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3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One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14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n classified through the newly built analysis criter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ssigned the most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were the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and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they mostly fell under the required subjects. Seco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by area, the subjects related to teaching method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content knowledg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Thir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teaching method, the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content knowledge, the subjects related to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were the highest. A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student, the subjects related to children’s characteristics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When it comes to the area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although the number of subjects was few in each area, they were included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most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In general, both the number of subjects dealing with content and structure for specific subjects and those with teaching methods beyon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not enough. To allow more autonomy on operating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thinking the system and management of subject majors and downsizing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s could be consider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One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One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14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n classified through the newly built analysis criter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ssigned the most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were the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and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they mostly fell under the required subjects. Seco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by area, the subjects related to teaching method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content knowledg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Thir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teaching method, the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content knowledge, the subjects related to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were the highest. A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student, the subjects related to children’s characteristics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When it comes to the area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although the number of subjects was few in each area, they were included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most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In general, both the number of subjects dealing with content and structure for specific subjects and those with teaching methods beyon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not enough. To allow more autonomy on operating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thinking the system and management of subject majors and downsizing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s could be consid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법 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14개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의 119개 교과목을 작성된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편성된 교과목들은 주로 장애유형별 교육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 그리고 ‘진단 및 평가’ 등으로 대부분이 기본이수과목에 해당된다. 둘째, 영역별 교과목 수는 교육방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내용지식, 학생, 학습 환경, 그리고 교사 등이었다. 셋째, 교육방법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교육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내용지식 영역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실제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그리고 학생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아동 특성과 관련된 교과목들이 가장 많았다. 학습 환경 및 교사 영역의 경우 교과목수는 많지 않았으나 다수의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교과의 내용과 구조를 다루는 교과목 및 교수전략 이상의 교육방법을 다루는 교과목들은 부족하였다.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성을 더 부여하도록, 교과전공 체제 및 운영의 재고와 기본이수과목의 축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법 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법 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14개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의 119개 교과목을 작성된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편성된 교과목들은 주로 장애유형별 교육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 그리고 ‘진단 및 평가’ 등으로 대부분이 기본이수과목에 해당된다. 둘째, 영역별 교과목 수는 교육방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내용지식, 학생, 학습 환경, 그리고 교사 등이었다. 셋째, 교육방법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교육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내용지식 영역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실제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그리고 학생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아동 특성과 관련된 교과목들이 가장 많았다. 학습 환경 및 교사 영역의 경우 교과목수는 많지 않았으나 다수의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교과의 내용과 구조를 다루는 교과목 및 교수전략 이상의 교육방법을 다루는 교과목들은 부족하였다.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성을 더 부여하도록, 교과전공 체제 및 운영의 재고와 기본이수과목의 축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량, "학급경영" 학지사 2003

      2 안성우,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75-295, 2014

      3 박경옥,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교수효능감과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16 (16): 153-173, 2009

      4 장유진,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 분석 : 초등특수교육과와 교육대학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29-51, 2009

      6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7 전병운, "중등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9-76, 2010

      8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1 (11): 569-593, 2008

      9 이기복, "사회과 교사 전문성으로서의 교수내용지식(PCK) 형성·강화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7-32, 2011

      10 "법제처"

      1 박병량, "학급경영" 학지사 2003

      2 안성우,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75-295, 2014

      3 박경옥,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교수효능감과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16 (16): 153-173, 2009

      4 장유진,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 분석 : 초등특수교육과와 교육대학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29-51, 2009

      6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7 전병운, "중등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9-76, 2010

      8 최승현,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1 (11): 569-593, 2008

      9 이기복, "사회과 교사 전문성으로서의 교수내용지식(PCK) 형성·강화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7-32, 2011

      10 "법제처"

      11 연희정, "국내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교육과정 분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12 김향란, "교직교육과정 교육내용모형 개발 :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3 이병혁,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67-188, 2015

      14 Council of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 Ethics, standards, and guidelines" Council of Exceptional Children 2009

      15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72

      16 Shelton, C. F., "The exceptional teacher’s handbook: The first-year special education teacher’s guide to success" Corwin Press 2005

      17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InTAS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and learning progressions for teachers 1.0"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013

      18 교육부, "2017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