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48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AAC 중재 시 대상자에 적절한 앱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의 기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 기반의 모바일 앱을 검색하여 총 15개의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을 선정하였으며, AAC 체계 유형, 운영 체계, 상징유형, 음성 출력, 디스플레이, 피드백, 속도향상 전략, 접근기법 및 운동에 대한 분석기준과 세부 분류체계로 AAC 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한국어 기반의 AAC 앱 가운데 그림상징형의 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운영 체계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상징형 앱에서 사용한 상징유형은 대부분 개발사에서 자체 제작한 그림상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형 상징타당성이 검증된 그래픽 그림상징체계는 이화-AAC 상징체계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출력은 합성음성 기반이 많았으며, 역동형 디스플레이와 시․청각적 피드백, 메시지 피드백 기능제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기법은 대부분은 터치(눌렀다떼기)의 직접선택이 많았으며 스캐닝 기능도 다양한 앱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특수교육 및 언어재활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맞는 AAC 모바일 앱을 선정을 위한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고, 추후 AAC 앱 개발관련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AAC 중재 시 대상자에 적절한 앱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의 기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하...

      연구목적: 본 연구는 AAC 중재 시 대상자에 적절한 앱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의 기술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 기반의 모바일 앱을 검색하여 총 15개의 한국어 기반의 AAC 모바일 앱을 선정하였으며, AAC 체계 유형, 운영 체계, 상징유형, 음성 출력, 디스플레이, 피드백, 속도향상 전략, 접근기법 및 운동에 대한 분석기준과 세부 분류체계로 AAC 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한국어 기반의 AAC 앱 가운데 그림상징형의 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운영 체계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상징형 앱에서 사용한 상징유형은 대부분 개발사에서 자체 제작한 그림상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형 상징타당성이 검증된 그래픽 그림상징체계는 이화-AAC 상징체계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출력은 합성음성 기반이 많았으며, 역동형 디스플레이와 시․청각적 피드백, 메시지 피드백 기능제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기법은 대부분은 터치(눌렀다떼기)의 직접선택이 많았으며 스캐닝 기능도 다양한 앱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특수교육 및 언어재활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맞는 AAC 모바일 앱을 선정을 위한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고, 추후 AAC 앱 개발관련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select the best matching apps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o that special educat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or AAC specialists should know the available AAC apps and should be able to compare the technology options for AAC app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eatures of Korean-based AAC mobile applications and presente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s specifica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a review of 15 Korean AAC mobile applications which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as conducted. The key features(AAC system type, operating system, symbol type, speech output, display, feedback, rate enhancement, and access op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ictureand android-based AAC apps were the most commonly available in Korea. TTS-based synthesized speech, dynamic display, visual feedback, bookmark and direct selection were also commonly availab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ritical and fundamental considerations of the AAC apps selection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lso, several directions for developing technology options for AAC mobile application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Purpose: To select the best matching apps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o that special educat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or AAC specialists should know the available AAC apps and should be able to compare the technology opti...

      Purpose: To select the best matching apps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o that special educato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or AAC specialists should know the available AAC apps and should be able to compare the technology options for AAC app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eatures of Korean-based AAC mobile applications and presente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s specifica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a review of 15 Korean AAC mobile applications which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as conducted. The key features(AAC system type, operating system, symbol type, speech output, display, feedback, rate enhancement, and access op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ictureand android-based AAC apps were the most commonly available in Korea. TTS-based synthesized speech, dynamic display, visual feedback, bookmark and direct selection were also commonly availab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ritical and fundamental considerations of the AAC apps selection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Also, several directions for developing technology options for AAC mobile applicat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태, "한국형 AAC 프로그램 ‘마이토키’ 및 AAC 앱 소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1-27, 2013

      2 박기태, "한국형 AAC 소프트웨어 개발현황"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3-43, 2014

      3 "트라이톡 학교에서 (버전 1.11) [애플리케이션]"

      4 "토크프렌드 (버전 1.0) [애플리케이션]"

      5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6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7 "진소리 (버전 1.0.2) [애플리케이션]"

      8 임장현, "지체장애인을 위한 글자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2 (12): 247-273, 2013

      9 "제이토크 AAC (버전 1.2) [애플리케이션]"

      10 이태수,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59-283, 2013

      1 박기태, "한국형 AAC 프로그램 ‘마이토키’ 및 AAC 앱 소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1-27, 2013

      2 박기태, "한국형 AAC 소프트웨어 개발현황"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3-43, 2014

      3 "트라이톡 학교에서 (버전 1.11) [애플리케이션]"

      4 "토크프렌드 (버전 1.0) [애플리케이션]"

      5 한선경,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92-106, 2012

      6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7 "진소리 (버전 1.0.2) [애플리케이션]"

      8 임장현, "지체장애인을 위한 글자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2 (12): 247-273, 2013

      9 "제이토크 AAC (버전 1.2) [애플리케이션]"

      10 이태수,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59-283, 2013

      11 최하영,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연구 고찰: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0 (10): 65-84, 2010

