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실험조사를 통한 보행자의 장애물 회피행태 분석 - 영상검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 = Analysis of Obstacle Avoidance Behavior of Pedestrian from Field Survey Using Video Trackin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3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ditional pedestrian flow theory has been studied in macro level. There are difficult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because analysis index and method of the data for each pedestrian do not exist. This paper selects and develops index that measures individual pedestrian characteristics using existing literature and basic concept. And then we evaluate each index of pedestria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condition through experimental investigation.
      Microscopic Pedestrian Behavior Analysis Index is developed such as individual distance, total distance, straight-line distance, individual speed, average speed(time), total average speed, acceleration, moving direction,change of moving direction, space using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obstacle avoidance distance, avoidance angle (based on an obstacle and pedestrian's direction), avoidance direction.
      Results show that general walking speed is calculated as 1.32m/s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one when one avoids obstacle, and fast speed is calculated 1.73m/s. Space usage characteristics in a common pathway are similar to normal distribution. It has different walking patterns on pre avoidance, post avoidance, avoidance time respectively.
      Avoidance distance of fixed obstacle is calculated 3.45m, and avoidance angle by straight is calculated 9.34 degree. That shows that pedestrians have a prior recognition in front obstacle. Obstacle avoidance direction rate is calculated 52.63%. This value shows pedestrian tends to prefer the right.
      번역하기

      The traditional pedestrian flow theory has been studied in macro level. There are difficult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because analysis index and method of the data for each pedestrian do not exist. This paper selects and develop...

      The traditional pedestrian flow theory has been studied in macro level. There are difficult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s because analysis index and method of the data for each pedestrian do not exist. This paper selects and develops index that measures individual pedestrian characteristics using existing literature and basic concept. And then we evaluate each index of pedestria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condition through experimental investigation.
      Microscopic Pedestrian Behavior Analysis Index is developed such as individual distance, total distance, straight-line distance, individual speed, average speed(time), total average speed, acceleration, moving direction,change of moving direction, space using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obstacle avoidance distance, avoidance angle (based on an obstacle and pedestrian's direction), avoidance direction.
      Results show that general walking speed is calculated as 1.32m/s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one when one avoids obstacle, and fast speed is calculated 1.73m/s. Space usage characteristics in a common pathway are similar to normal distribution. It has different walking patterns on pre avoidance, post avoidance, avoidance time respectively.
      Avoidance distance of fixed obstacle is calculated 3.45m, and avoidance angle by straight is calculated 9.34 degree. That shows that pedestrians have a prior recognition in front obstacle. Obstacle avoidance direction rate is calculated 52.63%. This value shows pedestrian tends to prefer the righ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인 보행류 이론은 거시적 수준에서만 연구되어 왔으며, 미시적 보행행태는 개별 시간 동안 각각의 보행자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분석 요소들이 없어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기본 개념들을 이용하여 개별 보행자의 행태를 알아볼 수 있는 요소들을 선정 및 개발하고 실험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분석요소로 평가하여 보행행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요소로는 개별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n 시간 동안의 총 이동거리, n 시간 동안 이동한 직선거리, 개별 시간 동안의 속도, 개인의 평균속도(시간의 평균속도), 공간에 대한 평균속도, 감가속도, 이동방향, 이동방향 변화량, 보행자의 공간 이용행태, 회피 시작 시 장애물과의 거리, 회피 각, 회피 방향비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결과 보통 걸음일 때 속도는 1.32m/s로 장애물 회피 시와 거의 유사하게 산출되었으며, 빠른 걸음일 때는 1.73m/s로 산출되었다. 일반적인 통로에서 공간이용행태는 정규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회피 전, 회피 시, 회피 후 각각 다른 보행패턴을 보인다. 고정된 장애물의 평균 회피거리는 3.45m로 나타났으며, 회피각은 직진 기준으로 9.34°(degree)로 사전에 장애물을 인지하여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회피 방향비는 52.63%로 우측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번역하기

      전통적인 보행류 이론은 거시적 수준에서만 연구되어 왔으며, 미시적 보행행태는 개별 시간 동안 각각의 보행자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분석 요소들이 없어 이해하기 어려운 실...

