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룩업 테이블 활용 및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 워크플로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0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날로그 필름 시대와 디지털 영상 제작 초창기의 색보정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아주 좁은 범위의 이미지 재가공만을 의미하 였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Log 혹은 Raw 이미지로 영상을 촬영하는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함으로 인해 현대 영상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색보정 단계는 더 이상 예술적 선택이 아닌, 필수 단계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대학 영상 교육의 현장에서 저학년 학생의 영상 제작 실습 작품이 기술적 이해의 부재로 인해 미흡한 완성도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현재 대다수 대학의 영상 관련 학과 커리큘럼에 있어 영상 제작 교육은 전학년을 대상으로 단계별로 실시되는 반면, 포스트프로덕션 단계에 관한 심화 교육 및 색보정 교육 실습은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 만 이런 환경적 제약이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중요성에 관한 영상 산업 종사자 및 영상 교육자들의 이해도 결여로 인한 결 과가 아님은 명백하다.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이해를 위해선 매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수학함은 물론, 촬영, 조명, 사운드 디자인 등 영상 제작의 다른 선행 분야에 관한 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격적인 포스트프로 덕션 단계의 학습 이전에 선행할 저학년 대상 영상 제작 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룩업테이블 워크플로우 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시각적 예시로 디지털 영상의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을 위한 LUT 제작 과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 영상 작품의 시대적 배경 등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아날로그 필름 시대와 디지털 영상 제작 초창기의 색보정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아주 좁은 범위의 이미지 재가공만을 의미하 였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Log 혹은 Raw 이미지로 영상을 ...

      아날로그 필름 시대와 디지털 영상 제작 초창기의 색보정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아주 좁은 범위의 이미지 재가공만을 의미하 였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 따라 Log 혹은 Raw 이미지로 영상을 촬영하는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함으로 인해 현대 영상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색보정 단계는 더 이상 예술적 선택이 아닌, 필수 단계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대학 영상 교육의 현장에서 저학년 학생의 영상 제작 실습 작품이 기술적 이해의 부재로 인해 미흡한 완성도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현재 대다수 대학의 영상 관련 학과 커리큘럼에 있어 영상 제작 교육은 전학년을 대상으로 단계별로 실시되는 반면, 포스트프로덕션 단계에 관한 심화 교육 및 색보정 교육 실습은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하지 만 이런 환경적 제약이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중요성에 관한 영상 산업 종사자 및 영상 교육자들의 이해도 결여로 인한 결 과가 아님은 명백하다. 포스트프로덕션 기술의 이해를 위해선 매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수학함은 물론, 촬영, 조명, 사운드 디자인 등 영상 제작의 다른 선행 분야에 관한 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격적인 포스트프로 덕션 단계의 학습 이전에 선행할 저학년 대상 영상 제작 실습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룩업테이블 워크플로우 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시각적 예시로 디지털 영상의 아날로그 필름 룩 구현을 위한 LUT 제작 과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 영상 작품의 시대적 배경 등의 선택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or grading in the analog film era and the early day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meant only a very narrow range of image reprocessing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digital cameras to capture images in Log or RAW formats have made the color grading stage in modern film post-production no longer an artistic choice but an essential step.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solution given the fact that the completeness of video production practice work by student on their first or second-year in the field of university video education is often insufficient due to their lack of technical understanding. Currently, filmmaking practice is conducted gradually for students in all grades in the video-related department curriculums of most universities, while in-depth education and color correction education practice on the post-production stage are conducted only for students on their third or fourth-year. However, these environmental constraints are not the result of a lack of understanding by film industry workers or film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y aris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rlier concepts in film production, such as principal photography, lighting, and sound design, which should be prioritized on top of theoretical knowledge of media in order to ensure a sound understanding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use of a lookup table workflow as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lm production practice of students early in their college years who will later learn in the full-scale post-production stag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LUT workflow for the creation of an analog film look in digital images as a visual example necessar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e intend to contribute through this study to the expans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 film works, such as by reviving the look of specific time periods.
      번역하기

      Color grading in the analog film era and the early day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meant only a very narrow range of image reprocessing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digital ca...

