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말선초 목조건축 부재 묵서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okseo-myeong Written at the Wooden Building Members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77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memorial address, namely the mookseo-myeongs(墨書銘), written at the members of the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on the substantial characters of the memorial address, namely the mookseo-myeongs(墨書銘), written at the members of the wooden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In this paper, I pursued to declare the systematic origins by the comparison the Buddhist buildings with the other buildings, on the focused the written patterns. Furthermore, I tried to examine the transitional trend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supposed that the mookseo-myeongs of the Buddhist buildings were not used for the a memorial address for the ceremony of putting up the ridge beam, so to speak the sangryang-muns(上樑文), but the prayer address(發願文) to memorize the donations of the believers for the constructions. Second, it is supposed that 'the short sangryang-muns' were originated in the mookseo-myeongs of Buddhist buildings and the other ancient prayer addres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Dynasty, those were established in the formal literary styles. Third, to the early period of JoseonDynasty, 'the long sangryang-muns' were partially used in the several royal palaces. In the late, those were widely used not only in the royal palaces but also in Buddhist buildings, but those literary patterns were rarely changed from the former typ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은우,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의 특징과 願文 분석" 미술사연구회 (22) : 93-116, 2008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

      4 문화재청,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예산 수덕사 대웅전" 2014

      5 신은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회 (29) : 51-83, 2015

      6 서울特別市敎育委員會, "서울南大門修理報告書" 1966

      7 심경호, "상량문의 문학성 시론" 우리한문학회 20 : 319-353, 2009

      8 서치상, "고려시대 상량문 연구" 2015

      9 "개운사아미타여래좌상 복장발원문"

      10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鳳停寺 極樂殿 修理工事報告書" 1992

      1 정은우,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의 특징과 願文 분석" 미술사연구회 (22) : 93-116, 2008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

      4 문화재청,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예산 수덕사 대웅전" 2014

      5 신은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회 (29) : 51-83, 2015

      6 서울特別市敎育委員會, "서울南大門修理報告書" 1966

      7 심경호, "상량문의 문학성 시론" 우리한문학회 20 : 319-353, 2009

      8 서치상, "고려시대 상량문 연구" 2015

      9 "개운사아미타여래좌상 복장발원문"

      10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鳳停寺 極樂殿 修理工事報告書" 1992

      11 "高麗史"

      12 文化財管理局, "韓國建築史硏究資料 第3號 韓國의 古建築" 1976

      13 考古美術同人會, "韓國古建物上樑記文集" 1964

      14 杉山信三, "韓國の中世建築" 相模書房 1944

      15 "英祖實錄"

      16 韓國美術史學會, "考古美術 上, 下" 1979

      17 "正祖實錄"

      18 高裕燮, "扶蘇山 敬天寺塔, 松都의 古蹟, 悅話堂 美術選書 10"

      19 "弘齋全書"

      20 "宣祖實錄"

      21 "太宗實錄"

      22 "別洞先生文集"

      23 서치상, "佛敎建築 上樑文 硏究 (2015년 제2차 한 국건축세미나 자료집)" 2015

      24 文化部 文化財管理局, "上樑文集"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