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 Exploration of Support Measures for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45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rad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actual grade distribution and academic warnings of all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nine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ver three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eigh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derive the factors of influe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highest grad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the 2 point range(46.0%). By variable, the grad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five semesters, the average academic warning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6.6%. The variables that received the most academic warning were male(8.7%), second-grader(8.0%), natural college(9.2%), and developmental disability(14.1%).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by disability type, lack of learning and testing strategies, and low level of motivation. External factors are autonomous academic management, adaptation of professors, and adaptation to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ropos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basic education, improve the PCP(Person-Centered Plan) for RTI(response to intervention), and re-establish the role of the center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rad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measures were sought to im...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rad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actual grade distribution and academic warnings of all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nine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ver three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eigh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derive the factors of influe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highest grad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the 2 point range(46.0%). By variable, the grad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five semesters, the average academic warning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6.6%. The variables that received the most academic warning were male(8.7%), second-grader(8.0%), natural college(9.2%), and developmental disability(14.1%).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by disability type, lack of learning and testing strategies, and low level of motivation. External factors are autonomous academic management, adaptation of professors, and adaptation to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ropos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basic education, improve the PCP(Person-Centered Plan) for RTI(response to intervention), and re-establish the role of the center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적분포, 학사경고 실태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개인 내‧외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4년제 대학 9개교에 재학중인 전체 장애대학생의 3개년에 걸친 실제 성적분포 및 학사경고 현황을 조사‧분석 하였다. 그리고 8명의 장애대학생을 심층면담하여 질적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성적은 2점대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변인별로는 사범대학, 시각장애학생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났다. 5학기에 걸친 장애대학생의 평균 학사경고율은 6.6%였으며, 학사경고를 가장 많이 받은 변인은 남자(8.7%), 2학년(8.0%), 자연대학(9.2%), 발달장애(14.1%)이었다.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되며, 내적요인은 장애유형별 학업수행의 어려움, 학습 및 시험전략의 부재, 낮은 동기수준이며, 외적요인은 자율적 학사운영, 교수자 적응,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적응이다. 결론: 기초학력 준비도 향상 교육, 중재반응 차원의 개인중심계획 지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할 재정립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적분포, 학사경고 실태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개인 내‧외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적분포, 학사경고 실태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개인 내‧외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4년제 대학 9개교에 재학중인 전체 장애대학생의 3개년에 걸친 실제 성적분포 및 학사경고 현황을 조사‧분석 하였다. 그리고 8명의 장애대학생을 심층면담하여 질적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성적은 2점대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변인별로는 사범대학, 시각장애학생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났다. 5학기에 걸친 장애대학생의 평균 학사경고율은 6.6%였으며, 학사경고를 가장 많이 받은 변인은 남자(8.7%), 2학년(8.0%), 자연대학(9.2%), 발달장애(14.1%)이었다.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되며, 내적요인은 장애유형별 학업수행의 어려움, 학습 및 시험전략의 부재, 낮은 동기수준이며, 외적요인은 자율적 학사운영, 교수자 적응,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적응이다. 결론: 기초학력 준비도 향상 교육, 중재반응 차원의 개인중심계획 지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할 재정립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김아영,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111-134, 2008

      3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4 박수미, "학생 데이터 통합과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예측 요인 분석: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81-604, 2019

      5 김나미,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91-412, 2014

      6 하명애,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영어수업 적응과 학습태도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73-401, 2019

      7 김선희,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273-282, 2018

      8 이현주, "전환기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프로그램 적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73-98, 2019

      9 서선진,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입시준비 및 대학적응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31-53, 2010

      10 박은혜, "장애인 고등교육 비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김아영,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111-134, 2008

      3 강순화,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12 (12): 221-242, 2000

      4 박수미, "학생 데이터 통합과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예측 요인 분석: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81-604, 2019

      5 김나미,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91-412, 2014

      6 하명애, "특성화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영어수업 적응과 학습태도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73-401, 2019

      7 김선희, "청각장애대학생의 장애학생지원센터 이용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273-282, 2018

      8 이현주, "전환기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프로그램 적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73-98, 2019

      9 서선진,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입시준비 및 대학적응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31-53, 2010

      10 박은혜, "장애인 고등교육 비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1 조성희, "장애대학생의 학습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261-292, 2013

      12 김라경, "장애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대학지원만족, 자기결정성과 대학생활적응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22 (22): 103-128, 2020

