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제1편 정보화 시대와 사람, 공동체, 그리고 국가 제2장 정보화 시대의 도래 1. 전혀 새로운 시대의 도래 2. 사이버 세계의 특징과 발전과정 3. 인터넷의 등장과 확산 4.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6069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1장 서론 제1편 정보화 시대와 사람, 공동체, 그리고 국가 제2장 정보화 시대의 도래 1. 전혀 새로운 시대의 도래 2. 사이버 세계의 특징과 발전과정 3. 인터넷의 등장과 확산 4. ...
제1장 서론
제1편 정보화 시대와 사람, 공동체, 그리고 국가
제2장 정보화 시대의 도래
1. 전혀 새로운 시대의 도래
2. 사이버 세계의 특징과 발전과정
3. 인터넷의 등장과 확산
4. 기술발전과 인터넷의 미래
5. 정보화 사회의 모습
6. 정보화 사회에 대한 비관적 관점
제3장 정보화 시대의 사람: e-people의 특성
1. e-people의 생활 모습
2. e-people의 인구학적 특성
3. e-people의 정치적 특성
4. 미래의 bio-e-people
제4장 정보화 시대의 공동체
1.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의 등장과 의의
2. 초기의 가상공동체: WELL과 BBS
3. 가상공동체(또는 접속공동체)의 사례들
4. 한국의 인터넷 공동체
제5장 미래의 국가: 세계정부론 대 마이크로 국가론
1. 민족국가의 쇠퇴와 국가의 마이크로화
2. 세계정부론
3. 다층적 국가관리체계론
제2편 정보화 시대의 정치와 민주주의
제6장 전자민주주의의 등장과 그 특성
1. 서론
2. 초창기 전자민주주의의 등장
3. 전자민주주의의 확대와 유형화의 필요성
4. 최근의 전자민주주의 사례들
5. 전자민주주의의 의의
6. 전자민주주의에 대한 현실적 평가
제7장 정치사상사의 관점에서 본 전자민주주의
1. 서론
2. 직접민주주의 대 군주제, 그리고 전자민주주의로의 연상
3.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사상, 그리고 전자민주주의로의 연상
4. 다원적 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 그리고 전자민주주의로의 연상
5. 요약
제8장 전자민주주의에 대한 전망
1. 예측의 어려움
2.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발전과 민주주의:
3.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
제9장 맺음말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화 시대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사이버 시대의 정치를 혹자는 전자민주주의(electronic democracy)라고 명명한다. 혹은 사이버 민주주의(cyber-democracy), 원격민주주의(teledemocracy), 또는 가상민...
정보화 시대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사이버 시대의 정치를 혹자는 전자민주주의(electronic democracy)라고 명명한다. 혹은 사이버 민주주의(cyber-democracy), 원격민주주의(teledemocracy), 또는 가상민주주의(virtual democracy)라고도 한다. 명칭이야 어떻든 이들은 모두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민주주의 현상을 통칭하고 있으며, 알려진 것보다는 알려지지 않은 것이 더 많고, 실현된 것보다는 잠재력이 더 크다. 이런 새로운 현상에 대하여 1)그것의 의의는 무엇이고, 2)어떻게 출발하여 현재까지 어떻게 파급되고 있는가, 그리고 3)전자민주주의의 장래는 어떻게 예측되는가, 특히 4)한국에서의 전자민주주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의의이다.
본 보고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제1편에서는 정보화 시대라는 환경적 변화요인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기술발전과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제2장), 정보화 시대의 사람(제3장), 공동체(제4장), 그리고 미래의 국가(제5장)을 각각 설명한다. 제2편에서는 전자민주주의의 현재(제6장)와 정치사상적 의의(제7장),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제8장)을 탐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