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시장의 거래량 변동이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Trading Volume on Prices &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in Seoul and the Whole Cou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rading volume on prices &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in Seoul and the whole country.
      Some empirical proof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upling effect(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ices and trading volume was generally found in housing market by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 GARCH models. Secondly, a meaningful evidence of ARCH & GARCH effect was detected in Seoul, however, GARCH effect was not found in the whole country. Thirdly, in view of information efficiency, contrary to Seoul case, the asymmetry effect of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was found in the whole country. Fourthly, in terms of transaction cooling, the loss aversion effect & volatility spillover effect was detected in housing market of the whole country.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transaction cooling of housing market leads to future prices adjustment mechanism.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rading volume on prices &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in Seoul and the whole country. Some empirical proof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upling effect(positive r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trading volume on prices &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in Seoul and the whole country.
      Some empirical proof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upling effect(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ices and trading volume was generally found in housing market by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 GARCH models. Secondly, a meaningful evidence of ARCH & GARCH effect was detected in Seoul, however, GARCH effect was not found in the whole country. Thirdly, in view of information efficiency, contrary to Seoul case, the asymmetry effect of prices volatility of housing market was found in the whole country. Fourthly, in terms of transaction cooling, the loss aversion effect & volatility spillover effect was detected in housing market of the whole country.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transaction cooling of housing market leads to future prices adjustment mech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택시장의 거래량 변동이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과 전국의 아파트 월별 실거래자료(2006.1.~2018.12)를 대상으로 GARCH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주택시장의 이례현상(anomaly)이라고 할 수 있는 주택가격과 거래량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서울과 전국의 주택시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ARCH효과를 확인하였으나, GARCH효과는 서울의 경우만 유의하였는데, 이는 서울의 주택시장이 더 불안정했음을 시사한다. 셋째로 정보의 효율성 측면에서, 서울과 달리 전국은 가격변동성의 비대칭성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전국 주택시장의 정보전달체계의 비효율성을 시사한다. 넷째로 전국의 경우에는 전기의 거래량 변동이 현재의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양(+)의 방향의 동조화 현상(coupling effect) 및 변동성의 전이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시장에서 가격급등 후 ‘거래절벽’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거래량 조정이 먼저 이루어진 후 시차를 두고 가격조정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주택시장의 거래량 변동이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과 전국의 아파트 월별 실거래자료(2006.1.~2018.12)를 대상으로 GARCH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

      주택시장의 거래량 변동이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과 전국의 아파트 월별 실거래자료(2006.1.~2018.12)를 대상으로 GARCH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주택시장의 이례현상(anomaly)이라고 할 수 있는 주택가격과 거래량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로 서울과 전국의 주택시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ARCH효과를 확인하였으나, GARCH효과는 서울의 경우만 유의하였는데, 이는 서울의 주택시장이 더 불안정했음을 시사한다. 셋째로 정보의 효율성 측면에서, 서울과 달리 전국은 가격변동성의 비대칭성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전국 주택시장의 정보전달체계의 비효율성을 시사한다. 넷째로 전국의 경우에는 전기의 거래량 변동이 현재의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양(+)의 방향의 동조화 현상(coupling effect) 및 변동성의 전이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시장에서 가격급등 후 ‘거래절벽’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거래량 조정이 먼저 이루어진 후 시차를 두고 가격조정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상섭, "주택매매시장의 상호연관성 및 안정성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9 (29): 1007-1021, 2016

      2 임재만,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토연구원 69 : 3-18, 2011

      3 임대봉, "주택거래량과 주택가격에 관한 연구 - 지방세(취득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58) : 195-208, 2014

      4 정주희, "주택가격과 거래량의 지역 간 인과관계 및 시・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9 (19): 177-203, 2011

      5 김대원, "주택가격과 거래량 간 관계 형성에 매도-매수 선호시점이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54) : 229-243, 2013

      6 정홍일, "주택 거래량과 가격의 동조화 및 손실회피현상" 한국주택학회 20 (20): 77-101, 2012

      7 허윤경, "주택 거래량과 가격 간의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6 (16): 49-70, 2008

      8 박선희,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주택가격과 주택담보대출 간의 연계성" 한국재정정책학회 19 (19): 41-68, 2017

      9 유한수,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가격지수 변동성의 관계" 글로벌경영학회 10 (10): 159-177, 2013

      10 김종선,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서울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20 (20): 3-30, 2018

      1 조상섭, "주택매매시장의 상호연관성 및 안정성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9 (29): 1007-1021, 2016

      2 임재만, "주택거래량은 주택가격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국토연구원 69 : 3-18, 2011

      3 임대봉, "주택거래량과 주택가격에 관한 연구 - 지방세(취득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58) : 195-208, 2014

      4 정주희, "주택가격과 거래량의 지역 간 인과관계 및 시・공간적 파급효과 분석: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9 (19): 177-203, 2011

      5 김대원, "주택가격과 거래량 간 관계 형성에 매도-매수 선호시점이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54) : 229-243, 2013

      6 정홍일, "주택 거래량과 가격의 동조화 및 손실회피현상" 한국주택학회 20 (20): 77-101, 2012

      7 허윤경, "주택 거래량과 가격 간의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서울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16 (16): 49-70, 2008

      8 박선희,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주택가격과 주택담보대출 간의 연계성" 한국재정정책학회 19 (19): 41-68, 2017

      9 유한수,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가격지수 변동성의 관계" 글로벌경영학회 10 (10): 159-177, 2013

      10 김종선,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한 서울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20 (20): 3-30, 2018

      11 김종선,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주요 자산수익률의 변동성과 상관관계의 정책적 시사점" 한국재정정책학회 12 (12): 99-135, 2010

      12 류현욱, "가격과 거래량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서울시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23-36, 2012

      13 박헌수, "VAR 모형을 이용한 부동산가격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19 (19): 27-49, 2009

      14 Berkovec, J. A., "Turnover as a Measure of Demand for Existing Homes" 24 (24): 421-440, 1996

      15 Lundblad, C., "The Risk Return Tradeoff in the Long Run" 85 (85): 347-370, 2007

      16 Highfill, J., "The Economic Crisis as of December 2008" 8 : 1-5, 2009

      17 Clayton, J., "Price–Volume Correlation in the Housing Market : Causality and Co-movement" 40 : 14-40, 2010

      18 Stein, J. C.,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the Hosing Market : A Model with Down-Payment Effects" 110 (110): 379-406, 1995

      19 Englehardt, G. V., "Nominal Loss Aversion, Housing Equity Constraints and Household Mobility :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116 : 171-195, 2003

      20 Genesove, D., "Loss Aversion and seller Bebavior : Evidence from the Housing Market" 116 (116): 1233-1260, 2001

      21 Granger, C. W. J.,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s by Econometric Model and Cross Spectral Method" 37 (37): 424-438, 1969

      22 Bollerslev, T., "Handbook of Econometrics, Vol. IV" North-Holland 2959-3038, 1994

      23 Engel, C., "Exchange Rate Models Are Not as Bad as You Think" 2007

      24 Nelson, D. B.,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in Asset Returns : A New Approach" 59 : 347-370, 1991

      25 Engle, R. F.,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with Estimates of the Variance of United Kingdom Inflation" 50 (50): 987-1008,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3 1.01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