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임상용 3T MR기기를 이용한 중, 소동물의 뇌 실험의 유용성: 3개의 Surface Coil을 이용한 연구 = A Study of Feasibility of Brain Imaging in Medium- and Small-Sized Animals: Using a Clinical 3T MR System with Three Surface Coi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6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which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less than 15.4 cm in diameter are best in rabbit and rat models,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linical 3T MR machine in the study of morphologic brain in a preclinical study using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Brain T2-weighted image (T2WI), T1-weighted image (T1WI), diffusion-weighted image (DWI), and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SWI) were obtained, and MR angiography was perform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a rat, a cat, and a knee coil (5, 12, and 15.4 cm in diameter, respectively) in normal rabbits (n = 3) and using a rat and a cat coil in normal rats (n = 3). MR images were assessed qualitatively by consensus of two neuroradiologists and quantitatively using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alysis of variance or t-test) in terms of which images obtained with different coils were the best. Brain T2WI, DWI, SWI, and Gd-T1WI MR images were obtained 2 hours after embolization with triolein emulsion infused into the carotid artery in rabbits (n = 3) and rats (n = 3) using the coil which showed highest SNR in the above study, and the images were assessed in terms of abnormal findings and image quality.
      Resul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revealed better image quality and higher SNR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 other coils,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in rabbits. In ra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were better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cat coil in qualitative analysis; however, they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for DWI in quantitative analysis. MR images obtained after triolein emulsion showed T2 hyperintensity and lesional contrast enhancement on Gd-T1WI without evidence of infarction or hemorrhage.
      Conclusion: The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for animals enabled us to obtain good quality brain images in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in the present study. Brain MR images seem to be feasible for the morphologic evaluation in animal models.
      번역하기

      Purpose: To evaluate which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less than 15.4 cm in diameter are best in rabbit and rat models,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linical 3T MR machine in the study of morpholog...

      Purpose: To evaluate which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less than 15.4 cm in diameter are best in rabbit and rat models,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linical 3T MR machine in the study of morphologic brain in a preclinical study using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Materials and Methods: Brain T2-weighted image (T2WI), T1-weighted image (T1WI), diffusion-weighted image (DWI), and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SWI) were obtained, and MR angiography was performed with a clinical 3T MR system using a rat, a cat, and a knee coil (5, 12, and 15.4 cm in diameter, respectively) in normal rabbits (n = 3) and using a rat and a cat coil in normal rats (n = 3). MR images were assessed qualitatively by consensus of two neuroradiologists and quantitatively using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alysis of variance or t-test) in terms of which images obtained with different coils were the best. Brain T2WI, DWI, SWI, and Gd-T1WI MR images were obtained 2 hours after embolization with triolein emulsion infused into the carotid artery in rabbits (n = 3) and rats (n = 3) using the coil which showed highest SNR in the above study, and the images were assessed in terms of abnormal findings and image quality.
      Resul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revealed better image quality and higher SNR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ith other coils, and the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in rabbits. In rats, brain MR images obtained with the rat coil were better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cat coil in qualitative analysis; however, they reveal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for DWI in quantitative analysis. MR images obtained after triolein emulsion showed T2 hyperintensity and lesional contrast enhancement on Gd-T1WI without evidence of infarction or hemorrhage.
      Conclusion: The clinical 3T MR system using surface coils for animals enabled us to obtain good quality brain images in medium- and small-sized animal models in the present study. Brain MR images seem to be feasible for the morphologic evaluation in animal mod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임상용 3T MR 시스템에서 15.4 cm 이하 직경의 표면 코일을 이용하였을 때 토끼와 쥐의 뇌 자기공명(MR) 영상을 분석하여 어떤 표면 코일을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한 중, 소동물의 전임상 연구에서, 임상장비를 이용한 중, 소동물 MR 영상의 뇌형태 분석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상군의 토끼 3 마리(n = 3)에서 쥐용, 고양이용 및 무릎용 표면 코일(각각 직경 5, 12, 15.4 cm)을 사용하고 정상군의 쥐 3 마리(n = 3)에서 쥐용과 고양이용 표면 코일을 사용하여 뇌의 T2-weighted image, T1-weighted image, diffusion-weighted image (이하 DWI),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이하 SWI) 및 MR angiography image를 얻었다. 각 실험동물의 뇌 MR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과 정량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을 위하여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합의 판정으로 영상의 질을 판단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신호 대 잡음 비(signal-to-noise ratio) 측정을 통한 분산 분석 방법 혹은 t-test 방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가장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인 표면 코일을 이용하여, 트리올레인 유상액을 토끼(n = 3)와 쥐(n = 3)의 경동맥에 주입하여 뇌 지방색전증을 유발하고 2시간 후 T2, DWI, SWI 및 Gd-T1를 얻었으며 병변 소견과 그 영상의 질에 관해 분석하였다.
      결과: 토끼의 경우에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다른 두 표면 코일의 경우에 비해 정성적 분석에서 더 나은 영상을 보였고 정량적 분석에서보다 더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였으며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분산분석, p < 0.05). 쥐의 경우, 정성분석에서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고양이용 코일로 얻은 영상보다는 우수하였으나 각 영상의 신호 대 잡음 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통계적 차이는 DWI에서만 나타났다. 트리올레인 유상액으로 유발한 뇌 지방색전증은 T2 고신호강도와 조영증강을 보였으나 뇌경색이나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중, 소동물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실험에서 임상용 3T MR 시스템과 동물용 표면 코일로도 충분히 좋은 뇌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그 MR 영상은 동물모델의 뇌 질환의 형태적 연구에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적: 임상용 3T MR 시스템에서 15.4 cm 이하 직경의 표면 코일을 이용하였을 때 토끼와 쥐의 뇌 자기공명(MR) 영상을 분석하여 어떤 표면 코일을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지를...

