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분자역학을 사용한 단층 그래핀 시트의 모드 III 파괴인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3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단층 그래핀 시트(Single layer graphene sheet, SLGS)의 찢어짐 모드(모드 III) 파괴 예측을 위한 원자기반 미세결합요소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그래핀 시트의 최대 변형률 관계를 예측하기 위해 수정된 모스포텐셜을 사용한다. 면외 전단하중 조건에서 그래핀의 모드 III 파괴를 광범위한 분자역학(Molecular mechanics, MM) 시뮬레이션으로 조사하였다. 분자역학은 원자의 균열선단 근처 원자의 변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선형탄성파괴역학은 이 영역 바깥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해석 결과 분자역학 방법이 SLGS 의 전단 물성 계산뿐만 아니라 armchair 및 zigzag 방향 모드 III 파괴인성 연구에도 단순하면서도 신뢰할만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SLGS 의 모드 III 파괴인성은 zigzag 방향에 대해, 0.86MPa√m armchair 방향에 대해 0.93 MPa√m 로 예측되었다.
      번역하기

      단층 그래핀 시트(Single layer graphene sheet, SLGS)의 찢어짐 모드(모드 III) 파괴 예측을 위한 원자기반 미세결합요소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그래핀 시트의 최대 변형률 관계를 예측하기 위...

      단층 그래핀 시트(Single layer graphene sheet, SLGS)의 찢어짐 모드(모드 III) 파괴 예측을 위한 원자기반 미세결합요소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그래핀 시트의 최대 변형률 관계를 예측하기 위해 수정된 모스포텐셜을 사용한다. 면외 전단하중 조건에서 그래핀의 모드 III 파괴를 광범위한 분자역학(Molecular mechanics, MM) 시뮬레이션으로 조사하였다. 분자역학은 원자의 균열선단 근처 원자의 변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선형탄성파괴역학은 이 영역 바깥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해석 결과 분자역학 방법이 SLGS 의 전단 물성 계산뿐만 아니라 armchair 및 zigzag 방향 모드 III 파괴인성 연구에도 단순하면서도 신뢰할만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SLGS 의 모드 III 파괴인성은 zigzag 방향에 대해, 0.86MPa√m armchair 방향에 대해 0.93 MPa√m 로 예측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atomistic-based finite bond element model for predicting the tearing mode (mode III) fracture of a singlelayer graphene sheet (SLGS) is developed. The model uses the modified Morse potential for predicting the maximum strain relationship of graphene sheets. The mode III fracture of graphene under out-of-plane shear loading is investigated with extensive molecular mechanics simulations. Molecular mechanics is used for describing the displacements of atoms in the area near a crack tip, and linear elastic fracture mechanics is used outside this area. This work shows that the molecular mechanics method can provide a reliable and yet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not only the shear properties of SLGS but also its mode III fracture toughness in the armchair and the zigzag directions; the determined mode III fracture toughness values of SLGS are 0.86MPa√m and 0.93MPa√m, respectively.
      번역하기

      An atomistic-based finite bond element model for predicting the tearing mode (mode III) fracture of a singlelayer graphene sheet (SLGS) is developed. The model uses the modified Morse potential for predicting the maximum strain relationship of graphen...

      An atomistic-based finite bond element model for predicting the tearing mode (mode III) fracture of a singlelayer graphene sheet (SLGS) is developed. The model uses the modified Morse potential for predicting the maximum strain relationship of graphene sheets. The mode III fracture of graphene under out-of-plane shear loading is investigated with extensive molecular mechanics simulations. Molecular mechanics is used for describing the displacements of atoms in the area near a crack tip, and linear elastic fracture mechanics is used outside this area. This work shows that the molecular mechanics method can provide a reliable and yet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not only the shear properties of SLGS but also its mode III fracture toughness in the armchair and the zigzag directions; the determined mode III fracture toughness values of SLGS are 0.86MPa√m and 0.93MPa√m, respec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단층 그래핀시트의 분석
      • 3. 응력확대계수의 예측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단층 그래핀시트의 분석
      • 3. 응력확대계수의 예측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ddo, R. -C., "π-Electrons in Three Dimensions" 21 : 243-249, 1988

