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 광동성의 교역구조 분석과 협력분야 도출 = Analysis of Trade Structure and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4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광동성의 교역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양측이 어떤 산업(혹은 업종)에 특화되어 있으며 향후 한국과 광동성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 주력제품은 부품소재산업으로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한다. 광동성의 제조업들도 핸드폰과 컴퓨터, 가전 등 전기기계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핸드폰, 컴퓨터, 가전에 필수적인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통신기기 관련 부품소재와 설비에 대한 수출이 유망하다.
      한국 기업들과 광동성 기업들이 상호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협력 공간을 확대해볼 필요가 있다. 집적회로(IC) 설계와 패키징&테스트는 광동성 기업들이 한국보다 우위를 갖고 있다. 이들 분야에서 양국 간 산업 내 분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동성은 중국내 최다 TV, 핸드폰 생산지역이다. 따라서 중대형과 소형 디스플레이 수요가 많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중국계 조립업체와 한국계 부품소재업체, 설비업체간 전략적 제휴가 필요하다. 광둥성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장기간 안정적 거래를 위해 상호간 지분제휴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과 광동성의 교역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양측이 어떤 산업(혹은 업종)에 특화되어 있으며 향후 한국과 광동성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중국 수...

      본 연구는 한국과 광동성의 교역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양측이 어떤 산업(혹은 업종)에 특화되어 있으며 향후 한국과 광동성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 주력제품은 부품소재산업으로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한다. 광동성의 제조업들도 핸드폰과 컴퓨터, 가전 등 전기기계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핸드폰, 컴퓨터, 가전에 필수적인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통신기기 관련 부품소재와 설비에 대한 수출이 유망하다.
      한국 기업들과 광동성 기업들이 상호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협력 공간을 확대해볼 필요가 있다. 집적회로(IC) 설계와 패키징&테스트는 광동성 기업들이 한국보다 우위를 갖고 있다. 이들 분야에서 양국 간 산업 내 분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동성은 중국내 최다 TV, 핸드폰 생산지역이다. 따라서 중대형과 소형 디스플레이 수요가 많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중국계 조립업체와 한국계 부품소재업체, 설비업체간 전략적 제휴가 필요하다. 광둥성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장기간 안정적 거래를 위해 상호간 지분제휴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e structure of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to find out what industries the two sides are specialized in and to draw up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in the future.
      Korea’s main export product to China is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accounting for more than 75 percent of the total. Manufacturers of Guangdong Province mainly includ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Therefore, exports of displays, semiconductors,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are essential for mobile phones,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and components and facilities are promising.
      Korean companies and Guangdong companies need to expand cooperation based on their mutual comparative advantage. Guangdong Province has an advantage over South Korea in designing integrated circuits and packaging and testing. It is believed that division of labor within industr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ll be possible in these areas.
      Guangdong Province is the region that produces the most TV and mobile phones in China. Therefore, demands for medium and small displays are high. Strategic partnerships between Chinese assembly companies, Korean parts and materials companies, and equipment manufacturers are needed in display industries. Companies seeking to enter Guangdong Province need to actively consider sharing their stakes with each other for long-term stable transac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e structure of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to find out what industries the two sides are specialized in and to draw up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in the future.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de structure of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to find out what industries the two sides are specialized in and to draw up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Guangdong Province in the future.
      Korea’s main export product to China is the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accounting for more than 75 percent of the total. Manufacturers of Guangdong Province mainly includ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Therefore, exports of displays, semiconductors,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are essential for mobile phones,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and components and facilities are promising.
      Korean companies and Guangdong companies need to expand cooperation based on their mutual comparative advantage. Guangdong Province has an advantage over South Korea in designing integrated circuits and packaging and testing. It is believed that division of labor within industr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ll be possible in these areas.
      Guangdong Province is the region that produces the most TV and mobile phones in China. Therefore, demands for medium and small displays are high. Strategic partnerships between Chinese assembly companies, Korean parts and materials companies, and equipment manufacturers are needed in display industries. Companies seeking to enter Guangdong Province need to actively consider sharing their stakes with each other for long-term stable transa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헌, "홍콩과 주강삼각주간 협력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71-96, 2007

      2 조철, "중국 주강삼각주 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전략" 산업연구원 2019

      3 박소희, "중국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 계획과 연계한 한․중 산업협력 혁신거점 육성 방안: 후이저우 한․중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43 (43): 75-132, 2019

      4 이규택, "중국 광동성 경제경쟁력 분석이 규 택- 주강삼각주 경제권을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회 (31) : 373-400, 2005

      5 김홍원, "중국 ‘웨강아오대만구’ 건설 추진과 전망" KIEP 2019

      6 허흥호, "중국 ‘범주강삼각주 경제권’의 형성과 발전"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451-471, 2013

      7 김동수, "웨강아오대만구와 산업육성. 중국산업경제브리프" 산업연구원 2019

      8 김동하,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규획과 광동-홍콩-마카오 통합 관계성 연구" 중국지역학회 6 (6): 79-128, 2019

      9 한국무역협회, "무역 데이터"

      10 邓伟根, "我国家电业竞争力实证分析—广东的问题与对策" (7) : 5-9, 1999

      1 최병헌, "홍콩과 주강삼각주간 협력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71-96, 2007

      2 조철, "중국 주강삼각주 지역의 주요 산업별 진출전략" 산업연구원 2019

      3 박소희, "중국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 계획과 연계한 한․중 산업협력 혁신거점 육성 방안: 후이저우 한․중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43 (43): 75-132, 2019

      4 이규택, "중국 광동성 경제경쟁력 분석이 규 택- 주강삼각주 경제권을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회 (31) : 373-400, 2005

      5 김홍원, "중국 ‘웨강아오대만구’ 건설 추진과 전망" KIEP 2019

      6 허흥호, "중국 ‘범주강삼각주 경제권’의 형성과 발전"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451-471, 2013

      7 김동수, "웨강아오대만구와 산업육성. 중국산업경제브리프" 산업연구원 2019

      8 김동하, "웨강아오 대만구 발전규획과 광동-홍콩-마카오 통합 관계성 연구" 중국지역학회 6 (6): 79-128, 2019

      9 한국무역협회, "무역 데이터"

      10 邓伟根, "我国家电业竞争力实证分析—广东的问题与对策" (7) : 5-9, 1999

      11 广东省统计局, "广东统计年鉴" 中国统计出版社 2020

      12 陆军, "广东制造发展四十年"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8

      13 "国家统计局国家数据"

      14 国家统计局, "中国统计年鉴" 中国统计出版社 2020

      15 国家统计局, "2020中国统计摘要" 中国统计出版社 2020

      16 李燕, "1998-2009年珠江三角洲制造业空间转移特征及其机制" (5) : 777-78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553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