      목적: 임상용 3T MR 시스템에서 15.4 cm 이하 직경의 표면 코일을 이용하였을 때 토끼와 쥐의 뇌 자기공명(MR) 영상을 분석하여 어떤 표면 코일을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을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한 중, 소동물의 전임상 연구에서, 임상장비를 이용한 중, 소동물 MR 영상의 뇌형태 분석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용 3T MR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상군의 토끼 3 마리(n = 3)에서 쥐용, 고양이용 및 무릎용 표면 코일(각각 직경 5, 12, 15.4 cm)을 사용하고 정상군의 쥐 3 마리(n = 3)에서 쥐용과 고양이용 표면 코일을 사용하여 뇌의 T2-weighted image, T1-weighted image, diffusion-weighted image (이하 DWI), susceptibility-weighted image (이하 SWI) 및 MR angiography image를 얻었다. 각 실험동물의 뇌 MR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과 정량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을 위하여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합의 판정으로 영상의 질을 판단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신호 대 잡음 비(signal-to-noise ratio) 측정을 통한 분산 분석 방법 혹은 t-test 방법을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가장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인 표면 코일을 이용하여, 트리올레인 유상액을 토끼(n = 3)와 쥐(n = 3)의 경동맥에 주입하여 뇌 지방색전증을 유발하고 2시간 후 T2, DWI, SWI 및 Gd-T1를 얻었으며 병변 소견과 그 영상의 질에 관해 분석하였다.
      결과: 토끼의 경우에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다른 두 표면 코일의 경우에 비해 정성적 분석에서 더 나은 영상을 보였고 정량적 분석에서보다 더 높은 신호 대 잡음 비를 보였으며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분산분석, p < 0.05). 쥐의 경우, 정성분석에서는 쥐용 코일로 얻은 영상이 고양이용 코일로 얻은 영상보다는 우수하였으나 각 영상의 신호 대 잡음 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통계적 차이는 DWI에서만 나타났다. 트리올레인 유상액으로 유발한 뇌 지방색전증은 T2 고신호강도와 조영증강을 보였으나 뇌경색이나 출혈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중, 소동물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실험에서 임상용 3T MR 시스템과 동물용 표면 코일로도 충분히 좋은 뇌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그 MR 영상은 동물모델의 뇌 질환의 형태적 연구에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HJ, "Triolein emulsion infusion into the carotid artery increases brain permeability to anticancer agents" 78 : 726-733, 2016

