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 Humanities and Culture Cont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n this thesis, I surveyed briefly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the field of humanities including literature,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Individual disciplines of Korean humanities started their respectiv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about five years ago.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literature seems to focus narrative. In fact, it was generated from active reflection upon a new trend named ‘digital narrative’ or ‘hyper-text literature’. The culture content discourse in history concentrates on historicity of material. The discourse of history resulted from an active reaction to another new trend, ‘a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discourse of folklore focuses upon ‘cultural archetype’ and that of anthropology upo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religious studies concentrates on soteriological value of popular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dividual disciplines of Korean humanities produce diverse discourses on culture content on the basis of respective scholastic standpoints. I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the field of Korean humanities to synthesize these diverse discourses and make a whol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the future.
      번역하기

      In this thesis, I surveyed briefly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the field of humanities including literature,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Individual disciplines of Korean humanities started their respective discourse...

      In this thesis, I surveyed briefly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the field of humanities including literature, history, folklore, anthropology, and religious studies. Individual disciplines of Korean humanities started their respectiv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about five years ago.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literature seems to focus narrative. In fact, it was generated from active reflection upon a new trend named ‘digital narrative’ or ‘hyper-text literature’. The culture content discourse in history concentrates on historicity of material. The discourse of history resulted from an active reaction to another new trend, ‘a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discourse of folklore focuses upon ‘cultural archetype’ and that of anthropology upo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religious studies concentrates on soteriological value of popular cultur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dividual disciplines of Korean humanities produce diverse discourses on culture content on the basis of respective scholastic standpoints. I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the field of Korean humanities to synthesize these diverse discourses and make a whole discourse on culture content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위상과 전망
      • 3. 인문학 제분과의 문화콘텐츠론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디지털문화콘텐츠의 위상과 전망
      • 3. 인문학 제분과의 문화콘텐츠론
      • 4. 맺음말
      • 참고문헌
      • 영어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근식, "해양축제의 실태와 가능성: 장보고축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5 (5): 2002

      2 김용옥, "한문해석인식론과 한국문화콘텐츠의 발양(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3 이지양, "한문학에 나타난 우리 음악과 무용(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4 이승수,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燕行路를 중심으로(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5 김방룡, "한국종교계 홈페이지 운영의 현황과 과제"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6 강봉룡, "한국의 해양영웅 장보고와 이순신의 비교 연구: 장보고축제와 진남제의 역사적 맥락" 역사문화학회 5 (5): 2002

      7 한상구, "한국역사 정보화의 방향과 과제(역사학과 지식정보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8 신광철, "한국 종교영화의 현황과 전망"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9 류해춘, "한국 시조문학의 존립기반과 그 본질에 관한 시고" 한국시조학회 19 : 63-84, 2003

      10 신광철, "학부 수준에서의 문화콘텐츠 교육과정" 인문콘텐츠학회 (2) : 2003

      1 정근식, "해양축제의 실태와 가능성: 장보고축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5 (5): 2002

      2 김용옥, "한문해석인식론과 한국문화콘텐츠의 발양(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3 이지양, "한문학에 나타난 우리 음악과 무용(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4 이승수,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燕行路를 중심으로(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5 김방룡, "한국종교계 홈페이지 운영의 현황과 과제"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6 강봉룡, "한국의 해양영웅 장보고와 이순신의 비교 연구: 장보고축제와 진남제의 역사적 맥락" 역사문화학회 5 (5): 2002

      7 한상구, "한국역사 정보화의 방향과 과제(역사학과 지식정보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8 신광철, "한국 종교영화의 현황과 전망"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9 류해춘, "한국 시조문학의 존립기반과 그 본질에 관한 시고" 한국시조학회 19 : 63-84, 2003

      10 신광철, "학부 수준에서의 문화콘텐츠 교육과정" 인문콘텐츠학회 (2) : 2003

      11 정대현, "표현 인문학" 생각의 나무 2000

      12 최동현, "판소리의 문화콘텐츠화에 관하여(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한국민속과 문화콘텐츠)" 2005

