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생태복원 설계 전략 - 2015 밀양시 자연마당 조성사업을 사례로 - = Design Strateg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System Dynamics - Focused on 2015 Miryang-si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07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

      '자연마당 조성사업'은 도시 내 생태휴식공간이자 생활문화공간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환경부의 사업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일대는 훼손된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생태복원이 필요한 장소로 인식되어 올해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대상지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아북산 일대의 생태복원을 위한 설계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사업대상지의 핵심 복원 공간으로써 국궁장, 구덩이, 경작지 부지는 각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략을 토대로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국궁장 부지의 경우 토양 산성화와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녹비식물과 후글컬쳐 방식을 도출하여 실제 설계안에 도입하였고, 둘째, 구덩이 부지의 경우 구덩이 하단부에 우수가 집수되어 습윤성 식생이 출현한 점에서 인공 습지 조성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태 문화적 이점을 파악하여 인공 습지 조성의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두 곳으로 분리되는 경작지 부지는 토양 산성화와 토양 침식, 녹지축 단절의 문제 해결을 위해 토양 개량 작업 후 한 곳은 자생종을 식재하여 산림을 복원하는 전략 도출을 통해 녹지축을 연결하는 설계안을 완성하였고 다른 한 곳은 초지로 복원하되 일부 공간에 건습지를 조성하는 설계안을 세웠다. 본 연구는 생태복원 설계 시 생태계 시스템의 피드백 루프 내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략을 도출한 것으로써 일반적인 설계 과정에 없던 시스템 사고의 방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JMDP")" is a project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create a cultural space and a natural rest area within the city. Abuksan, located at Abuksan in Gyeongsangnam-do Miryang-si Naeil-dong, has s...

      "The Jayeon Madang Development Project("JMDP")" is a project being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create a cultural space and a natural rest area within the city. Abuksan, located at Abuksan in Gyeongsangnam-do Miryang-si Naeil-dong, has suffered a substantial amount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over time, so the ne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made it a natural choice for the location of the JMDP's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cological restoration design strategies used in Abuksan as part of the JMDP using system dynamics. The national archery center, hole, and arable land sites are key restoration areas in Abuksan that have faced with ecological problem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tatus of each site, determined key strategies being implemented, and designed based on the strategies implemented up to this point for solving problems associated with each sites through the use of causal loop diagrams. The results of the causal loop diagram analysi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archery center site was designed around strategies including planting green manure crops and introducing hugelkultur to reduce soil acidification and green network degradation. The hole site was designed as a constructed wetland based on the emergence of hygropreference vegetation, hydrated by rainwater collected at the bottom of hole, ecological and cultural benefits of such an environment. The arable land site restoration design was built around planting native vegetation on one part of the arable land site after soil quality improved and around restoration of grassland and a dry wetland on the other part of the site to reduce soil acidification, erosion, and green network degradation. This study is a significant attempt to apply principles of system dynamics to ecological restoration by providing the design strategies using comprehension of some problems in the ecosystem feedback loops, which has not been used before in general design process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주, "피복작물이 유기 사과과원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822-828, 2012

      2 최성웅,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한국암반공학회 19 (19): 463-472, 2009

      3 정기열, "토양 경반층 강도가 콩 뿌리신장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332-338, 2012

      4 좌재호, "초생재배가 감귤원 토양의 물리성과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279-284, 2008

      5 김도훈, "제주도 한라산 노루 적정 개체수에 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9 (9): 45-75, 2008

      6 최신현, "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한국조경학회 37 (37): 66-72, 2010

      7 변우일,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환경?생태공원 설계-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 공원의 구조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1-9, 2006

      8 이태선,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351-362, 2010

      9 조동길, "자연습지 식생구조를 고려한 국립수목원 수생식물원의 생태 설계 제안"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4 (14): 379-391, 2011

      10 최윤의, "인과순환구조 분석을 통한 큰고니 서식환경 유지방안 - 을숙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353-367, 2015

      1 오영주, "피복작물이 유기 사과과원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822-828, 2012

      2 최성웅,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한국암반공학회 19 (19): 463-472, 2009

      3 정기열, "토양 경반층 강도가 콩 뿌리신장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332-338, 2012

      4 좌재호, "초생재배가 감귤원 토양의 물리성과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279-284, 2008

      5 김도훈, "제주도 한라산 노루 적정 개체수에 관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9 (9): 45-75, 2008

