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혁신학교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경향점수 매칭 활용 = Analysis on the Effect of Innovation School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71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편의를 제거하여 혁신학교 효과...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여 혁신학교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편의를 제거하여 혁신학교 효과를 보다 엄밀하게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집단과 일반학교 집단은 가정배경, 학생 그리고 학교 및 지역 특성 등의 배경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이러한 집단 간 차이를 동등화하기 위해 경향점수 매칭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혁신학교 여부는 고등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혁신학교 제도의 운영 방향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혁신학교가 학생들의 학력저하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학부모들에게 상세히 안내해야 한다. 둘째, 다각적인 학생 맞춤형 지원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셋째, 전통적인 학력관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창의지성교육을 보다 내실화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data from GEP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novation school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effects o...

      Using the data from GEP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novation school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 more strictly by eliminating the selection bia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novation school group and the general school group in the background of family background, students, and school and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in order to equal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an analysis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found that whether an innovation schoo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system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guide parents in detail the fact that innovative schools do not cause students to lower their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gap in students' education through various student-customized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reative intelligence education more in a way that overcomes a traditional view of academic 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2 안영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중학생의 전학년 학업성취도 변화 양상 비교 :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7 (57): 81-104, 2019

      3 김민규, "혁신학교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49-174, 2019

      4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5 정혜원, "혁신학교 진학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경향점수매칭과 잠재전이분석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95-220, 2019

      6 이찬희, "혁신학교 정책이 학생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위계선형모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5

      7 한국교육신문, "혁신학교 기초학력 미달자 전국 평균의 3배"

      8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9 박세준,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69-595, 2019

      10 유은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대한 혁신학교 성과 분석" 고려대학교 2016

      1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 경기도 중학교의 국어와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7 (37): 27-56, 2016

      2 안영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중학생의 전학년 학업성취도 변화 양상 비교 :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7 (57): 81-104, 2019

      3 김민규, "혁신학교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7 (37): 149-174, 2019

      4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5 (25): 105-128, 2015

      5 정혜원, "혁신학교 진학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경향점수매칭과 잠재전이분석 적용"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95-220, 2019

      6 이찬희, "혁신학교 정책이 학생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위계선형모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15

      7 한국교육신문, "혁신학교 기초학력 미달자 전국 평균의 3배"

      8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기본문서"

      9 박세준, "혁신학교 고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대한 종단적 비교 분석: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69-595, 2019

      10 유은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교만족도에 대한 혁신학교 성과 분석" 고려대학교 2016

      11 박춘성, "학교유형에 따른 학업성취와 교과흥미의 종단 변화" 영재교육연구소 7 (7): 23-41, 2017

      12 서민희, "초등단계 혁신학교 재학 경험이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39 (39): 1-21, 2018

      13 김기헌, "진로체험의 효과: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9-36, 2014

      14 정선영,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직종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2, 2014

      15 이윤미, "서울교육발전을 위한 학교혁신방안연구: 혁신학교 운영 성과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 정책연구위원회 2013

      16 양서영, "마할라노비스 거리 매칭을 활용한 서울형혁신학교 성과분석-교사-학생관계, 자기통제력, 창의성,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6

      17 정선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여부가 저소득 가구의 경제적 어려움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경향점수 가중치 방법을 통한 고찰"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165-190, 2011

      18 배종현, "경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운영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2017

      19 이정연, "경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기초분석 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20 동아일보, "“혁신학교 만족도 높아”vs “기초학력 떨어질 우려”"

      21 Rosenbaum, P.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 41-55, 1983

      22 Guo, S., "Propensity score analysis" Sage 2010

      23 Robins, J. M., "Marginal structural models and causal inference in epidemiology" 11 : 550-560, 2000

      24 Schafer, J. L., "Average causal effects from non-randomized studies : A practical guide and simulated example" 13 (13): 279-313, 2008

      25 경기도교육청, "2019 혁신학교 운영기본계획" 2019

      26 서울시교육청, "2019 서울형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2019

      27 조선일보, "1년만에 혁신학교 거부한 해누리・가락초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5 1.96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