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3세 아동 22명, 4세 아동 22명, 5세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쇄물 개념 발달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쇄물 개념이 어휘력과 상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7690651
2011
Korean
379.05
KCI등재
학술저널
103-120(18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3세 아동 22명, 4세 아동 22명, 5세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쇄물 개념 발달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쇄물 개념이 어휘력과 상관...
이 연구는 3세 아동 22명, 4세 아동 22명, 5세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쇄물 개념 발달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쇄물 개념이 어휘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5세 아동은 연령에 따라 인쇄물 개념을 발달시키고 있었으며 3세에서 4세 사이에 인쇄물개념의 하위 범주에서 많은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세가 되면 80% 이상이 책에 대한 개념, 인쇄물 관례를 습득하였으며 5세가 되어서야 인쇄물의 내용을 획득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5세에 이르기 까지 책에 대한 개념, 인쇄물 관례, 인쇄물의 내용을 획득하는 순서가 개별아동마다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쇄물 개념과 어휘력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인쇄물의 경험을 통하여 인쇄물 개념을 발달시키고 동시
에 어휘력을 습득해 가며, 반대로 어휘력이 발달한 아동들은 인쇄물 경험을 통한 개념습득에 더 많이 노출되어 점점 더 많은 어휘를 갖게 된다는 점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아동의 초기 문식성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러한 준거들로 언어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말늦은 아동(late talker)이나 장애 아동들의 초기 문식성, 특히 인쇄물 개념에 대해 조기 선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argeting 22 three-year-old, 22 four-year-old, and 22 five-year-old children, the development of their concepts of print as age was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vocabulary skills and the concepts of print of the children ...
In this study, targeting 22 three-year-old, 22 four-year-old, and 22 five-year-old children, the development of their concepts of print as age was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vocabulary skills and the concepts of
print of the children who are from three years old to five years old. The resul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he children who are from three to five years old develop their concept of print as age, and from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develop it more than from four- to five-year-old children do. They tend to acquire more than 80 percent four years for the concepts of book. They tend to acquire the concepts of print by first attaining the oncepts of books and the practice of print, and the contents of the print. Second, it showed that the concept of print and vocabulary are related to each other closely,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oncept of print are related to closely to vocabulary. That is, the children develop the concept of print through experiencing them, at the same time they learn vocabulary too. Through this study, how the children’s concepts of print as age are developed
and which concept among the concepts of the print the children are interested in can be figured out. By suggesting the general learning stages of common children
for the concept of the print which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components during the stage of attaining the literacy education, the criteria of the concepts of print will be made.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the criteria which evaluate the early reading ability of many disabled childre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영, "함께 읽기를 통한 초기문해교수전략이 청각장애 유아의 어휘와 인쇄물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43-160, 2007
2 김영태, "한국형 진단 프로토콜을 이용한 3~5세 한국 아동의 초기읽기 발달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418-437, 2008
3 김선희,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선희,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371-384, 2004
5 김영욱, "청각장애유아의 인쇄물인식과 언어능력, 문해기술 및 가정문해환경"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1-147, 2009
6 김명순,신유림,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서울:학지사 2000
7 송기철, "어휘 특성에 따른 어휘 지도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김영태,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9 김혜진,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Justice, L. M, "Word and Print Awareness in 4-Year-old Children" 17 : 207-226, 2001
1 김선영, "함께 읽기를 통한 초기문해교수전략이 청각장애 유아의 어휘와 인쇄물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43-160, 2007
2 김영태, "한국형 진단 프로토콜을 이용한 3~5세 한국 아동의 초기읽기 발달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3 (13): 418-437, 2008
3 김선희,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선희, "한국 아동의 인쇄물 개념 습득과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371-384, 2004
5 김영욱, "청각장애유아의 인쇄물인식과 언어능력, 문해기술 및 가정문해환경"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31-147, 2009
6 김명순,신유림,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서울:학지사 2000
7 송기철, "어휘 특성에 따른 어휘 지도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김영태,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9 김혜진,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Justice, L. M, "Word and Print Awareness in 4-Year-old Children" 17 : 207-226, 2001
11 Clay, M. M, "The reading behavior of five-year-old children: A research report" 2 : 11-31, 1967
12 Stanovich, K. E, "Studying the consequences of literacy within a literate society: The cognitive correlates of print exposure" 20 (20): 51-68, 1992
13 Fawson, D. P, "Reading Enviornmental Print:What Is The Role Of Concepts about Print in Discriminating Young Readers’ Responses" 24 : 123-162, 2003
14 Van Kleeck, A, "Preliteracy domain and stages: Laying the foundations for begining reading" 20 : 33-51, 1998
15 McGinty, A. S, "Predictors of print Knowledg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Experiential and Developmental Factor" 52 : 81-97, 2009
16 Rhea, Paul. P, "Language Disorders for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third edition)" Canada: Linda Dunan 2007
17 Whitehurst, G. J,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from prereaders to readers. In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New York: Guilford Press 11-29, 2002
18 Rog, L. J, "Early Literacy Instruction in Kindergarte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1
19 Lonigan, C. J,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Emergent Literacy: An evidence-based perspective" 19 : 40-53, 2004
20 Clay, M. M, "Concepts About Print" Auckland: Heinemann 2000
21 Whitehurst, G. J,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69 : 848-872, 1998
22 Farver, J. M, "Assessing preschooler’s emergent literacy skills in English and Spanish with the Get Ready to Read! screening tool" 57 : 161-178, 2007
특수학급교사의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 | 1.2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6 | 1.464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