톳, 미역 및 다시마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하였다. 톳 용매별 추출물의 MMS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TA100 균주에서 헥산, 에탄올, 에칠에테르 추출물 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39128
1996
Korean
504
학술저널
1-10(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톳, 미역 및 다시마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하였다. 톳 용매별 추출물의 MMS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TA100 균주에서 헥산, 에탄올, 에칠에테르 추출물 순...
톳, 미역 및 다시마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하였다. 톳 용매별 추출물의 MMS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TA100 균주에서 헥산, 에탄올, 에칠에테르 추출물 순으로 높았고, TA102 균주에서 헥산, 에칠에테르, 에탄올 순으로 높았으나, 미역 및 다시마 추출물은 항돌연변이원성이 거의 없었다. ICR19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시험된 모든 시료에 대한 에탄을 추출물이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칠에테르와 헥산 추출물은 물 추출물보다도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톳 추출물은 시험된 모든 용매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높은 항돌연변이 원성을 나타내어 ICR-191에 의해 유도되는 돌연변이 원성을 저해하는 물질이 수용성 및 비수용성에 걸쳐 다양함을 나타내었다. 한편, 미역, 다시마 및 톳 추출물의 sodium azide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mutagenic effects against methyl methanesulfonate(MMS)-, 2-methoxy-6-chloro-9-〔3-[2-chloroethyl〕aminopropylamino〕acridine(ICR191)- and sodium azide-induced mutations by the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e.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
Desmutagenic effects against methyl methanesulfonate(MMS)-, 2-methoxy-6-chloro-9-〔3-[2-chloroethyl〕aminopropylamino〕acridine(ICR191)- and sodium azide-induced mutations by the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e.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with different solvents were investigated. The solvent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e were the highest desmutagenic effect against MMS in n-hexane and against ICR191 in ethanol extract. but no against sodium azide in all solvent extracts tested. While the solvent extracts from Undaria pinnatifida and Laminaria japonica were the highest against ICR191 in ethanol extract. but no against sodium azide and MMS in all solvent extracts tested. Moreover. all the solvent extracts from Laminaria japonica were inhibited 60% or more ICR191-induced mu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