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 A Review of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3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reviewing a total of 121 Korean articles related to this subject and published from 2008 to 2017.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research topics (impact of self-determination, intervention/variables to influence self-determination, percep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pecial education issue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sub-topics and other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nearly more than twice compared to 10 years ago.
      Also, there has been meaningful changes in quality such as the diversity of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interventions for it, the increase of research conducted in general classrooms, and trials to listen to students about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and future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are provided as follows: a) improving capacities of teachers and parents to promote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 using instructional methods to enhance both transition and academic outcomes for the students, c) developing various scales to measur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nd d)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reviewing a total of 121 Korean articles related to this subject and published from 2008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reviewing a total of 121 Korean articles related to this subject and published from 2008 to 2017.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research topics (impact of self-determination, intervention/variables to influence self-determination, percep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pecial education issue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sub-topics and other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nearly more than twice compared to 10 years ago.
      Also, there has been meaningful changes in quality such as the diversity of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interventions for it, the increase of research conducted in general classrooms, and trials to listen to students about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and future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are provided as follows: a) improving capacities of teachers and parents to promote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 using instructional methods to enhance both transition and academic outcomes for the students, c) developing various scales to measur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nd d)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 총 121편을 선정하여 4가지 연구주제(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및 변인,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자기결정 관련 특수교육 쟁점) 및 하위주제, 세부변인에 따라 심층 분석함으로써 국내 자기결정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10년 전에 비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가 2배 가까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다양화, 일반학급에서의 연구 증가, 자기결정에 대한 장애학생 당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질적연구가 시도되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사 및 부모의 역량 개발, 2) 장애학생의 전환 및 학업 성과 모두를 위한 교수적 접근 활성화, 3) 자기결정의 측정을 위한 다양한 도구 개발, 4) 자기결정 관련 연구 범위의 확대.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 총 121편을 선정하여 4가지 연구주제(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 총 121편을 선정하여 4가지 연구주제(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및 변인,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자기결정 관련 특수교육 쟁점) 및 하위주제, 세부변인에 따라 심층 분석함으로써 국내 자기결정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10년 전에 비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가 2배 가까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다양화, 일반학급에서의 연구 증가, 자기결정에 대한 장애학생 당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질적연구가 시도되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사 및 부모의 역량 개발, 2) 장애학생의 전환 및 학업 성과 모두를 위한 교수적 접근 활성화, 3) 자기결정의 측정을 위한 다양한 도구 개발, 4) 자기결정 관련 연구 범위의 확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봉, "한국과 미국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 능력 비교" 한국자폐학회 12 (12): 61-78, 2012

      2 이성봉, "한국과 미국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41-160, 2012

      3 이옥인,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 결정 기술이 포함된 IEP 개발 및 시행이 통합학급 교사의 자기 결정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8 (8): 19-43, 2010

      4 강미라,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93-519, 2015

      5 염지혜,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6 김주용,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한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61-285, 2012

      7 방명애, "초등 통합학급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기술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과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 및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57-173, 2007

      8 남인수, "체육수업에서 운동능력믿음이 청각장애학생의 성취목표성향 및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01-228, 2013

      9 송혜경,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성 동기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1-38, 2013

      10 조은정, "창의적 미술활동 언어중재가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31-147, 2013

      1 이성봉, "한국과 미국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 능력 비교" 한국자폐학회 12 (12): 61-78, 2012

      2 이성봉, "한국과 미국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41-160, 2012

      3 이옥인, "학습장애 학생의 자기 결정 기술이 포함된 IEP 개발 및 시행이 통합학급 교사의 자기 결정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8 (8): 19-43, 2010

      4 강미라,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93-519, 2015

      5 염지혜,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6 김주용,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도장애학생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한 통합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261-285, 2012

      7 방명애, "초등 통합학급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기술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과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 및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57-173, 2007

      8 남인수, "체육수업에서 운동능력믿음이 청각장애학생의 성취목표성향 및 과제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01-228, 2013

      9 송혜경,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성 동기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1-38, 2013