      2 Nam Kyu Chang, "Tracking of Neural Stem Cells in Rats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by the Use of 3T MRI" 대한영상의학회 9 (9): 196-204, 2008

      3 Kim YW, "The study of cerebral hemodynamics in the hyperacute stage of fat embolism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27 : 398-401, 2006

      4 Liang CC, "The protective effect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 CD34+ cells and estradiol against focal cerebral ischemia in female ovariectomized rat: cerebral MR imag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11 : e0147133-, 2016

      5 Jong Yuk Lee, "The Steroid Effect on the Blood-Ocular Barrier Change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as seen on Contrast-Enhanced MR Images" 대한영상의학회 9 (9): 205-211, 2008

      6 Bearer EL, "Reward circuitry is perturbed in the absence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46 : 1091-1104, 2009

      7 Kim HJ, "Reversible MR changes in the cat brain after cerebral fat embolism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25 : 958-963, 2004

      8 Mezer A, "Quantifying the local tissue volume and composition in individual brain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19 : 1667-1672, 2013

      9 Haenold 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mouse visual pathway for in vivo studies of 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in the CNS" 59 : 363-376, 2012

      10 Kim HJ,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istologic findings of experimental cerebral fat embolism" 38 : 625-634, 2003

      1 Kim HJ, "Triolein emulsion infusion into the carotid artery increases brain permeability to anticancer agents" 78 : 726-733, 2016

      2 Nam Kyu Chang, "Tracking of Neural Stem Cells in Rats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by the Use of 3T MRI" 대한영상의학회 9 (9): 196-204, 2008

      3 Kim YW, "The study of cerebral hemodynamics in the hyperacute stage of fat embolism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27 : 398-401, 2006

      4 Liang CC, "The protective effect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 CD34+ cells and estradiol against focal cerebral ischemia in female ovariectomized rat: cerebral MR imag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11 : e0147133-, 2016

      5 Jong Yuk Lee, "The Steroid Effect on the Blood-Ocular Barrier Change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as seen on Contrast-Enhanced MR Images" 대한영상의학회 9 (9): 205-211, 2008

      6 Bearer EL, "Reward circuitry is perturbed in the absence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46 : 1091-1104, 2009

      7 Kim HJ, "Reversible MR changes in the cat brain after cerebral fat embolism induced by triolein emulsion" 25 : 958-963, 2004

      8 Mezer A, "Quantifying the local tissue volume and composition in individual brain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19 : 1667-1672, 2013

      9 Haenold 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mouse visual pathway for in vivo studies of 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in the CNS" 59 : 363-376, 2012

      10 Kim HJ,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histologic findings of experimental cerebral fat embolism" 38 : 625-634, 2003

      11 Lee IS, "Immediate break-down of blood retinal barrier by infusion of triolein emulsion observed by fluorescein angiography" 36 : 358-363, 2011

      12 Kim HJ, "Experimental cerebral fat embolism : embolic effects of triolein and oleic acid depicted by MR imaging and electron microscopy" 23 : 1516-1523, 2002

      13 Kim YW, "Effect of intra-arterial infusion with triolein emulsion on rabbit liver" 20 : 14442-14449, 2014

      14 Lee JE, "Effect of fat embolism with triolein emulsion on blood-retinal barrier" 41 : 14-20, 2009

      15 Kim HJ, "Early development of vasogenic edema in experimental cerebral fat embolism in cats : correlation with MRI and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36 : 460-469, 2001

      16 Wu B, "Comparison of SNR calculation methods for in vivo imaging"

      17 Pfeuffer J, "Anatomical and functional MR imaging in the macaque monkey using a vertical large-bore 7 Tesla setup" 22 : 1343-1359, 2004

      18 Kim HJ, "A model for research on the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induced by unsaturated fatty acid emulsion" 40 : 270-27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KCI등재
      2016-1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58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