
      199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가벼운 커트선을 강조해주는 삼각형 디자인 연출의
      크게 증가하였다. 컬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의 경우에는 탑, 백과 네이
      프 부분에는 전 시기별로 주로 C컬이 사용되었으나 프론트와 사이드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S컬이, 1990년 이후부터 J컬이 많이 나타났다. 헤어바이나이트는 컬
      유형에 있어서는 탑의 경우, C컬이 전 시기별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000년
      이후에는 J컬 또한 증가하였다. 프론트와 사이드에 있어서는 1980년대 중반에는
      디자인의 무게감 또는 연결성을 나타내는 S컬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중
      반부터는 앞머리 커트가 길고 가벼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된 웨이브의 흐름인
      J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C컬의 디자인을 대부분 사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색
      상계열을 살펴보면, 1980년대에는 옐로우, 브라운, 오렌지 색상과 같은 단색이 주
      로 많았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는 옐로우- 오렌지 또는 레드- 오렌지와 같은 색상
      으로 모발 끝으로 갈수록 밝아지는 그라데이션이 강조된 색상 연출이 두드러졌
      다. 또한 헤어바이나이트 스타일의 특징인 피스 사용에 있어서는 1980년대는 1개
      의 피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는 2개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부
      터는 3개가 사용되어 시기별로 사용 개수가 증가하였다. 피스사용 위치는 1980
      년대에는 네이프를 중심으로 연출되다가 1990년대부터는 탑과 전두부인 정면에
      서의 디자인 연출이 이루어졌으며, 형태에 있어서도 최근으로 갈수록 뱅· 분수·
      S형· 원형 등의 혼합 형태가 많이 나타나 화려한 컬러와 함께 피스를 이용한 장
      식적인 효과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헤어바이나이
      트에 사용된 장식소품으로는 주로 보석(큐빅류)· 비쥬 및 크리스탈이 많이 사용되
      었다. 마지막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에 사용된 메이크업 유형은 다음과 같
      이 변화하였다. 1980년대는 색상위주의 A유형 메이크업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에는 눈과 입술을 중점으로 아웃커브 라인을 강조하는 B유형 메이크업
      이 증가하였고 2000년대는 가벼운 커트선 및 컬 유형을 강조하고 색상의 다양성
      과 화려함으로 연출하는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변화로 인해 메이크업 역시
      펄과 라인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예술성을 살린 아트메이크업 형태인 C유형
      메이크업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20여년의 자료 분석을 통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기법 및 유행변화 ,시대별 흐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결과로서 앞으로는 미를 창
      조하는 헤어 드레서 들은 위에서 나타난 스타일에 따른 베이직 적인 부분의 이
      론과 기술적인 부분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섬세히 연구 기록하여 쉽게 받아
      들이고 이해하므로 습득 할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어떤 스타일이건 유행의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고 발휘해야 한다고 본다.
      변화를 살펴보았다. 컬의 유형은 J컬, S컬, C
      컬로 총 3가지로 구분 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네이프 부분으로 나누어 통
      계를 낸 결과로는 우선, 탑의 분석은 < 표 9>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
      =13.376, D.F = 6 , P < 0.001). J컬이 1980년대 후반기까지는 나타나지 않다가 2
      주기, 3주기부터 각각2건(2.9%), 4건(5.9%)으로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현재
      까지 3건(4.4.%)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컬의 경우 1주기와 4주기에
      만 각각 1건(1.5%)으로 나타나 사용비율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고1990년도
      초반기부터 2000년도 현재까지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컬의 경우 1980
      년 초반기부터 5건(7.4%)으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후반기까지 23건(33.8%)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00년도에서 현재까지 28건(41.2%)으로 가장 많은 분석결
      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탑 부분의 컬 유형은 C컬을 주로 사용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등
      에 자연스럽게 연결 하는 결론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 4
      •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4
      • 2. 연구 내용 및 범위 ·········································· 5
      • Ⅱ. 이론적 고찰 ············································ 6
      • 목 차
      • Ⅰ. 서 론 ············································· 4
      •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 4
      • 2. 연구 내용 및 범위 ·········································· 5
      • Ⅱ. 이론적 고찰 ············································ 6
      • 1. 컨슈머 스타일( Con s u m er S t y le) ······························· 6
      • 1- 1. 컨슈머의 개념 ······································· 6
      • 1- 2. 컨슈머 도입과 흐름 ········································ 7
      • 1- 3. 컨슈머의 과정 ····································· 8
      • 2. 헤어바이나이트 스타일( H a ir b y N ig h t s t y le) ····················· 12
      • 2- 1. 헤어바이나이트의 개념 ······································· 12
      • 2- 2. 헤어바이나이트의 도입과 흐름 ···································· 13
      • 2- 3. 헤어바이나이트의 과정 ······································· 14
      • Ⅲ. 연 구 방 법 ········································· 19