      12 연석정, "이화-AAC 상징체계의 상징투명도와 명명일치도 특성 비교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45-64, 2016

      13 박은혜, "이화-AAC 상징체계 개발 연구: 어휘 및 그래픽상징의 타당화"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9-40, 2016

      14 김정연, "음성산출 의사소통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 AAC 관련전문가의 경험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45-374, 2010

      15 정유경, "음성 산출 AAC의 문장예측 기능(CSS-S)이 문장생성 속도 및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73-86, 2015

      16 "오케이톡톡 (버전 1.0.0) [애플리케이션]"

      17 최윤정, "언어장애인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 의사소통보조 어플리케이션" 한국음성학회 6 (6): 141-148, 2014

      18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13

      19 정명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AAC의 개발과 활용"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5-56, 2014

      20 안재완, "스마트 AAC 연구 개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85-97, 2017

      21 "스마트 AAC 문자형 (버전 1.0) [애플리케이션]"

      22 "스마트 AAC 그림형 (버전 1.0.1) [애플리케이션]"

      23 조혜희, "수정-교수 전략 모델(A-SIM)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 AAC중재가 뇌성마비 성인의 대화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193-218, 2012

      24 김진솔, "발성 및 언어장애인들을 위한 AAC 어플리케이션 ‘진소리(眞소리: JinSori)’"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99-110, 2013

      25 이윤숙,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39-67, 2010

      26 이희연,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37-43, 2012

      27 "모글 AAC (버전 1.0.16) [어플리케이션]"

      28 홍기형, "말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위한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능 평가 메트릭스" 1 (1): 97-112, 2013

      29 "마이토키 스마트 (버전 2.0.2) [애플리케이션]"

      30 "똑똑 AAC (버전 1.0) [애플리케이션]"

      31 "나의 AAC 일반 (버전 1.0.1) [애플리케이션]"

      32 "나의 AAC 아동 (버전 1.0.5) [애플리케이션]"

      33 "나의 AAC 기초 (버전 1.2.0) [애플리케이션]"

      34 이영미, "국내 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한국음성학회 7 (7): 153-163, 2015

      35 김경양, "가족중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부모와 중도장애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83-111, 2013

      36 Allison M. Meder, "iPads, Mobile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A Survey of Family Wants, Needs, and Preferences" Informa UK Limited 31 (31): 27-36, 2015

      37 장유진, "Web기반 Activity 보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17-28, 2015

      38 표윤희, "VOCA를 활용한 통합적인 AAC 중재가 중도 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행동, 기능, 양식 및 상징조합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03-222, 2007

      39 Jessica Gosnell, "Using a Clinical Approach To Answer “What Communication Apps Should We Use?”"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0 (20): 87-, 2011

      40 Drager, K. D., "The performance of typically developing 2½-year-olds on dynamic display AAC technologies with different system layouts and language organizations" 46 (46): 298-312, 2003

      41 David McNaughton, "The iPad and Mobile Technology Revolution: Benefits and Challenges for Individuals who requi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forma UK Limited 29 (29): 107-116, 2013

      42 Jeff Higginbotham, "The Future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0 (20): 52-56, 2011

      43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respect t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osition statement"

      44 Jeon, K. H., "Robo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nonverbal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CM 853-859, 2014

      45 "Prologue2Go (version.5.0.1) [Apple Watch Application]"

      46 "MyVoice - Tap or Type to Talk (version.1.6.3) [iMessage Application]"

      47 "MyTalk Tools Mobile Lite (version..6.4.5) [Apple Watch Application]"

      48 Dave Hershberger, "Mobile Technology and AAC Apps From an AAC Developer's Perspective"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0 (20): 28-33, 2011

      49 박정은, "MOGUL AAC: The unique way to support complex communication needs for children in Autism Spectrum"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 (4): 125-131, 2016

      50 고진복, "KIDS VOI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45-163, 2006

      51 이재성, "Greater functionality & interconnectivity: New smartphone based AAC apps"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9-16, 2015

      52 Park, E. H., "Development of Korean AAC program: Culturally appropriate symbols and linguistic features" 2014

      53 Wilkinson, K. M., "Consider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visual scene displays: Potential contributions of information from visual and cognitive sciences" 28 (28): 137-147, 2012

      54 Beukelman, 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s Publishing 2013

      55 임장현, "ASD인을 위한 스마트 교육 미디어로서의 앱 개발 및 연구현황 분석" 한국자폐학회 12 (12): 93-117, 2012

      56 김형순, "AAC를 위한 음성합성 기술"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3-19, 2017

      57 "AAC 굿 커뮤니케이션 (버전 1.1.182.6) [애플리케이션]"

      58 Janice Light, "AAC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forma UK Limited 23 (23): 204-216, 2009

      59 Debby McBride, "AAC Evaluations and New Mobile Technologies: Asking and Answering the Right Questions"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0 (20): 9-16, 2011

      60 Ashley Alliano, "A Review of 21 iPad Application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urposes" American Speech 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1 (21): 60-7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