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민심서(牧民心書)의 경제지리 = Jeong Da-san(丁茶山), His View of Economic Geography - Focused on Mokminsimseo(牧民心書)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5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was one of the notable realist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He accentuate the need of national riches and stabilization of the public welfare through his reformal proposal on actual condition. He regarded geography as the necessary knowledge to achieve the national riches and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We can read the contents on agricultural policy and encouragement of farming in Mokminsimseo(牧民心書).
      In Mokminsimseo(牧民心書), as coverage on economic geography, he present various policy of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as device of agricultural promotion and urges governor's initiative on this. On policy of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he insisted that the farmers have side job like horticulture, se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for their rural economy.
      In sum, Da-san Jeong Yak-yong regarded economic geography as a important subject under realism which aims at improving and reforming contemporary world against 주자학 oriented Confucian classics
      번역하기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was one of the notable realist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He accentuate the need of national riches and stabilization of the public welfare through his reformal proposal on actual cond...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was one of the notable realist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He accentuate the need of national riches and stabilization of the public welfare through his reformal proposal on actual condition. He regarded geography as the necessary knowledge to achieve the national riches and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We can read the contents on agricultural policy and encouragement of farming in Mokminsimseo(牧民心書).
      In Mokminsimseo(牧民心書), as coverage on economic geography, he present various policy of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as device of agricultural promotion and urges governor's initiative on this. On policy of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he insisted that the farmers have side job like horticulture, ser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for their rural economy.
      In sum, Da-san Jeong Yak-yong regarded economic geography as a important subject under realism which aims at improving and reforming contemporary world against 주자학 oriented Confucian class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산 정약용은 18세기 후반의 조선왕조 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다. 정약용의 목민심서의 지리적 가치와 담고 있는 다산의 지리적 사고 내지 철학에 대한 종합적 조명을 통해, 속에 담긴 지리관을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목민심서에서 실학자 정 다산의 지리적 관심은, 지리지식을 실학의 실용적 지식으로 보고 있고, 이러한 실용적이고 유용한 지리지식을 바탕으로 농촌사회를 경제적으로 부요하게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특히 권농정책에 대한 지대한 관심은 토지정책과 영농기술, 농구제작, 주요 과일의 분업적 전문생산, 농촌사회에서의 부업장려 등 농업경제의 활성화 방안에 두루 이르렀다. 목민관으로서의 다산의 주요 관심과 사상의 흐름은 현실세계에 대한 개혁적 대안을 제시하여 부국과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지리지식 내지 지리적 사고에 대한 그의 생각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의 지리적 식견과 이해는 오늘날의 그것과 비교해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중심을 꿰뚫는 논리적 명쾌함과 정확한 지리적 사고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의 지리적 사고와 지리관은 당대의 농촌주민들의 생활에 개혁적 변화를 유도한 것이며, 행정관으로서의 리더십을 빛나게 만드는 실사구시적 도구로 충분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목민심서를 통해 목민관은 민간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적극 보호하되 그것은 국가 재정체계와 직결된 합법적인 형태의 것이 되도록 해야 하는 한편, 노동의 분업과 기술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청사(廳舍)의 보수와 환경미화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상공업 활동에 필요한 도로(道路) 개발도 서두를 것을 권장함으로써,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방면에 근대 자본주의를 내재적으로 준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다산 정약용은 18세기 후반의 조선왕조 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다. 정약용의 목민심서의 지리적 가치와 담고 있는 다산의 지리적 사고 내지 철학에 대한 종합적 조명을 통해, 속에 담긴 지...

      다산 정약용은 18세기 후반의 조선왕조 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다. 정약용의 목민심서의 지리적 가치와 담고 있는 다산의 지리적 사고 내지 철학에 대한 종합적 조명을 통해, 속에 담긴 지리관을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목민심서에서 실학자 정 다산의 지리적 관심은, 지리지식을 실학의 실용적 지식으로 보고 있고, 이러한 실용적이고 유용한 지리지식을 바탕으로 농촌사회를 경제적으로 부요하게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특히 권농정책에 대한 지대한 관심은 토지정책과 영농기술, 농구제작, 주요 과일의 분업적 전문생산, 농촌사회에서의 부업장려 등 농업경제의 활성화 방안에 두루 이르렀다. 목민관으로서의 다산의 주요 관심과 사상의 흐름은 현실세계에 대한 개혁적 대안을 제시하여 부국과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지리지식 내지 지리적 사고에 대한 그의 생각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적인 것으로 보았다. 그의 지리적 식견과 이해는 오늘날의 그것과 비교해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중심을 꿰뚫는 논리적 명쾌함과 정확한 지리적 사고에 바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의 지리적 사고와 지리관은 당대의 농촌주민들의 생활에 개혁적 변화를 유도한 것이며, 행정관으로서의 리더십을 빛나게 만드는 실사구시적 도구로 충분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목민심서를 통해 목민관은 민간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적극 보호하되 그것은 국가 재정체계와 직결된 합법적인 형태의 것이 되도록 해야 하는 한편, 노동의 분업과 기술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청사(廳舍)의 보수와 환경미화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상공업 활동에 필요한 도로(道路) 개발도 서두를 것을 권장함으로써, 지리적 사고와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방면에 근대 자본주의를 내재적으로 준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풍수사상의 이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1991

      2 "청담 이중환의 지리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지리학과 4 : 1977

      3 "조선후기의 사회변동과 지배층의 동향" 계명대 18 : 1991

      4 "조선후기 향촌사회구조의 변동 정다산과 그 시대" 1986

      5 "조선후기 지리학 발달의 배경과 연구전통"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992

      6 "조선후기 실학의 개혁사상" 1984

      7 "조선실학지식인의 한역서학지리서 이해" 민음사 1991

      8 "조선시대 지리서 연구 서설 지리학의 과제와 접근방법" 1984

      9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 1959

      10 안병식, "정다산연구의 현황" 1985

      1 "한국 풍수사상의 이해를 위하여 한국의 전통지리사상" 1991

      2 "청담 이중환의 지리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지리학과 4 : 1977

      3 "조선후기의 사회변동과 지배층의 동향" 계명대 18 : 1991

      4 "조선후기 향촌사회구조의 변동 정다산과 그 시대" 1986

      5 "조선후기 지리학 발달의 배경과 연구전통"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4 : 1992

      6 "조선후기 실학의 개혁사상" 1984

      7 "조선실학지식인의 한역서학지리서 이해" 민음사 1991

      8 "조선시대 지리서 연구 서설 지리학의 과제와 접근방법" 1984

      9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 1959

      10 안병식, "정다산연구의 현황" 1985

      11 "역주 목민심서 Ⅲ" 1985

      12 "여유당 전서의 텍스트검토 정다산연구의 현황" 1985

      13 "다산의 생애와 사상" 1986

      14 "다산논설선집" 1996

      15 "다산 정약용의 지리사상"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91

      16 "다산 정약용의 지리론 연구" 1987

      17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활동" p 11 : 1990

      18 "국역다산시문집 Ⅴ" 민족문화추진회 1983

      19 "국역다산시문집 Ⅳ" 민족문화추진회 1982

      20 "茶山先生의 生涯와 業績"

      21 "16-17세기 읍지의 편찬배경과 그 성격" 대한지리학회 27 :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319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