      10 조은정, "창의적 미술활동 언어중재가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31-147, 2013

      11 이상진,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9 (9): 25-39, 2011

      12 김경양,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45-68, 2014

      13 조인수, "지적장애학생의 전환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자기주장․자기결정 사정도구 구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49-80, 2013

      14 김효선,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15-241, 2016

      15 정성민,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 증진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 실행과제 현장 적합도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5-152, 2014

      16 정성민,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교수를 위한 실행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07-131, 2014

      17 정성민,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자기결정 교수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23, 2013

      18 이옥인,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29-48, 2017

      19 조인수, "지적발달장애인 삶의 질적 구성요소와 자기결정 교수전략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2, 2008

      20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3 (13): 173-204, 2014

      21 김시원,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예비특수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99-218, 2015

      22 김건희, "정서행동장애학생들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융합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탐색" 125-141, 2014

      23 김건희,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들의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융합중재에 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151-173, 2015

      24 최진혁, "점진적 촉구 제거와 자기점검법이 중학교에 통합된 중증장애학생의 독립적 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53-77, 2016

      25 권택환, "장애학생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비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01-116, 2010

      26 최승숙, "장애학생의 자기옹호 중재 연구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249-273, 2012

      27 이옥인,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01-121, 2011

      28 이숙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47-74, 2009

      29 이숙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교수 실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95-229, 2009

      30 이숙향,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전환을 위한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효과적 중재방안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3-263, 2008

      31 이숙향,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의 효과 및 적용방안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53-178, 2013

      32 김수진,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5-46, 2013

      33 최명미, "장애학생들의 문제해결기술 중재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39-359, 2013

      34 이영미,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259-286, 2006

      35 김교연,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5-31, 2011

      36 김교연, "장애청소년을 자녀로 둔 어머니들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관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313-341, 2012

      37 김수진, "장애유아의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51-176, 2014

      38 김수진, "장애유아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경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73-95, 2015

      39 이문정,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다중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99-222, 2014

      40 이옥인,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125-141, 2016

      41 방명애, "장애대학생의 의사결정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8 (18): 291-312, 2002

      42 정유진, "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실험연구 문헌 고찰" 한국통합교육학회 8 (8): 23-54, 2013

      43 이영철, "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 분석과 IEP 적용 방법 및 효과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49-75, 2009

      44 김경민, "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자기옹호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3 (13): 5-42, 2014

      45 김수진, "자폐스펙트럼 장애유아의 자기결정 경험 증대를 위한 로봇의 활용 가능성 탐색: 선택하기 활동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5-50, 2016

      46 박주연, "자폐성장애 학생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반한 미술활동 선택행동과 자해행동 간의 기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7-94, 2009

      47 황선하, "자녀의 자기옹호기술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와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53-374, 2012

      48 이재섭, "자기주장훈련 중재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13-136, 2011

      49 김민정, "자기조절전략교수가 학습장애 학생의 이야기글 작문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402-416, 2013

      50 강민, "자기조절전략 쓰기 지도가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청각장애 학생의 주장하는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POW+TREE 전략을 기반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215-249, 2017

      51 백은정, "자기점검전략이 쓰기학습장애 학생의 철자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67-88, 2012

      52 강아름, "자기점검을 통한 시험전략 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5-47, 2009

      53 한승희,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6 (16): 5-25, 2017

      54 조귀순, "자기점검법과 촉진법이 자폐성장애청소년의 청소하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83-204, 2011

      55 안혜신,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일과계획하기, 자기주도 활동 및 일과활동패턴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4 (14): 99-127, 2015

      56 박주경, "자기결정학습모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15-139, 2011

      57 김수진,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69-196, 2011

      58 최화진, "자기결정력 증진 모델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일반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연구소 12 (12): 579-600, 2008

      59 장현민, "자기결정력 강화 주말 여가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107-128, 2016

      60 정정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83-205, 2012

      61 유숙열,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161-182, 2003

      62 정윤지, "자기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직업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커피 만들기 작업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29-48, 2012

      63 양새봄, "자기결정 학습 모형을 적용한 전공과 세탁 수업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28, 2013

