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책읽기 부모교육이 부모의 전략, 아동의 발화,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전이 효과 = Intervention and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on Book Read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3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의 전략과 아동의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3-80개월의 일반아동 및 어휘발달지체 아동 각 8명과 그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주1회 5주 간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자발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이후 책읽기활동에서 부모의 전략 사용, 아동의 발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측면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 본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유놀이 상황으로의 전이 효과는 일부 종속변수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전략들을 다른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의 전략과 아동의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3-80...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의 전략과 아동의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3-80개월의 일반아동 및 어휘발달지체 아동 각 8명과 그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주1회 5주 간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자발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이후 책읽기활동에서 부모의 전략 사용, 아동의 발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측면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 본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유놀이 상황으로의 전이 효과는 일부 종속변수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전략들을 다른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book reading training in reading and free play settings examin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16 mother-child dyad (eight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ment, eight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The parents received five sessions of an interactive reading program once a week.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spontaneous speech samples collected from parent-child reading and free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of each group significantly used more reading strategies in the post-test. In addition, turn-taking, reading time, and topic maintenanc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ree play at the post-test, the parental use of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ies increas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 number of utterances also increased in the other group which suggested the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book reading training in reading and free play settings examin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16 mother-ch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book reading training in reading and free play settings examin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16 mother-child dyad (eight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ment, eight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The parents received five sessions of an interactive reading program once a week.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spontaneous speech samples collected from parent-child reading and free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of each group significantly used more reading strategies in the post-test. In addition, turn-taking, reading time, and topic maintenanc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ree play at the post-test, the parental use of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ies increas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 number of utterances also increased in the other group which suggested the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경,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 특수교육연구소 12 (12): 357-377, 2013

      2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3 김영태,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4 이금진,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 2008

      5 정필연,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취학전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9-62, 2012

      6 송은, "부모교육을 통한 이야기책 읽기 중재가 어휘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발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7 (17): 5-33, 2018

      7 박원정,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호작용 증진 부모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발화 및 대화차례 개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500-509, 2015

      8 권미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전략 훈련을 통한 자녀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과 상호작용 참여시간의 변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551-581, 2010

      9 봉귀영,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13-138, 2013

      10 키즈 아이콘 편집부, "나도 할 수 있어 뽀로로" 키즈 아이콘 2006

      1 이윤경, "표현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특성" 특수교육연구소 12 (12): 357-377, 2013

      2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3 김영태,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4 이금진,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25, 2008

      5 정필연, "상호작용촉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취학전 뇌성마비아동과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9-62, 2012

      6 송은, "부모교육을 통한 이야기책 읽기 중재가 어휘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발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7 (17): 5-33, 2018

      7 박원정, "발화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호작용 증진 부모교육이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부모의 발화 및 대화차례 개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500-509, 2015

      8 권미은,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전략 훈련을 통한 자녀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과 상호작용 참여시간의 변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551-581, 2010

      9 봉귀영,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13-138, 2013

      10 키즈 아이콘 편집부, "나도 할 수 있어 뽀로로" 키즈 아이콘 2006

      11 문수백, "교육․심리측정도구(Korean-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학지사 1997

      12 De Temple, J., "reading books to children:Parents and teachers" 16-36, 2003

      13 Alpert, C. L., "Training parents as milieu language teachers" 16 (16): 31-52, 1992

      14 Crowe, L. K., "Training caregivers to facilitate communicative participation of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uring storybook reading" 37 (37): 177-196, 2004

      15 Roberts, M. Y., "The effectiveness of parent 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s : A meta-analysis" 20 (20): 180-199, 2011

      16 Trussell, J. W., "The Effects of Interactive Storybook Reading with Preschoolers Who Are Deaf and Hard-of-Hearing" 37 (37): 147-163, 2017

      17 Ebert, K. D., "Sustained Atten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Language Impairment: A Meta-Analysis" 54 : 1372-1384, 2011

      18 Hutton, J. S., "Shared Reading Quality and Brain Activation during Story Listening in Preschool-Age Children" 191 : 204-211, 2017

      19 Pile, E. J.,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 Using Parents-as-aides in Language Intervention" 34 (34): 96-109, 2010

      20 Barachetti, C., "Responsivenes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maternal repairs during shared book reading" 46 (46): 579-591, 2011

      21 Girolametto, L., "Responsiveness of child care provider in interaction with toddlers and preschoolers" 33 : 268-281, 2002

      22 Vigil, D. C., "Quantity and quality of parental language input to late-talking toddlers during play" 21 (21): 107-122, 2005

      23 Doyle, B. G., "Promoting emergent literacy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through dialogic reading" 59 (59): 554-564, 2006