      13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1 : 2003

      14 이산호, "콘텐츠를 위한 한 · 불 정형시가 낭송법의 비교 고찰" 한국시조학회 19 : 85-106, 2003

      15 신광철, "종교학과 문화콘텐츠" 한신학술원 인문학연구소 5 : 2004

      16 박승길, "종교 커뮤니케이션과 이벤트"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17 박승길, "종교 커뮤니케이션과 이벤트"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18 이태진, "정보화시대의 한국역사학(역사학과 지식정보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19 김창민, "전통문화의 디지털 콘텐츠화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성찰: 전주대학교 X-edu 사업을 중심으로(문화콘텐츠 개발과 인류학)" 25-26, 2005

      20 허용호, "전자문화지도 연구에서 민속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한국민속과 문화콘텐츠)" 2005

      21 박규태, "일본의 문화콘텐츠와 종교(종교학과 문화콘텐츠)" 9-10, 2006

      22 영상문화학회,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생각의 나무 1999

      23 이정호, "옛날이야기에서 애니메이션 소재 찾기(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24 안영동, "영화, TV드라마 사극(史劇)과 한문학(漢文學)(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25 고미숙, "열하일기, 그 '매끄러운 공간' 속으로: 열하일기와 애니매이션의 마주침에 대한 몇 가지 단상(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26 남성우, "역사 다큐멘터리와 한문학의 만남: KBS 『역사스페셜』을 중심으로(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27 고창수, "언어정보산업의 미래와 언어학"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73-82, 2002

      28 최영미, "어려운 국악, 절반의 책임은 한문(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2005

      29 신익철, "야담 문학의 활용과 TV 드라마 영화의 창조적 상상력: <어우야담>과 <왕의 여자> <황진이>의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한문학과 문화콘텐츠 2)" 8-9, 2005

      30 한창훈, "시조문화 정보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전망" 한국시조학회 19 : 37-62, 2003

      31 이찬욱, "시조 낭송의 콘텐츠화 연구" 한국시조학회 19 : 2003

      32 류현주, "사이버 팬터지아"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29-45, 2002

      33 이해준, "백제문화콘텐츠의 문화산업활용 중장기계획" 백제문화원형복원센터 2004

      34 유기준, "백제문화콘텐츠와 지역문화축제의 연계활용 방안 고찰"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3 : 2004

      35 정환영, "백제문화 콘텐츠의 문화관광 자원화 방안"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3 : 2004

      36 김용덕, "민속문화 콘텐츠 개발의 의의와 과제,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자료집" 20-21, 2005

      37 신동흔, "민속과 문화원형 그리고 콘텐츠: 문화산업시대, 민속학자의 자리" 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조직위원회 20-21, 2005

      38 편무영, "민속․원형․콘텐츠(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한국민속과 문화콘텐츠)" 2005

      39 이남희, "문화콘텐츠화,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 연가사자료의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28 : 2004

      40 송현동, "문화콘텐츠와 한국학(종교학과 문화콘텐츠)" 9-10, 2006

      41 조관연, "문화콘텐츠와 문화인류학: 접점 모색을 위한 서론(문화콘텐츠 개발과 인류학)" 2005

      42 김진순, "문화콘텐츠로서 한국민요의 가능성과 전망(2005 한국민속학자대회: 한국민속과 문화콘텐츠)" 20-21, 2005

      43 김용범,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의 고전문학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47-72, 2002

      44 이해준,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백제문화 콘텐츠 확대방안"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3 : 2004

      45 홍석준, "문화자료의 콘텐츠화와 문화인류학: 아시아문화원의 사례를 중심으로(문화콘텐츠 개발과 인류학)" 2005

      46 김진순, "문화산업과 민요콘텐츠" 한국구비문학회 (18) : 99-124, 2004

      47 박경용, "문화관광축제의 '전통' 창출과 관광자원화: 경주 '한국의 술과 떡 축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5 (5): 2002

      48 박상천, "Culture Technology와 문화콘텐츠"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5-28, 2002

      49 구본기,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방안> 사례발표-조선시대 대하소설을 통한 시나리오 창작소재 및 시각자료 개발-" 한국고전문학회 (25) : 71-5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