      64 임은영,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력에 나타난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21-36, 2007

      65 박성우,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37-154, 2005

      66 이옥인, "자기결정 기술이 포함된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이 통합된 학습장애 아동의 학업성취 및 자기결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3-175, 2010

      67 이옥인,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자기결정 학습전략이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표현 및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95-215, 2008

      68 정희승, "인문계 고등학교 통합 환경의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역할극 활용 자기옹호 교수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47-78, 2011

      69 유서현, "인권 침해와 관련한 게임 기반 스크립트 중재가 초등 장애아동의 자기옹호 언어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15 (15): 161-176, 2015

      70 이지연,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초등 사회과 경제교육 시뮬레이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1 박현옥,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자기 주장과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41-58, 2006

      72 여광응,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학생의 자아개념과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23-43, 2006

      73 이민정, "원예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자기조절력과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식물환경학회 16 (16): 61-66, 2013

      74 방명애,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 활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기술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3 (13): 179-200, 2006

      75 김성경, "역할극과 자기점검활동이 문제행동이 있는 장애위험 유아의 활동참여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27-50, 2011

      76 배소영, "언어문제해결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0

      77 이옥인,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한국형 쓰기 자기평가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3 (13): 67-87, 2015

      78 박현옥, "시각적 촉진을 활용한 의사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63-178, 2011

      79 김주용, "스크립트를 이용한 자기옹호 교수가 초등학교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지식과 권리지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41-66, 2013

      80 김현용, "스크립트 상황그림 카드를 활용한 역할극 중재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옹호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77-103, 2017

      81 김수현, "스마트폰을 활용한 문제해결 전략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길 찾기 과제 수행과 도착 시간 예측하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3-73, 2012

      82 박기용, "성별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수영프로그램이 학생건강체력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17-32, 2011

      83 정성현,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 운동참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0) : 499-507, 2010

      84 김지원, "사실동화를 활용한 문제해결전략 교수가 정서ㆍ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105-127, 2012

      85 정대영, "부모 참여 여부가 경도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53-274, 2009

      86 정유진,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69-196, 2012

      87 김시원,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을 위한 행동관찰 중재가 중도(重度)장애학생의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67-191, 2015

      88 김정권, "발달지체학생 자기결정능력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36 (36): 127-146, 2001

      89 김기룡, "발달장애학생의 자기옹호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33-157, 2014

      90 조인수,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강화를 위한 자기옹호와 리더쉽기술 증진방안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1-37, 2006

      91 김영준,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직업교육 측면에서 본 직무기술과 자기관리기술의 통합적 교수 접근에 관한 탐색"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91-330, 2014

      92 고재욱, "발달장애아동의 의사결정능력과 자기결정권에서 후견인제도 도입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87-207, 2014

      93 이숙향,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전략" 학지사 2010

      94 박신영,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20, 2010

      95 정명철, "모바일 AAC 앱 토크프렌드를 이용한 중재가 지역사회 상황에서 자폐성 장애 고등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321-341, 2016

      96 박인선, "마음 다스리기 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초등학생들의 정서안정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35-56, 2014

      97 김채원,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어휘력 및 이야기 구성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97-224, 2017

      98 신진숙, "동영상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의 적용이 중등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33-53, 2008

      99 박정미, "도예활동을 이용한 자기점검이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행동 증가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95-115, 2009

      100 김민, "다문화 장애학생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국외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51) : 446-486, 2016

      101 장지우, "뉴스포츠 게임이 발달장애 학생의 의사결정능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33-57, 2014

      102 정훈영, "내일을 잡기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직업흥미와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463-483, 2015

      103 유진수, "구매 프로젝트 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경제개념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67-187, 2013

      104 박혜숙, "교사 수행 정확도 및 능숙도 척도를 이용한 비디오 자기 점검 절차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유아의 부모에 의해 실행되는 개별 시도 훈련법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6 (16): 107-134, 2016

      105 이영철,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67-95, 2010

      106 권미영, "게임놀이가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조절과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87-211, 2015