      Color grading in the analog film era and the early days of digital video production meant only a very narrow range of image reprocessing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high-performance digital cameras to capture images in Log or RAW formats have made the color grading stage in modern film post-production no longer an artistic choice but an essential step.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solution given the fact that the completeness of video production practice work by student on their first or second-year in the field of university video education is often insufficient due to their lack of technical understanding. Currently, filmmaking practice is conducted gradually for students in all grades in the video-related department curriculums of most universities, while in-depth education and color correction education practice on the post-production stage are conducted only for students on their third or fourth-year. However, these environmental constraints are not the result of a lack of understanding by film industry workers or film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y aris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rlier concepts in film production, such as principal photography, lighting, and sound design, which should be prioritized on top of theoretical knowledge of media in order to ensure a sound understanding of post-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use of a lookup table workflow as a realistic alternativ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lm production practice of students early in their college years who will later learn in the full-scale post-production stage.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LUT workflow for the creation of an analog film look in digital images as a visual example necessary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e intend to contribute through this study to the expansion of the selection of student film works, such as by reviving the look of specific time peri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문제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문제
      • 1.3. 연구 방법
      • 2. 본론
      • 2.1. 룩업테이블(LUT)의 정의와 종류
      • 2.2.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LUT 워크플로우
      • 3.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승현, "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의 환경과 그 효과에 따른 실무 중심의 효율적 발전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135-143, 2019

      2 안성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효율적인 영화제작 수업활용 방안 연구" 영화연구소 10 (10): 161-179, 2018

      3 박수정, "스마트폰 영화 제작 교육방법의 대학 강의 적용 사례와 성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03-421, 2015

      4 위키피디아, "순람표 [온라인사전]"

      5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 영화전공 커리큘럼"

      6 송낙원, "디지털 영화제작에서 창조적 색 재현을 위한 룩업테이블(LUT) 기술 연구"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5-21, 2018

      7 문석, "디지털 시대의 룩을 묻다: 필름룩의 존재 이유와 디지털룩의 가능성" 영화진흥위원회 4 : 2015

      8 한동균,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대안적 포스트프로덕션 워크플로우" 한국영상학회 18 (18): 91-106, 2020

      9 김종완, "대학 실습교육을 위한 SD 대 HD 프레임의 미학적 변화 연구" 영상미디어센터 (14) : 337-357, 2012

      10 김영철,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21-39, 2014

      1 진승현, "영상제작을 바탕으로 한 실무 중심의 교육의 환경과 그 효과에 따른 실무 중심의 효율적 발전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135-143, 2019

      2 안성호, "스마트폰을 이용한 효율적인 영화제작 수업활용 방안 연구" 영화연구소 10 (10): 161-179, 2018

      3 박수정, "스마트폰 영화 제작 교육방법의 대학 강의 적용 사례와 성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03-421, 2015

      4 위키피디아, "순람표 [온라인사전]"

      5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 영화전공 커리큘럼"

      6 송낙원, "디지털 영화제작에서 창조적 색 재현을 위한 룩업테이블(LUT) 기술 연구"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5-21, 2018

      7 문석, "디지털 시대의 룩을 묻다: 필름룩의 존재 이유와 디지털룩의 가능성" 영화진흥위원회 4 : 2015

      8 한동균, "대학 영상 교육을 위한 대안적 포스트프로덕션 워크플로우" 한국영상학회 18 (18): 91-106, 2020

      9 김종완, "대학 실습교육을 위한 SD 대 HD 프레임의 미학적 변화 연구" 영상미디어센터 (14) : 337-357, 2012

      10 김영철,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21-39, 2014

      11 이찬복, "국내 대학의 영화 및 영화 관련학과 교과과정 효율화를 위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0 (10): 3514-3523, 2009

      12 Fix the Photo, "What is a lut"

      13 Fissoun, D., "The colorist guide tp DaVinci resolve 17" Blackmagic Design Pty Ltd 7-49, 2021

      14 SmallHD User Guide, "Look (3D LUT)"

      15 조희대, "LUT, 원하는 룩으로 가는 지름길룩업테이블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영화진흥위원회 4 : 2015

      16 송경원, "DI가 비싸고 복잡하다는 편견부터 깨라. 독립영화인을 위한 서바이벌 DI 가이드" 영화진흥위원회 4 : 2015

      17 Shutter Angle, "Cinematic look, Part 3: Dynamic rang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