      24 Zucker, T. A., "Preschool teachers’ literal and inferential questions and children's responses during whole-class shared reading" 25 (25): 65-83, 2010

      25 Breit-Smith, A., "Preschool children's exposure to story grammar elements during parent–child book reading" 40 (40): 345-364, 2017

      26 Sénéchal, M., "Parental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ading skill :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73 (73): 445-460, 2002

      27 Dale, P. S., "Parent-child book reading as an intervention techniqu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16 (16): 213-235, 1996

      28 Kaiser, A. P., "Parent-Implemented Enhanced Milieu Teaching With Preschool Children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56 : 295-309, 2013

      29 van Kleeck, A., "On Reading Books to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Routledge 184-206, 2003

      30 Asch, F., "Mooncake" Marubul 1982

      31 McNeill, J. H., "Let's talk : Encouraging mother-child conversations during story reading" 22 (22): 51-69, 1999

      32 Tannock, R., "Language intervention with children who have developmental delays : effects of an interactive approach" 97 (97): 145-160, 1992

      33 Justice, L. M., "Language impairment, parent—child shared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 a feasibility study" 25 (25): 143-156, 2005

      34 Paul, R., "Language disorder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Psychology Press 95-114, 2017

      35 Bus, A. G., "Joint book reading makes for success in learning to read : A meta-analysi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literacy" 65 : 1-21, 1995

      36 Manolson, A., "It takes two to talk: A parent's guide to helping children communicate" Hanen Centre 1992

      37 Snow, C. E., "Is literacy enough? Pathways to academic success for adolescents" Paul H Brookes Publishing 2007

      38 Girolametto, L., "Interactive focused stimulation for toddlers with expressive vocabulary delays" 39 : 1274-1283, 1996

      39 Goodsitt, J.,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when reading a novel and familiar book" 11 (11): 489-505, 1988

      40 Blom-Hoffman, J., "Instructing parents to use dialogic reading strategies with preschool children : Impact of a video-based training program on caregiver reading behaviors and children's related verbalizations" 23 (23): 117-131, 2007

      41 van Kleeck, A., "Fostering literal and inferential language skills in Head Start preschoolers with language impairment using scripted book-sharing discussions" 15 (15): 85-95, 2006

      42 Korat, O., "Expanding the boundaries of shared book reading : E-books and printed books in parent–child reading as support for children’s language" 33 (33): 504-523, 2013

      43 Crain-Thoreson, C., "Enhancing linguistic performance : Parents and teachers as book reading partn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19 (19): 28-39, 1999

      44 Lonigan, C. J., "Effects of two shared-reading interventions on emergent literacy skills of at-risk preschoolers" 22 : 306-322, 1999

      45 Simsek, Z. C., "Effects of the dialogic and traditional reading techniques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197 : 754-758, 2015

      46 Hockenberger, E. H., "Effects of commenting during joint book reading by mothers with low SES" 19 (19): 15-27, 1999

      47 Zevenbergen, A. A., "Effects of a shared-reading intervention on the inclusion of evaluative devices in narrative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24 (24): 1-15, 2003

      48 Pennington, L., "Effects of It Takes Two to Talk—The Hanen Program for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indings from an exploratory study" 52 (52): 1121-1138, 2009

      49 Fey, M. E., "Early effects of responsivity education/prelinguistic milieu teach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parents" 49 (49): 526-547, 2006

      50 Dickinson, D. K., "Book reading with preschoolers : Coconstruction of text at home and at school" 7 (7): 323-346, 1992

      51 Tsybina, I., "Bilingual dialogic book-reading intervention for preschoolers with slow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43 (43): 538-556, 2010

      52 Scarborough, H. S., "Approaching difficulties in literacy development: Assessment, pedagogy and programmes" 23-38, 2009

      53 Stein, N. L., "An analysis of story comprehen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2" 53-, 1979

      54 Mol, S. E., "Added value of dialogic parent–child book readings : A meta-analysis" 19 (19): 7-26, 2008

      55 Whitehurst, G. J., "A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in day care and hom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30 (30): 679-, 1994

      56 Colmar, S. H., "A parent-based book-reading intervention for disadvantaged children with language difficulties" 31 (31): 79-90, 2014

      57 Fleury, V. P., "A modified dialogic reading interven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37 (37): 16-28, 2017

      58 Davie, J., "A comparison of the expressive language opportunities provided by shared book reading and facilitated play for young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22 (22): 445-460, 2002

      59 Hargrave, A. C., "A book reading intervention with preschool children who have limited vocabularies : The benefits of regular reading and dialogic reading" 15 (15): 75-90,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