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Image of Plants in Indoor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형거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도시공간에서 녹지의 부족이 대두되고 있고, 또한 도시인들의 생활패턴은 하루 중 거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게 되면서 실내에 녹지를 도입하고자하...

      대형거물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도시공간에서 녹지의 부족이 대두되고 있고, 또한 도시인들의 생활패턴은 하루 중 거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게 되면서 실내에 녹지를 도입하고자하는 욕구가 늘고 있다. 그러나 무계획적인 식물의 도입은 실내에 상대습도를 높이거나 해충 등의 발생, 시각적 만족도가 떨어져 오히려 실내환경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실내는 밀폐된 환경으로서 시각적 조절이 가능하고 물리적인 환경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내적정 녹시율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정 실내 녹시율을 제시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대상장면을 변화시켜서 이용자그룹이 실내에서 식물이 없을 때, 식물과 가구가 50%정도 배열되었을 때, 가구가 100%로 장식되어 있을 때, 식물이 100%로 식재되었을 때의 슬라이드 사진을 보고 20개의 형용사에서 SD 스케일로 답하였다. 대상지는 가장 보편적인 아파트, 오피스 공간의 실내로비, 상업공간인 호텔의 실내조경 장식 공간이었고, 이용자그룹은 전문인, 일반인을 학생과 직장인으로 구분하여 실내조경의 시간적 만족도나 적정 녹시율에 대한 의견을 설문하였다. 결과로 세 가지 대상공간에 대해 식물과 가구가 50% 정도로 배열되었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식물이 실내에 들어왔을 때 인간적인, 리듬감 있는, 3차원적인, 부드럽고, 자연적인 항목에서 뚜렷하게 선호도가 올라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적정 수준의 식물의 도입은 시각적, 감정적인 이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높일 수 있음을 밝혔고, 앞으로 3차원적인 공간을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녹시율에 대한 이용자의 감성체험을 통해 평면적인 본 연구의 결과를 보충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image and the preference for the rate of green space decorated by indoor plants. To make of the slide photograph for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of indoor plants. The most typical indoor spaces on which interior land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image and the preference for the rate of green space decorated by indoor plants. To make of the slide photograph for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of indoor plants. The most typical indoor spaces on which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was designed in Seoul, Korea, were chose n-office building lobby, hotel lobby and apartment.
      The slides photograph was trasformed by computer image modification program in four other types - Type 1 was designed by all plants, Type 2 by half furniture and half plants, Type 3 by all furniture, Type 4 by none.
      Four group person - the general, the professional, the general students, the professional students-joined in this inquiry and made up a questionnaire used S. D. scale of 20 adjectives, watching each slide photography modified by compu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three indoor spaces, the image of plants had a best effect on the space of apartment. All three indoor spaces were investigated to make the highest the sense of good feelings, personality, favourable impression, when designed with half furniture and half plants.
      S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to suggested introducing plant indoor is very useful and helpful mentally for ones who live indoor for long time a day because green space decorated with plants enhance visual image and preference of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Introduction
      • Ⅱ.Materials and Methods
      • 1.Test procedure
      • 2.Subjects
      • 3.Simulation
      • Ⅰ.Introduction
      • Ⅱ.Materials and Methods
      • 1.Test procedure
      • 2.Subjects
      • 3.Simulation
      • 4.Section of adjectives for the study
      • 5.The statistics used
      • Ⅲ.Results and Discussion
      • 1.The effects of plants on the image of space
      • 2.Image of 3 places-apartment, office, and hotel lobby
      • 3.Image of 3 places among 4 groups
      • Ⅳ.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