      6 최신현, "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한국조경학회 37 (37): 66-72, 2010

      7 변우일,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환경?생태공원 설계-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 공원의 구조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1-9, 2006

      8 이태선,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351-362, 2010

      9 조동길, "자연습지 식생구조를 고려한 국립수목원 수생식물원의 생태 설계 제안"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4 (14): 379-391, 2011

      10 최윤의, "인과순환구조 분석을 통한 큰고니 서식환경 유지방안 - 을숙도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353-367, 2015

      11 좌재호, "유기물원 항온배양 온도가 토양미생물체량과 효소활성 및 PLFA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500-512, 2009

      12 김명현, "식생유형이 토양무척추동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28 (28): 125-130, 2009

      13 최윤의, "시스템 사고를 통한 생태관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 밤섬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8 (38): 59-78, 2014

      14 이현지, "시스템 사고를 통한 다기능 생태저류지의 관리방안 - 광명 안터생태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8 (18): 1-17, 2015

      15 장의선, "시스템 사고를 배경으로 한 지리적 사고의 재구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77-92, 2007

      16 고창택, "생태복원의 철학과 그 정책적 응용" 대한철학회 97 : 1-38, 2006

      17 양승구, "무경운 유기재배에서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과 토양 화학성 변화" 한국유기농업학회 19 (19): 255-272, 2011

      18 손진관,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117-131, 2010

      19 이승준, "내륙습지 기능의 우선순위 결정"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3 (23): 197-207, 2014

      20 김덕삼, "남한산성 마을경관의 복원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101-110, 2007

      21 이정태, "고랭지 경사 밭 콩 재배지에서 토양유실경감을 위한 피복방법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725-732, 2012

      22 "www.me.go.kr"

      23 Higgs, E. S., "What is good ecological restoration?" 11 (11): 338-348, 1997

      24 Park, M. E., "Upstream part of Hoidong water reservoir in Pusan -The soil and water pollution caused by the weathering of pyrophyllite deposits-" 7 (7): 149-155, 1998

      25 Sweeny, L. B., "Thinking about systems: Student and teacher conceptions of natural and social systems" 23 : 285-312, 2007

      26 Jeong, Y. W., "The reducing effects analysis of floods through washland construction in Hwapocheon basi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9

      27 Park, C. Y., "The effects of soil loss mitigate and soil fertility change by preservation countermeasures of upland soil"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43-, 2000

      28 Park, C. G., "Systemology" Bermyangsa 1997

      29 Dace, E., "Systemdynamics model for analyzing effects of eco-design policy on packaging waste management system" 87 : 175-190, 2014

      30 Kim, D. H., "System Thinking" Sunhaksa 2004

      31 Beyer, L., "Soil microbial biomass and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soils under cultivation" 19 (19): 197-202, 1995

      32 Cho, D. G., "Planning and Designing of Ecological Restoration" NEXUS Design Centre 2011

      33 Kim, D. H.,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Urban Roadside Tree Soil in Eelation to Pollution Levels" Yonsei University 2014

      34 Lee, S. W., "Impacts of soil acidification on red pine growth and soil biological activitie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141-, 2008

      35 김덕길,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한국습지학회 13 (13): 665-675, 2011

      36 Lee, H. J., "Forest vegetation and soil condition on Mt. Palyoung" 22 : 79-101, 1997

      37 Saysel, A. K.,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an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 A system dynamics approach" 64 (64): 247-260, 2002

      38 Benayas, J. M. R., "Enhancement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by ecological restoration: A Meta Analysis" 325 (325): 1121-1124, 2009

      39 Kim, B. J., "Effect of lime materials application on reducing injury of simulated acid rain in soybean" 16 (16): 175-180, 1997

      40 Harris, J. A., "Ecological restora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 14 (14): 170-176, 2006

      41 Seong, C. N.,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soil microorganisms isolated fromrepresentative plant communities of Mt. Paektu" 21 (21): 575-583, 1998

      42 Lee, H. H., "Change of soil erodibility by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texture i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rict" 363-364, 2009

      43 Sterman, J. D., "Business Dynamics: System Thinking and Modeling for complex world" Irwin McGraw-Hill companies 2000

      44 Eom, K. C., "Basic Research for Soil Erosion Diminish"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45 Kim, J. W., "A case study on the vegetation in the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y region -Ecological division of habitats by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18 (18): 307-321, 1995

      46 Moon, T. H., "A Sustainable City through System Thinking" Jipmoon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