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084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52(24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은 개인의 덕 함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인지, 정의, 행동적 도덕성 함양을 도모하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계획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적 계획은 도덕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위한 전략으로 구체화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면,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는 개인의 덕 함양을 통해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겨냥하고 있고, 교육 내용은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여러 덕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부록을 통해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 조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덕과 교수-학습 전략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전략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탐구와 공동체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탐구 공동체 접근을 보완적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us communal life that aims at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quires to cultivate personal virtues and creates morality of school community. In view of th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plans to rais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morality of the individual and build school and classroom into moral community. These moral educational plans is embodied in strategies for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of moral subject. By analyzing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teacher`s guideboo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could be found. First, educational goals of moral subject aim at harmonious communal life through cultivating personal virtue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are composed of the important virtues for harmonious communal life. Third, teacher`s guidebook presents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ur, strategies for building of moral community in the school and classroom is presented in the supplement of teacher`s guidebook. But insufficiency is found in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r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approach of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mentary strategy considering at the same time inquiry and community to cultivate the sense of community.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라금, "행위자 중심 도덕이론에 관한 연구"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2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Ⅲ)"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9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5" (주) 지학사 2012
5 김재식, "초등도덕과 교육의 이해" 울력 2009
6 김재식, "초등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2014
7 조성민, "인성과 창의성 개발을 위한 탐구공동체" 탐구공동체교육학회 1 : 2001
8 도성달, "사회윤리 이론과 도덕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9 Niebuhr, R,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사회" 문예출판사 1992
10 조난심,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이성과 습관의 파라독스"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1 허라금, "행위자 중심 도덕이론에 관한 연구"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2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Ⅲ)"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9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도덕 5" (주) 지학사 2012
5 김재식, "초등도덕과 교육의 이해" 울력 2009
6 김재식, "초등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2014
7 조성민, "인성과 창의성 개발을 위한 탐구공동체" 탐구공동체교육학회 1 : 2001
8 도성달, "사회윤리 이론과 도덕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9 Niebuhr, R,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사회" 문예출판사 1992
10 조난심,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이성과 습관의 파라독스"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11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4
12 교육부, "도덕3 교사용지도서" (주)천재교육 2014
13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II)"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14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실천능력의 향상을 위한 초등 도덕 교과서 단원 재구성 -Dewey "경험의 계속성"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1.393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