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기(禮記) ≫의 ≪ 오경(五經)≫ 편입과 그 의의 = Essays : The Process and Meaning of Liji(禮記) Included in Wujing(五經)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現存禮學的儒家經典共有≪儀禮≫·≪周禮≫·≪小戴禮記≫·≪大戴禮記≫四種. 但其中唯有≪禮記≫被納入≪五經≫, 從而영得獨一無二的地位. 可是就漢代言之, ≪儀禮≫和≪周禮≫却是�...

      現存禮學的儒家經典共有≪儀禮≫·≪周禮≫·≪小戴禮記≫·≪大戴禮記≫四種. 但其中唯有≪禮記≫被納入≪五經≫, 從而영得獨一無二的地位. 可是就漢代言之, ≪儀禮≫和≪周禮≫却是經; ≪禮記≫不過是解經的`記`. 東漢末鄭玄所註≪儀禮≫·≪周禮≫·≪小戴禮記≫三種, 由是獲≪三禮≫之名. 從此≪大戴禮記≫失勢, 到唐代八十五篇中僅存三十九篇. 唐太宗爲統一經學詔顔師古考定≪五經≫正文, 幷詔孔穎達與諸儒撰定≪五經≫義疏. 此義疏正是≪五經正義≫, 而≪三禮≫之中僅有≪禮記≫被納入禮經. 從此≪儀記≫成爲≪五經≫之一, ≪儀禮≫和≪周禮≫的地位不如≪禮記≫. 顔師古和孔穎達采納≪禮記≫的原因不明確. 依筆者考究, 孔穎達關注≪禮記≫的涵蓋整個朝代的節文義理及體履兼備的綜合性, 認爲比記錄周朝規範和職制的≪儀禮≫·≪周禮≫更有用於世, 從而意圖以≪禮記≫包羅≪三禮≫來撰定≪禮記正義≫. 故此, 孔穎達撰定≪禮記正義≫的結果, 形成`禮`不是規範節次和職官制度, 是囊括一切古代文化的觀念, ≪禮記≫被納入≪五經≫的意義就在於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