      107 이숙향, "개인 및 학급차원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적용이 중등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 및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71-199, 2013

      108 남경욱,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353-377, 2013

      109 조인수, "강점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기결정훈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20, 2009

      110 정지희, "가족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자기결정과 부모의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77-101, 2010

      111 김소연,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행동 수행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127-153, 2017

      112 Chao, P., "Using self-determination of seni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edict their quality of life one year after graduation" 7 (7): 1-8, 2018

      113 Ward, M. J., "The many facts of self-determination"

      114 Kim, N., "The effects of the family-involved SDLMI on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ttain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problem behavior" 27 (27): 117-127, 2012

      115 Lee, J. S., "The effect of process behavior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n various tests" University of Chicago 1978

      116 서효정, "The Effects of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305-330, 2014

      117 조성희,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Writing Instruction on the English Writing Ability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33, 2015

      118 Wehmeyer, M. L., "The Arc's elf-determination scale" The Arc National Headquarters 1995

      119 Field, S., "Step to self-determination: A curriculum to help adolescents learn to achieve their goals" Pro-Ed 1996

      120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strategies" CorwinPress 2007

      121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122 Field, S., "Self-determin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position statement of the Division on Career Developmental and Transition"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8

      123 Hoffman, A., "Self-determination assessment battery user's Guide" Wayne State University 2000

      124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 involvement in standards-based reform" 70 : 413-425, 2004

      125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nd individual with severe disabilities : Reexamining meaning and misinterpretings" 30 : 113-120, 2005

      126 Lee, S. -H., "Self-determination and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42 (42): 91-107, 2008

      127 Wehmeyer, M. L.,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life span: Independence and cho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5-34, 1996

      128 김남희, "SNS 기반 소비자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경제개념과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67-93, 2016

      129 Shogren, K. A.,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postschool outcome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48 (48): 256-267, 2015

      130 Wehmeyer, M. L.,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Guilford Press 2007

      131 Wehmeyer, M. L., "Promoting causal agency : The self-determined model of instruction" 66 : 439-453, 2000

      132 Palmer, S. B., "Promoting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by teaching self-determination skills" 70 : 427-439, 2004

      133 Field, S., "Preparing youth to exercise self-determination : Quality indicators of school environments the promote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belief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13 (13): 13-118, 2002

      134 Strandova, I.,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ducting research : New directions for inclusive research" 27 (27): 1-2, 2014

      135 Ward, M. J., "On the road to autonomy: Promoting self-competence in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275-290, 1996

      136 Mithagu, D. E., "Making it happen: Stud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planning,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 Brookes 299-328, 1998

      137 Wehmeyer, M. L., "Life beyond the classroom: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41-69, 2006

      138 Wehmeyer, M. L., "Framing the future : Self-determination" 36 (36): 20-23, 2015

      139 서효정, "Examining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evels of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Disability Categories, Gender, and Educational Settings"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2, 2012

      140 Shogren, K. A., "Embedding intervention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within multitiered systems of supports" 24 (24): 213-224, 2016

      141 Shogren, K, A., "Effect of intervention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access and goal attainment" 20 : 1-11, 2011

      142 Lee, S. -H., "Effect of instruction with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 A meta-analysis" 50 (50): 237-247, 2015

      143 Bigby, C., "Conceptualizing inclusive research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7 (27): 3-12, 2014

      144 Shogren, K. A., "Causal Agency Theory : Reconceptualizing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50 (50): 251-163, 2015

      145 Chou, Y. C., "Autism and self-determination : Factor analysis of two measures of self-Determination" 32 (32): 163-175, 2017

      146 Wolman, J. M., "AIR Self-Determination Scale and user guide"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 1994

      147 Grigal, M., "A survey of parents and teachers of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garding transition and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2001

      148 Wehmeyer, M. L., "A national survey of teachers’ promo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directed learning" 34 (34): 58-68, 2000

      149 Wehmeyer, M. L.,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 Describing development and implementing instruction" 14 : 53-61, 1999

      150 허유성, "A Review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한국학습장애학회 5 (5): 165-19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