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AC앱을 활용하여 SAL, 환경적 조성 전략, 강화하기, 체계적 촉진절차 등의 다양한 중재전략을 적용한 AAC중재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48263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80(2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AC앱을 활용하여 SAL, 환경적 조성 전략, 강화하기, 체계적 촉진절차 등의 다양한 중재전략을 적용한 AAC중재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AC앱을 활용하여 SAL, 환경적 조성 전략, 강화하기, 체계적 촉진절차 등의 다양한 중재전략을 적용한 AAC중재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발달지체유아이고, 연구설계는 상황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1)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고, 2)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이 다양화되었고, 3)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발성 모방 빈도 또한 증가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교사에게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났고 유지되었다. 결론: AAC앱을 활용한 AAC중재는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의사소통행동과 모방발성 증가)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which included SAL(the System for Augmenting Language) and prompting process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 strategy. Method: The participants of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which included SAL(the System for Augmenting Language) and prompting process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 strategy.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setting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1)The intervention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2)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also diversifi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participants. 3) In communication models,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imitation of vocalization. Also, these changes were generalized to others and they were maintained.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promoted language development (increased communication behaviors and imitation of vocaliz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2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3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4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5 "엔씨소프트문화재단"
6 신영배,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 대체의사소통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정신 지체아동의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6 (6): 355-373, 2001
7 정명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AAC의 개발과 활용"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5-56, 2014
8 김정연, "스마트기기 기반 AAC 앱의 사용성 평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59-80, 2016
9 김영태,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정연,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7 : 265-289, 2006
1 김경양, "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자폐학회 15 (15): 19-44, 2015
2 임장현,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85-106, 2011
3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4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5 "엔씨소프트문화재단"
6 신영배,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 대체의사소통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정신 지체아동의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6 (6): 355-373, 2001
7 정명철, "스마트폰을 이용한 AAC의 개발과 활용"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45-56, 2014
8 김정연, "스마트기기 기반 AAC 앱의 사용성 평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9 (9): 59-80, 2016
9 김영태,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10 김정연,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7 : 265-289, 2006
11 백경란,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55-182, 2016
12 정명철,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447-471, 2012
13 이희연,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글자판의 단어예측기능에 대한 뇌병변장애인 대상의 사용성 평가" 한국재활복지공학회 9 (9): 209-214, 2015
14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19-242, 2003
15 이명희, "또래중재를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대화상대자 훈련이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08-128, 2006
16 한경임,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09-130, 2007
17 이소현,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00
18 김정연, "다중양식체계를 이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 고등학생의 수업 중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9 김은경,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5-51, 2014
20 이정숙, "교육용 앱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49-152, 2013
21 표윤희, "VOCA를 활용한 통합적인 AAC 중재가 중도 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행동, 기능, 양식 및 상징조합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203-222, 2007
22 Lilienfeld, M., "The social interaction of an adolescent who uses AAC: the evaluation of a peer training programme" 21 (21): 278-294, 2005
23 Cafiero, J. M., "The effect of an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and academic program of an adolescent with autism" 16 (16): 179-189, 2001
24 McCathren, R. B., "Teacher-implemented prelinguistic communication intervention" 15 (15): 21-29, 2000
25 Cress, C. J., "Strategies for promoting voc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relying on AAC: Three case illustrations" 1998
26 고진복, "KIDS VOI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145-163, 2006
27 Siegel, E.,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rrill 2000
28 Ganz, J. B., "Impact of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Effects on communication and collateral effects on maladaptive behaviors" 25 (25): 250-261, 2009
29 Sigafoos, F., "Effects of Speech output of maintenance of requesting and frequency of vocalization in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 (19): 37-47, 2003
30 Sigafoos, J., "Conditional use of aided and unaided AAC: A review and clinical case demonstration" 16 (16): 152-161, 2001
31 Gevarter, C., "Comparing acquisition of AAC-based mands in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iPad applications with different display and design elements" 44 (44): 2464-2474, 2014
32 Kent-Walsh, J., "Communication partne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ho use AAC" 11 (11): 28-29, 2006
33 Romski, M. A., "Augmentative communication and early intervention: Myths and Realities" 18 (18): 174-185, 2005
34 Beukelman, D. 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upporting children and adul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Paul H. Brookes 2013
35 Binger, 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Pearson Education 2010
36 임장현, "ASD인을 위한 스마트 교육 미디어로서의 앱 개발 및 연구현황 분석" 한국자폐학회 12 (12): 93-117, 2012
37 김현주, "AAC를 통한 상호작용적 이야기책 읽기 활동이 복합장애아동의 초기 문해력(early literacy)과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8 Light, J., "AAC technologies for you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State of the scien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3 (23): 204-216, 2007
39 Dada, S., "A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s of teachers at special and educationally inclusive schools towards learners with little or no functional speech using communication devices" 22 (22): 223-228, 2002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9 | 1.64 | 1.895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