      2 Tserpes, K.-I, "The Effect of Stone–Wales Defect on the Tensile Behavior and Fracture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79 : 581-589, 2007

      3 Li, L.-X, "Tearing, Folding and Deformation of a Carbon–Carbon sp2-Bonded Network" 44 (44): 1544-1547, 2006

      4 Dipanjan, S., "Tearing Graphene Sheets From Adhesive Substrates Produces Tapered Nanoribbons" 6 (6): 1108-1116, 2010

      5 Takazumi, K., "Self-Redirection of Tearing Edges in Graphene: Tight-Bind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80 : 033401-, 2009

      6 Shi, W, "Relationship 00.10.20.30.40.50.60.70.80.910 2 4 6 8 10 12 14 16 18 20Stress intensity factor (KIII), MPa(m)1/2Bond strain ε Between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nd Bond σ in Graphene Sheet" 149 : 105-111, 2008

      7 Rappé, A.-K, "Molecular Mechanics Across Chemistry" University Science Books 1997

      8 Zhang, H.-W, "Influence of Inversion Energy on Elastic Propert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467 : 78-88, 2007

      9 Kundu, T, "Fundamentals of Fracture Mechanic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08

      10 Xiao, J.-R, "Fracture and Progressive Failure of Defective Graphene Sheets and Carbon Nanotubes" 88 : 602-609, 2009

      1 Haddo, R. -C., "π-Electrons in Three Dimensions" 21 : 243-249, 1988

      2 Tserpes, K.-I, "The Effect of Stone–Wales Defect on the Tensile Behavior and Fracture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79 : 581-589, 2007

      3 Li, L.-X, "Tearing, Folding and Deformation of a Carbon–Carbon sp2-Bonded Network" 44 (44): 1544-1547, 2006

      4 Dipanjan, S., "Tearing Graphene Sheets From Adhesive Substrates Produces Tapered Nanoribbons" 6 (6): 1108-1116, 2010

      5 Takazumi, K., "Self-Redirection of Tearing Edges in Graphene: Tight-Bind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80 : 033401-, 2009

      6 Shi, W, "Relationship 00.10.20.30.40.50.60.70.80.910 2 4 6 8 10 12 14 16 18 20Stress intensity factor (KIII), MPa(m)1/2Bond strain ε Between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nd Bond σ in Graphene Sheet" 149 : 105-111, 2008

      7 Rappé, A.-K, "Molecular Mechanics Across Chemistry" University Science Books 1997

      8 Zhang, H.-W, "Influence of Inversion Energy on Elastic Propertie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467 : 78-88, 2007

      9 Kundu, T, "Fundamentals of Fracture Mechanic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08

      10 Xiao, J.-R, "Fracture and Progressive Failure of Defective Graphene Sheets and Carbon Nanotubes" 88 : 602-609, 2009

      11 Xiao, J.-R, "Fracture Behaviors of Graphene Sheets and Carbon Nanotubes" Physics and Applications of Graphene – Theory 2011

      12 전상철, "Fabrication of a Graphene Nanoribbon with Electron Beam Lithography Using a XR-1541/PMMA Lift-Off Process"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1 (11): 190-193, 2010

      13 Shen, L., "Equilibrium Structure and Strain Energ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71 : 165427-, 2005

      14 Han, M.-Y, "Energy Band-Gap Engineering of Graphene Nanoribbons" 98 (98): 206805-, 2007

      15 Khare, R., "Coupled Quantum Mechanical/Molecular Mechanical Modeling of the Fracture of Defective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Sheets" 75 : 075412-, 2007

      16 Huang, X., "Chemomechanics Control of Tearing Paths in Graphene" 85 : 195453-, 2012

      17 Belytschko, T., "Atomistic Simulations of Nanotube Fracture" 65 : 235430-, 2002

      18 Xiao, J. -R., "An Analytical Molecular Structural Mechanics Model for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42 : 3075-3092, 2005

      19 Zhou, X, "A Method for Fabrication of Graphene Oxide Nanoribbons from Graphene Oxide Wrinkles" 113 : 1911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50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