      13 박미화, "장애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41-262, 2014

      14 이경림,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89-308, 2007

      15 김자경,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학업동기요인 간 비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2 (12): 71-89, 2008

      16 김자경,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69-86, 2012

      17 교육부, "장애대학생 진로‧취업 지원 추진 계획" 교육부 2018

      18 황순영, "장애대학생 기초학력 강화 방안 연구" 한국복지대학교 2018

      19 교육부, "장애대학생 교육복지지원 활성화 방안(‘20~’22) 발표 보도자료"

      20 숭실대학교, "장애대학생 교수‧학습지원 사례집" 숭실대학교 2011

      21 임미경,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47-172, 2008

      22 이수경, "장애 대학생의 고등교육 지원 현황 및 요구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39-65, 2018

      23 김성애,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35-357, 2003

      24 최현석, "입학전형요소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2011학년도 A대학교 사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343-351, 2012

      25 이현주, "이주배경 가정의 사회자본이 자녀의 고등교육기관 진학 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2 (12): 147-168, 2019

      26 추연구, "영국과 일본의 특별요구교육에서 코디네이터 제도의 고찰"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1-23, 2011

      27 이정례,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5 (25): 167-184, 2011

      28 박미희, "사회통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0 (20): 27-50, 2010

      29 박창남,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71, 2017

      30 이정희,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89-116, 2007

      31 김혜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37-958, 2016

      32 권해수,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결정 요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7 (37): 29-46, 2016

      33 "대학알리미"

      34 이지은,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163-2178, 2015

      35 오성배, "대학생의 입학전형별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57-175, 2016

      36 정은이, "대학생의 수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355-378, 2012

      37 강창혁, "대학생의 수업 참여 경험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발달적 관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311-335, 2016

      38 오성배, "대학생의 대입전형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35-52, 2017

      39 정미강, "대학생의 기초학습능력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참여자의 인식과 요구" 교육연구소 22 (22): 101-126, 2016

      40 양창용, "대학생의 기초학력증진을 위한 제언: 영어/수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4 (4): 313-325, 2002

      41 고홍월,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교육연구소 13 (13): 125-147, 2012

      42 이제봉, "대학생 기초학력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 대학교육의 준비성 모형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03-123, 2007

      43 김종학, "대학상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상담심리학회 30 (30): 663-687, 2018

      44 김형란,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지표 분석 연구: 고등교육의 질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43-1164, 2019

      45 정은이,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69-92, 2009

      46 김희진, "대학 입학예정자를 위한 기초수학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한국학교수학회 14 (14): 343-358, 2011

      47 염철현, "대학 인적구성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법적 쟁점 및 시사점: Fisher v.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29 (29): 23-44, 2017

      48 한안나,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과 성과: D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0 (30): 111-138, 2017

      49 김은영, "대학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101-120, 2019

      50 권해수, "남ㆍ녀 대학생의 학사경고 극복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63-72, 2016

      51 차세진,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1-22, 2018

      52 김은하, "개인중심계획: 발달장애인의 개별화계획 개발을 위한 적용"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259-292, 2012

      53 교육부, "간추린 교육통계"

      54 Massey, D. S., "The effects of america's three affirmative action programs on academic performance" 54 (54): 99-177, 2007

      55 Fischer, M. J., "The effects of affirmative action in higher education" 36 (36): 531-549, 2007

      56 Fletcher, J. M., "The effects of academic probation on college success: lending students a hand or kicking them while they are down?" 1-32, 2010

      57 McMillan, V. K., "Remedial/developmental education approaches for the current community college environment" 1997 (1997): 21-32, 1997

      58 American Diploma Project, "Ready or Not? Creating a High School Diploma That Counts"

      59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 a review of concepts" 57 (57): 218-259, 2001

      60 Melguizo, T., "How are community college students assessed and placed in developmental math? Grounding our understanding in reality" 85 (85): 691-722, 2014

      61 Edmunds, J. A., "Early colleges : A new model of schooling focusing on college readiness" 2012 (2012): 81-89, 2012

      62 Berkner, L. K, "Descriptive Summary of 1989-90 Beginning Postsecondary Students: 5Years Later, with an Essay on Postsecondary Persistence and Attainment" 1989

      63 Gil, L. A., "Bridging the transition gap from high school to college; prepa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a successful postsecondary experience" 40 (40): 12-15, 2007

      64 "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