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말 전라도 강진 병영 박약국의 약재매입 실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2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박약국은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 · 평양 · 함흥 등지에서, 전주 · 공주 · 대구 등지의 약령시에서, 그리고 부산 · 목포 등지의 개항장에서 매입했다. 이중에서 전국 도처에 널리 산재해 있는 약재상으로부터 각종 약재를 매입했다. 그리고 박약국과 경제 공동체를 영위하고 있는 병영 출신 전문 납품업자를 통해 대구 약령시와 동래 약방에서 가장 많이 매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박약국은 신용화폐인 ‘환’을 사용했고 계산서인 ‘장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납품업자, 환, 장기 활용은 경영 극대화를 위한 시도였다. 하지만 박약국은 1895년 병영 혁파 이후 지역 상권의 쇠락과 함께 위축되었지만, 그때까지 박약국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대외 상품교류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았다.
      번역하기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박약국은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 ...

      약국을 경영하는 데에 필요한 약재를 박약국은 도처에서 매입했다. 박약국주변의 마을 사람들에게서, 강진 주변의 약국에서, 도내 여러 고을의 약재상에게서, 바다 건너 제주도에서, 서울 · 평양 · 함흥 등지에서, 전주 · 공주 · 대구 등지의 약령시에서, 그리고 부산 · 목포 등지의 개항장에서 매입했다. 이중에서 전국 도처에 널리 산재해 있는 약재상으로부터 각종 약재를 매입했다. 그리고 박약국과 경제 공동체를 영위하고 있는 병영 출신 전문 납품업자를 통해 대구 약령시와 동래 약방에서 가장 많이 매입했는데, 이 과정에서 박약국은 신용화폐인 ‘환’을 사용했고 계산서인 ‘장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납품업자, 환, 장기 활용은 경영 극대화를 위한 시도였다. 하지만 박약국은 1895년 병영 혁파 이후 지역 상권의 쇠락과 함께 위축되었지만, 그때까지 박약국은 지역 일자리 창출과 대외 상품교류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s Pharmacy purchased medicinal ingredients needed to run a pharmacy from every place including the villagers living near the Pharmacy, the pharmacies around Gangjin, herbal shops in many different towns within the province, Jeju Island over the sea, Seoul · Pyeongyang · Hamheung, drug markets of Jeonju, Gongju, and Daegu, and the open ports of Busan and Mokpo. Park’s Pharmacy purchased all kinds of medicinal ingredients from herbal shop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It formed an economic community with soldier-turned professional suppliers and made the biggest purchase from the drug market of Daegu and the drugstore of Dongrae through the suppliers. In the purchase process, Park’s Pharmacy used “Hwan,” a type of credit money, and used “Janggi,” a type of bill. The utilization of suppliers, Hwan and Janggi was an attempt for Park’s Pharmacy to maximize its management. After the barracks were closed in 1895, however, it withered along with the fall of local business districts. Until its end, Park’s Pharmacy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creation of local jobs and the exchange of goods with the outside world.
      번역하기

      Park’s Pharmacy purchased medicinal ingredients needed to run a pharmacy from every place including the villagers living near the Pharmacy, the pharmacies around Gangjin, herbal shops in many different towns within the province, Jeju Island over the...

      Park’s Pharmacy purchased medicinal ingredients needed to run a pharmacy from every place including the villagers living near the Pharmacy, the pharmacies around Gangjin, herbal shops in many different towns within the province, Jeju Island over the sea, Seoul · Pyeongyang · Hamheung, drug markets of Jeonju, Gongju, and Daegu, and the open ports of Busan and Mokpo. Park’s Pharmacy purchased all kinds of medicinal ingredients from herbal shops scattered around the nation. It formed an economic community with soldier-turned professional suppliers and made the biggest purchase from the drug market of Daegu and the drugstore of Dongrae through the suppliers. In the purchase process, Park’s Pharmacy used “Hwan,” a type of credit money, and used “Janggi,” a type of bill. The utilization of suppliers, Hwan and Janggi was an attempt for Park’s Pharmacy to maximize its management. After the barracks were closed in 1895, however, it withered along with the fall of local business districts. Until its end, Park’s Pharmacy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creation of local jobs and the exchange of goods with the outside wor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자료 소개
      • Ⅲ. 약재 수요
      • Ⅳ. 매입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자료 소개
      • Ⅲ. 약재 수요
      • Ⅳ. 매입처
      • Ⅴ. 매입 방법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흥보가"

      2 "황성신문"

      3 국사편찬위원회, "화폐와 경제 활동의 이중주" 두산동아 2006

      4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아카넷 2008

      5 양정필, "한말-일제하 錦山 人蔘 연구" 고려사학회 (51) : 199-226, 2013

      6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

      7 오두환, "한국근대화폐사" 한국연구원 1991

      8 박윤재, "한국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9 여인석, "학질에서 말라리아로: 한국 근대 말라리아의 역사(1876-1945)" 대한의사학회 20 (20): 53-82, 2011

      10 "탁지준절"

      1 "흥보가"

      2 "황성신문"

      3 국사편찬위원회, "화폐와 경제 활동의 이중주" 두산동아 2006

      4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아카넷 2008

      5 양정필, "한말-일제하 錦山 人蔘 연구" 고려사학회 (51) : 199-226, 2013

      6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

      7 오두환, "한국근대화폐사" 한국연구원 1991

      8 박윤재, "한국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9 여인석, "학질에서 말라리아로: 한국 근대 말라리아의 역사(1876-1945)" 대한의사학회 20 (20): 53-82, 2011

      10 "탁지준절"

      11 고동환, "조선후기~한말 신용거래의 발달-於音과 換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3 (13): 271-300, 2010

      12 신동원, "조선의약 생활사" 들녘 2014

      13 김덕진, "조선의 상업과 강진" 8 : 2015

      14 주희춘, "제주 고대항로를 추적한다" 주류성 2008

      15 "제약책"

      16 "전라병영영지"

      17 "임원경제지"

      18 "을미사월공주령무약기"

      19 "약방문"

      20 김대길,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가람기획 2007

      21 김덕진, "손에 잡히는 강진역사" 남양 미디어 2015

      22 주희춘, "병영상인, 경영을 말하다" 남양미디어 2017

      23 "민장치부책 (강진, 순창, 영광, 영암, 장성, 전라감영, 전주)"

      24 "무약록"

      25 박경용, "대구약령시 업권(業權)과 전통의약의 생활문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7) : 311-346, 2006

      26 권병탁, "대구약령시"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6

      27 김혜정, "구한말 일제의 엽전정리와 한국민의 균세운동" 17 : 1989

      28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29 "고종실록"

      30 박원선, "거간" 10 : 1973

      31 "강진군지"

      32 "강진군 마을사 (병영면편)"

      33 "강재일사"

      34 "간찰"

      35 "각처소지등록"

      36 "각처각국거래책"

      37 "각인처전곡거래일기"

      38 "朴潤侃日記"

      39 "下古里大同契案"

      40 김덕진, "19세기말 康津 朴氏家의 兵營 진출과 藥局 경영" 호남사학회 (52) : 1-3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