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초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능력에 따른 음성적인 특징과 이와 대조적인 관점에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음성적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31058
2016
Korean
문말조사 ; 인토네이션 ; 화자의도 ; 음성적인 특성 ; 음성 ; sentence-final particles ; intonation ; speaker’s intention ; voice features ; speech
KCI등재
학술저널
91-11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초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능력에 따른 음성적인 특징과 이와 대조적인 관점에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음성적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초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능력에 따른 음성적인 특징과 이와 대조적인 관점에서 일본어 모어화자의 음성적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일본어 모어화자와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발화에 나타난 문말 조사 ‘ね’가 사용된 문장의 차이점을 객관적으로 밝힘으로써, 화자의 표현 의도에 따른 음성적인 특징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일본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부터 필요함을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인토네이션을 포함한 음성적인 특징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차이는 외국어 학습자와 모어화자와의 대화에서 오해를 불러일으킬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음 교육에 있어서 음성적인 특징에 대한 교육은 오랫동안 중요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 따라 문말 조사 ‘ね’와 그 음성적인 특징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문말 조사 ‘ね’의 발화에 대하여 피치패턴, 전체 및 문말 조사 ‘ね’의 발화 지속 시간, 피치의 폭, 강세의 폭, 모음의 F1, F2의 수치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ね’와 ‘ね’의 문장에서의 길이의 실현 비율 이외는 학습의 진행 정도와 상관없이 초급, 중급 학습자 모두 일본어 모어화자와 차이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일본어 음성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보다 효율적인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차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port is going to study phonetic features regarding with Japanese language ability targeting Korean beginner and middle-class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and with a contrast viewpoint to study phonetic features of Japanese native speaker. Throu...
The report is going to study phonetic features regarding with Japanese language ability targeting Korean beginner and middle-class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and with a contrast viewpoint to study phonetic features of Japanese native speaker. Through the report we are going to show difference of sentence used the sentence-final particles’s ‘NE’ expressed which is spoken Japanese native speaker and Korean Japanese learners, to suggest necessity of systematic teaching from beginner lever class of Japanese learning including phonetic features according to speaker’s intention of expression, to collect fundamental data supply the demand. The phonetic features involving intonation have several functions and the difference play an important role to bring misunderstanding between conversation of foreign leaner and native speaker. In spite of importance of phonetic features, we have not recognized importance of education on phonetic features about pronunciation education, but recently we realize the important. So we are going to study focusing the sentence-final particles’s ‘NE’ and phonetic features. The study continues pitch patterns, containment time whole and sentence-final particles’s ‘NE’, width of pitch, width of intensity, F2 and F2 rate for vowel regarding with speaking of Korean Japanese learners and sentence-final particles’s ‘NE’ of Japanese native speaker among Korean beginner and middle-class level learners regardless the process of learning level expect expression ration of ‘NE’ and sentence is uesd ‘NE’. We suggest a systematic teaching about phonetic features according to expression intention of speaker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report.
목차 (Table of Contents)
일제강점기의 조선 신여성 인식에 관한 일고찰 ‒ 여성잡지 『新女性』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