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48262
2017
Korean
Leisure Education ; Developmental Disability ; Adult ; Self-Determination ; Free Time Motivation ; Leisure Attitude ; 여가교육 ; 발달장애 ; 성인 ; 자기결정 ; 여가동기 ; 여가태도
KCI등재
학술저널
27-56(30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여가태도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8세~21세 사이의 발달장애 성인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이 중 실험집단의 발달장애 성인은 주 3회씩 총 14회기의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수준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무동기와 외적 조절동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여가태도에서는 실험집단의 전체 여가태도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정서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력 변화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여가동기 수준과 여가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결론: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여가교육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성인의 주체적 여가참여를 이끌며, 그들이 여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돕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on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attitude, and self-determina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wenty...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on free time motivation, leisure attitude, and self-determina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went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0 ad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adults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14-session leisure program.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isure motiv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it was appea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isure attitude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etermin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leis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ositive free time motivation and leisure attitud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영성, "현대사회와 여가교육" 세종문화사 2002
2 염태호,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3 조아미, "청소년 여가동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81-402, 2003
4 강영심, "지적장애학생과 면담을 통한 여가 지원방안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19-138, 2015
5 신덕수, "지적장애 학생의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비참여가 건강관련체력과 동맥경화치수에 미치는 영향" 19 : 1-9, 2013
6 김동일, "지역사회적응검사(Community Integration Skills-Assessment: CIS-A)" 학지사 2004
7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3 (13): 173-204, 2014
8 방명애, "정신지체아동의 지체정도와 학교급간이 의사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36 (36): 147-168, 2001
9 임혜경,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39-363, 2014
10 김수연, "장애학생을 위한 여가교육의 개념화와 지역사회 중심의 여가 교수" 35 (35): 163-194, 2000
1 황영성, "현대사회와 여가교육" 세종문화사 2002
2 염태호,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실시요강" 한국가이던스 1992
3 조아미, "청소년 여가동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81-402, 2003
4 강영심, "지적장애학생과 면담을 통한 여가 지원방안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19-138, 2015
5 신덕수, "지적장애 학생의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비참여가 건강관련체력과 동맥경화치수에 미치는 영향" 19 : 1-9, 2013
6 김동일, "지역사회적응검사(Community Integration Skills-Assessment: CIS-A)" 학지사 2004
7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3 (13): 173-204, 2014
8 방명애, "정신지체아동의 지체정도와 학교급간이 의사결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36 (36): 147-168, 2001
9 임혜경,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339-363, 2014
10 김수연, "장애학생을 위한 여가교육의 개념화와 지역사회 중심의 여가 교수" 35 (35): 163-194, 2000
11 김혜경,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학생의자기규칙과 심리적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87-108, 2003
12 장현민, "자기결정력 강화 주말 여가 중재가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107-128, 2016
13 유숙열,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161-182, 2003
14 서지훈,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69-91, 2010
15 류현주, "여가활동 중심의 전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박선기, "여가학 총론" 레인보우북스 27-38, 2008
17 정귀순, "방과후 통합 여가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여가동기 및 여가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8 강소영, "발달장애인의 여가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0∼2014년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85-310, 2014
19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4324호"
20 권회연, "발달장애 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적극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5, 2014
21 이경선, "발달장애 중학생 자녀의 여가활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206-231, 2016
22 전태준, "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여가태도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61-71, 2008
23 김영재, "대학생 여가동기척도(LMS-A) 타당화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1217-1226, 2008
24 송은일, "대학 교양 골프수업 수강생의 여가태도와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골프학회 7 (7): 10-19, 2013
25 Bullock, C. C., "The wake leisure education program: An integral part of special education. A facilitator's manual containing field-tested leisure education curriculum" Center for Recreation and Disability Studies 1991
26 Mahon, M. J., "The use of techniques to facilitate self-determination skills during leisur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mild and moderate developmental disability" 28 (28): 58-72, 1994
27 Rose, T., "Successful transition programs: Pathway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ge 217-240, 2012
28 Hoffman, A., "Self-determination assessment battery user's Guide"
29 Wehmeyer, M. L.,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uilford 2007
30 Badia, M.,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leisure participation of youth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57 (57): 319-332, 2013
31 Ragheb, M. G., "Measuring leisure attitude" 14 (14): 155-167, 1982
32 Driver, B. L., "Leisure studies: Prospect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Venture 349-369, 1999
33 Dattilo, J., "Leisure education program planning: A systematic approach" Venture 1999
34 Employment Opportunities, Inc., "Leisure education in supported employment" Center for Recreation and Disability Studies 1994
35 Bullock, C. C., "Introduction to recre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person-centered approach" Sagamore 2001
36 Williams, R.,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on choice making, social interaction, and positive affect of young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31 (31): 244-258, 1997
37 Dattilo, J., "Effects of computerized leisure education on self-determina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16 (16): 5-17, 2001
38 Cory, L.,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social knowledge and skills of youth with cognitive disabilities" 40 (40): 144-164, 2006
39 Baldwin, C. K., "Development of the free time motivation scale for adolescents" 35 (35): 129-151, 2003
40 Beart, S., "Barriers to accessing leisure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29 (29): 133-138, 2001
41 Heyne, L. A., "Adolescents with Down syndrome: Towards a more fulfilling life" Paul H. Brookes Publishing 317-340, 1997
42 Fox, R. A., "A long-term leisure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sidential care settings: Research to practice" 48 (48): 392-399, 2013
43 이미숙,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교육과정 여가활용 시안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5
자기점검법과 태블릿 PC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 중재가 초등학교 장애 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 기반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중도 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9 | 1.64 | 1.895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