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는 2023년 <강릉한복문화창작소> 사업에 선정되어 한복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본 연구는 강릉시와 강릉문화원이 <창작소>를 중심으로 한복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하고, 19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83851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49(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강릉시는 2023년 <강릉한복문화창작소> 사업에 선정되어 한복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본 연구는 강릉시와 강릉문화원이 <창작소>를 중심으로 한복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하고, 197...
강릉시는 2023년 <강릉한복문화창작소> 사업에 선정되어 한복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본 연구는 강릉시와 강릉문화원이 <창작소>를 중심으로 한복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하고, 1970년대 이후 강릉한복문화의 변천, 현황,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제언한다. 조사 결과 강릉은 전통을 지키려는 노력이 강하지만 트렌드에 약한 경향이 있으며, 한복문화는 도포를 중심으로 영위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강릉한복의 활성화는 <창작소>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며, 이를 위해 정책 입안과 행정조치, 한복체험관 및 대여점 증설, 인적 네트워크 구축, 한복 근무복 개발, 지역 문화행사와의 연계, 대학의 한복교육 지원 등이 필요하다. 또한 킬러 콘텐츠 발굴 및 홍보, 유관 활동 실행, 전통 관련 기관과의 연계, <창작소>의 한복 제작 및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학술 행사, 전시 등의 실행이다. 본 연구는 강릉의 한복 활성화를 위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확인했으며, 전문인력 부족, 트렌드의 뒤처짐, 정책 시행 속도와 예산 부족 등의 한계도 발견했다. 강릉만의 한복을 찾고 활성화하는 것은 이제 시작이며, 이를 통해 강릉을 홍보할 아이템을 발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제언된 활성화 방안이 시행된다면 강릉한복문화는 새로운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ngneung was selected for the <Gangneung Hanbok Culture Creative Service Space> project in 2023, laying the foundation for revitalizing Hanbok. This study presen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Hanbok centered on the <Creative Service Space>...
Gangneung was selected for the <Gangneung Hanbok Culture Creative Service Space> project in 2023, laying the foundation for revitalizing Hanbok. This study presen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Hanbok centered on the <Creative Service Space> by Gangneung-si and Gangneung Cultural Center. It suggests the changes, current status, and future revitalization plan of Gangneung hanbok culture since the 1970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Gangneung is committed to preserving tradition but needs to be more vital to trends, and hanbok culture is centered on dopo. The revitalization of Gangneung hanbok will be centered on the <Creative Service Space>. To this end, policy-making and administrative measures, expansion of hanbok experience centers and rental stores, establishment of human networks, development of hanbok work clothes, linkage with local cultural events, and support for hanbok education at universities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promote killer content, implement related activities, link with traditional organizations, produce and manage Hanbok at the <Creative Service Space>, and operate educational programs, academic events, and exhibi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for revitalizing Gangneung's Hanbok and also found limitations such as a lack of professional workforce, lagging behind trends, policy implementation speed, and budget shortage. Finding and revitalizing Gangneung's Hanbok is just the beginning, a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utilize items that will promote Gangneung through this. If the suggested revitalization plan is i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Gangneung's hanbok culture will be able to develop in a new way.
골프웨어 렌탈 서비스의 소비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선시대 화라(花羅)ㆍ직금라(織金羅)의 현황 및 제직특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