      • 1. 연구문제 ··············································· 19
      • 1- 1. 연구 I의 연구문제 ············································ 19
      • 1- 2. 연구 II의 연구문제 ············································ 20
      • 2. 분석대상 선정 ·········································· 20
      • 3. 용어 정의 ············································· 21
      • 4. 분석유목 ·············································· 26
      • 4- 1. 연구 I의 분석유목 ········································· 27
      • 4- 2. 연구 II의 분석유목 ·········································· 28
      •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9
      • 1. 연구 I의 결과 및 분석 ····································· 29
      • 1- 1. 연구문제 1의 결과 ······································· 30
      • 1- 2. 연구문제 2의 결과 ···································· 36
      • 1- 3. 연구문제 3의 결과 ······································· 44
      • 2. 연구 II의 결과 및 분석 ········································· 45
      • 2- 1. 연구문제 1의 결과 ········································· 46
      • 2- 2. 연구문제 2의 결과 ········································ 53
      • 2- 3. 연구문제 3의 결과 ············································· 65
      • Ⅴ. 결 론 ·············································· 67
      • 참고문헌 ················································· 71
      • A B S T RA CT ········································ 72
      • 부록 ·············································· 74
      • 표 차 례
      • < 표 1 > 연도별 컨슈머 사진 분석 수 ·························· 30
      • < 표 2 > 컨슈머에 나타난 T op 커트 변화 ······················ 32
      • < 표 3 > 컨슈머에 나타난 F ring e 커트 변화 ·························· 33
      • < 표 4 > 컨슈머에 나타난 Nape 커트 변화 ·························· 33
      • < 표 5 > 컨슈머에 나타난 컬러링 기법 변화 ···························· 35
      • < 표 6 > 컨슈머에 나타난 오리지날 세트 기법 변화 ······························ 36
      • < 표 7 > 컨슈머에 나타난 디자인 모양 변화 ··························· 37
      • < 표 8 > 컨슈머에 나타난 색상 계열 변화 ····························· 39
      • < 표 9 > 컨슈머에 나타난 T op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40
      • < 표 10 > 컨슈머에 나타난 F ront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41
      • < 표 11 > 컨슈머에 나타난 S ide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42
      • < 표 12> 컨슈머에 나타난 Back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43
      • < 표 13 > 컨슈머에 나타난 Nape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44
      • < 표 14 > 컨슈머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변화 ······························· 45
      • < 표 15 > 연도별 헤어바이나이트 사진 분석 수 ····························· 46
      • < 표 16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T op 커트 변화 ························· 47
      • < 표 17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F ring e 커트 변화 ························ 49
      • < 표 18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Nape 커트 변화..............................................49
      • < 표 19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컬러링 기법 변화 ······················· 50
      • < 표 20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오리지널 셋트 기법의 변화 ··················· 52
      • < 표 21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디자인 모양 변화 ························ 54
      • < 표 22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색상 계열 변화 ······················ 55
      • < 표 23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T op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56
      • < 표 24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F ront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57
      • < 표 25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S ide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58
      • < 표 26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Back 부분 컬의 유형 변화 ···················· 59
      • < 표 27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피스 갯수의 변화 ··························· 60
      • < 표 28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피스 위치의 변화 ····························· 61
      • < 표 29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피스 형태의 변화 ··························· 62
      • < 표 30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장식 및 소품의 변화 ························ 64
      • < 표 31 > 헤어바이나이트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변화...........................................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