      전통적인 보행류 이론은 거시적 수준에서만 연구되어 왔으며, 미시적 보행행태는 개별 시간 동안 각각의 보행자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분석 요소들이 없어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기본 개념들을 이용하여 개별 보행자의 행태를 알아볼 수 있는 요소들을 선정 및 개발하고 실험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분석요소로 평가하여 보행행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요소로는 개별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n 시간 동안의 총 이동거리, n 시간 동안 이동한 직선거리, 개별 시간 동안의 속도, 개인의 평균속도(시간의 평균속도), 공간에 대한 평균속도, 감가속도, 이동방향, 이동방향 변화량, 보행자의 공간 이용행태, 회피 시작 시 장애물과의 거리, 회피 각, 회피 방향비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결과 보통 걸음일 때 속도는 1.32m/s로 장애물 회피 시와 거의 유사하게 산출되었으며, 빠른 걸음일 때는 1.73m/s로 산출되었다. 일반적인 통로에서 공간이용행태는 정규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회피 전, 회피 시, 회피 후 각각 다른 보행패턴을 보인다. 고정된 장애물의 평균 회피거리는 3.45m로 나타났으며, 회피각은 직진 기준으로 9.34°(degree)로 사전에 장애물을 인지하여 회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회피 방향비는 52.63%로 우측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효석, "환승 계단 보행 교통류의 거시적 지표 관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2 임진경,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 24 (24): 723-728, 2004

      3 세인시스템, "연계환승 유도안내 검지기술 개발 4차년도 최종 보고서" 국토해양부 2010

      4 문태헌,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보행자 에이전트(Agent) 모형의 개발과 시뮬레이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9-92, 2006

      5 박동주, "보행목적에 따른 보행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6 건설교통부, "도로용량편람"

      7 진수정, "길의 경사도에 따른 보행패턴의 변화가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8 서울대학교,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기술개발 4차년도 최종 보고서" 국토해양부 2010

      9 Th. Robin, "Specification,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a pedestrian walking behavior model" 43 : 36-56, 2009

      10 Helbing, D, "Self-Organization Phenomena in Pedestrian Crowds, In Self-Organization of Complex Structures: From Individual to Collective Dynamics" Gordon and Breach 569-577, 1997

      1 장효석, "환승 계단 보행 교통류의 거시적 지표 관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2 임진경,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 24 (24): 723-728, 2004

      3 세인시스템, "연계환승 유도안내 검지기술 개발 4차년도 최종 보고서" 국토해양부 2010

      4 문태헌,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보행자 에이전트(Agent) 모형의 개발과 시뮬레이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9-92, 2006

      5 박동주, "보행목적에 따른 보행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6 건설교통부, "도로용량편람"

      7 진수정, "길의 경사도에 따른 보행패턴의 변화가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8 서울대학교,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기술개발 4차년도 최종 보고서" 국토해양부 2010

      9 Th. Robin, "Specification,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a pedestrian walking behavior model" 43 : 36-56, 2009

      10 Helbing, D, "Self-Organization Phenomena in Pedestrian Crowds, In Self-Organization of Complex Structures: From Individual to Collective Dynamics" Gordon and Breach 569-577, 1997

      11 Navin, F. D., "Pedestrian flow characteristics" 39 : 30-36, 1969

      12 Fruin, J. J.,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Inc 1971

      13 K. Teknomo, "Microscopic Pedestrian Flow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an Image Processing Data Collection and Simulation Model" Information Sciences Tohoku University 2002

      14 S. P. Hoogendoorn, "Extracting microscopic pedestrian characteristics from video data" 2003

      15 MS Tarawneh, "Evaluation of pedestrian speed in Jordan with investigation of some contributing factors" 229-236, 2001

      16 G. Antonini, "Discrete choice models of pedestrian walking behavior" 40 : 667-, 2006

      17 K. Teknomo, "Determination of pedestrian flow performance based on video tracking and microscopic simulations" 23 : 639-642, 2000

      18 Fruin, J. J., "Designing for Pedestrians: A Level of Service Concept" 355 : 1-15, 1971

      19 구석모, "CA이론을 이용한 환승계단의 보행자 행태 모형 구축 및 평가" 서울시립대학교 2006

      20 K. Teknomo, "Application of microscopic pedestrian simulation model" 9 : 15-, 2006

      21 G. Antonini, "A discrete choice pedestrian behavior model for pedestrian detection in visual tracking systems"

      22 G Antonini, "A Discrete Choice Modeling Framework for Pedestrian Walking Behavior with Application to Human Tracking in Video Sequences" 40 (40): 667-68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