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라북도 물류산업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 An Empirical Study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97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북지역이 내륙물류의 집적과 대 중국 해상물류의 교두보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항만을 보유하고 있고 지정학적 위치와 교통여건 등 에서 우수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물류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는 전라북도를 신산업 생산 및 물류중심지역으로 육성하고, 전주·군장광역권을 환황해권 생산·물류 및 동북아 교류의 거점권역으로 육성 개발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어 물류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라북도의 물류기반 인프라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국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물류기반시설 현황에서도 전북지역과 유사한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 비해 부문별로 낙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북도내 일반기업체들과 물류업체들의 실태조사에서도 물류관련 인식수준이 아주 낮아, 수송분담 구조의 불균형, 전산화․정보화․표준화 미비 및 미숙, 물류아웃소싱 저조 등 물류관련 활동이 낙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전라북도의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물류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여 타 지역과의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야하며, 전북도내 물류관련 업체들의 물류관련 인식이 제고되어야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전북도 행정당국에서는 물류인식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로화물 편중운송 비중을 철도 및 연안해송으로 분산시키는 방안, 물류전산화․정보화․표준화를 통해 물류시스템을 제고시키는 방안, 물류아웃소싱 및 물류공동화를 통해 물류흐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여 전북도내 중소기업들에게 물류비 절감 혜택이 돌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전라북도가 이러한 물류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 중국 물류Gate 구축”에 물류산업의 정책목표를 두고, 타 지역과 “차별화된 물류산업 육성” 정책방안을 제시하여 추진해야 물류산업 경랭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 전북지역이 우리나라 중부권 및 전북권의 대중국물류 Gate로서 기능을 수행하여 국가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전북지역이 내륙물류의 집적과 대 중국 해상물류의 교두보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항만을 보유하고 있고 지정학적 위치와 교통여건 등 에서 우수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물류산업이 발달...

      전북지역이 내륙물류의 집적과 대 중국 해상물류의 교두보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항만을 보유하고 있고 지정학적 위치와 교통여건 등 에서 우수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물류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는 전라북도를 신산업 생산 및 물류중심지역으로 육성하고, 전주·군장광역권을 환황해권 생산·물류 및 동북아 교류의 거점권역으로 육성 개발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어 물류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라북도의 물류기반 인프라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국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물류기반시설 현황에서도 전북지역과 유사한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 비해 부문별로 낙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북도내 일반기업체들과 물류업체들의 실태조사에서도 물류관련 인식수준이 아주 낮아, 수송분담 구조의 불균형, 전산화․정보화․표준화 미비 및 미숙, 물류아웃소싱 저조 등 물류관련 활동이 낙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전라북도의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물류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여 타 지역과의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야하며, 전북도내 물류관련 업체들의 물류관련 인식이 제고되어야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전북도 행정당국에서는 물류인식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로화물 편중운송 비중을 철도 및 연안해송으로 분산시키는 방안, 물류전산화․정보화․표준화를 통해 물류시스템을 제고시키는 방안, 물류아웃소싱 및 물류공동화를 통해 물류흐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여 전북도내 중소기업들에게 물류비 절감 혜택이 돌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전라북도가 이러한 물류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 중국 물류Gate 구축”에 물류산업의 정책목표를 두고, 타 지역과 “차별화된 물류산업 육성” 정책방안을 제시하여 추진해야 물류산업 경랭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 전북지역이 우리나라 중부권 및 전북권의 대중국물류 Gate로서 기능을 수행하여 국가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buk is well equipped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as it is the center of inland and marine traffic. However, it was not activated because of th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This paper surveyed the logistics industry facilities, interviewed people who are engaged in its business,researched into their business difficulties andthe problem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s a result of research,this paper make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번역하기

      Jeon-buk is well equipped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as it is the center of inland and marine traffic. However, it was not activated because of th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This paper surveyed the logistics industry facilities, interv...

      Jeon-buk is well equipped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as it is the center of inland and marine traffic. However, it was not activated because of th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This paper surveyed the logistics industry facilities, interviewed people who are engaged in its business,researched into their business difficulties andthe problem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s a result of research,this paper make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물자동차실태조사부문" 교통개발연구원

      2 "해양수산백서" 해양수산부 2002.5

      3 "제2차 유통물류단지개발계획" 산업자원부 2001.1

      4 "전국 유통·물류시설 총람" 교통개발연구원

      5 "전국 물류현황조사" 교통개발연구원

      6 "유통단지개발지침안 - 최근호" 건설교통부

      7 "유통단지개발종합계획" 건설교통부 2002

      8 "유통단지 종합계획 수립연구" 교통개발연구원

      9 "울산광역시 도시 물류기본계획" 울산광역시 2005.11

      10 "새만금 신항만 개발과 배후물류단지 개발전략" 전라북도 2005.6

      1 "화물자동차실태조사부문" 교통개발연구원

      2 "해양수산백서" 해양수산부 2002.5

      3 "제2차 유통물류단지개발계획" 산업자원부 2001.1

      4 "전국 유통·물류시설 총람" 교통개발연구원

      5 "전국 물류현황조사" 교통개발연구원

      6 "유통단지개발지침안 - 최근호" 건설교통부

      7 "유통단지개발종합계획" 건설교통부 2002

      8 "유통단지 종합계획 수립연구" 교통개발연구원

      9 "울산광역시 도시 물류기본계획" 울산광역시 2005.11

      10 "새만금 신항만 개발과 배후물류단지 개발전략" 전라북도 2005.6

      11 "물류부문의 정부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2.6

      12 "물류부문의 정부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002.6

      13 "기업의 물류시설 실태조사보고" 대한상공회의소 2002

      14 "기업물류실태조사 부문" 교통개발연구원

      15 "군산항만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2003.2

      16 "군산항 물류기종점(O/D)분석에 관한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2005

      17 "국가물류기본계획" 건설교통부 2001.1

      18 "국가물류기본계획" 건설교통부

      19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국가물류비 감소대책(2단계)" 교통개발연구원 2004.10

      20 "광양항 항만배후단지지정(안)" (2003-10) : 2003

      21 "21세기 유통산업정책방향" 산업연구원 2003.2

      22 "2003년 국가물류시행계획" 건설교통부 2003.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3 1.08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