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시에 소재한 3,4년제 대학교 유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81483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919-93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시에 소재한 3,4년제 대학교 유아교...
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시에 소재한 3,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유아미술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293명이다. 자료수집은 교수의 감성리더십 척도, 학습몰입, 학습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 적률상관관계와 AOM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수 감성리더십은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 학습태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사회적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미술교육에서 교수의 감성리더십 중 관계관리능력이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은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미술요육에서 교수 감성리더십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that the instru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on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curricular course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ar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that the instru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on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curricular course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9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same course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3-year or 4-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K cit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means of scales for the instru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ones, respectively, for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then,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ccording to the AMO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correlation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ttitude. Second, some factors of the instructor’s emotional leadership, especially competence in social recognition and relation manage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in the course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rd, competence in relation management as foresaid significantly influences those teachers’ learning attitude in the same course. And four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earning attitud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숙,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55-176, 2004
2 손원경,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9-339, 2010
3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의 모형" 한나래 2016
4 김예나,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13-135, 2011
5 윤기운, "타이밍 과제의 경험과 난이도에 따른 정보처리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81-190, 2003
6 박용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대성, "초등영재의 학습몰입과 학교태도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신은수,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27-50, 2012
9 이민규, "중학생이 인식하는 방과 후 체육교사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자긍심, 운동 몰입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2 (22): 361-378, 2013
10 연혜경,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 과정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근어이론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1 김성숙, "홀리스틱 미술교육의 제안: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미술과 교육의 지향과 실천"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155-176, 2004
2 손원경,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9-339, 2010
3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의 모형" 한나래 2016
4 김예나,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13-135, 2011
5 윤기운, "타이밍 과제의 경험과 난이도에 따른 정보처리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81-190, 2003
6 박용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대성, "초등영재의 학습몰입과 학교태도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신은수,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27-50, 2012
9 이민규, "중학생이 인식하는 방과 후 체육교사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자긍심, 운동 몰입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2 (22): 361-378, 2013
10 연혜경,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 과정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근어이론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11 임채희, "중학생용 학교태도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0 (10): 1165-1180, 2009
12 김은지, "중학교 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교사신뢰 및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6 (56): 287-299, 2017
13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 (48): 67-92, 2010
14 정진원, "음악수업에서의 개별화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309-338, 2012
15 장근주, "음악교사의 수업지도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2) : 17-31, 2011
16 김일영, "음악과 토의・토론 수업모형 및 지도방안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55-478, 2014
17 김진희,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8 김광남, "유아음악교육에서교수의 감성리더십이 학습몰입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67-185, 2014
19 최애경, "유아미술교육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2 (2): 27-46, 2006
20 윤현숙, "유아를 위한 균형적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5-49, 2006
21 임부연,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297-326, 2005
22 임진형,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유아 미술교육과정 분석" 27 : 221-235, 2003
23 강명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2 (12): 293-316, 2008
24 고은지,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5 김지영,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미술교육과정의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31-45, 2007
26 최남정,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7 (7): 83-103, 2008
27 곽소정,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학습 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한국게임학회 12 (12): 113-122, 2012
28 주형철, "생활무용 참가자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유형과 신뢰 그리고 학습태도의 구조적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2 (22): 877-893, 2013
29 이경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에 기초한 현장연계 팀 학습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71-92, 2012
30 김희수, "부모의 양육태도 및 애착안정성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4 (4): 113-127, 2004
31 박혜숙,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6
32 홍혜경, "박물관 체험과 연계한 창작공예활동이유아의 미술성향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21-144, 2017
33 탁형수, "미적 체험 활동을 위한 통합적인 미술과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4 이규선,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1995
35 이정란, "미술교육개선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미술적 배경, 미술교수효능감, 미술교육인식의 관계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397-406, 2013
36 이미현, "몰입수준의 변화가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37 김용환, "리더십 스타일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38 송윤희,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8 (8): 113-135, 2012
39 박명숙, "대학 음악전공 수업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37) : 1-16, 2018
40 김남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63-789, 2011
41 윤인애, "교양댄스수업에서의 학생들이 지각한 교수의 감성지능,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 신뢰 및 참여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2 (52): 293-305, 2013
42 정택철,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학습몰입, 학과동일시 및 학교를 위한 시민행동 간의 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83-596, 2012
43 김옥예,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39-160, 2006
44 고부섭, "감성리더십과 직무태도 간 관계에서 적합성의 조절효과 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6
45 Athey, I, "play as a medium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A handbook of theory and practice" Heineman 1988
46 Coates, H.,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bd online education" Routledge 2006
47 Steriger, J. H., "Sta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rors" 1980
48 Bentler, P. M., "Significance test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88 : 588-606, 1980
49 Goleman, D.,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50 Hoply, H., "Learning to feel and feeling to learn : emo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s" 28 (28): 5-12, 1997
51 Kennet, D. J., "Impact of learned resourcefulness abd theories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 An integreated approach" 26 (26): 441-457, 2006
52 Dulewicz, V., "Emotional intelligence a review and evaluation study" 15 (15): 341-372, 2000
53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강원도 내 탈북 청소년 학습자의 문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간호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임상 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학습자 중심 교육이 장애 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