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재정제도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며, 지역별 재정지출과 경제성장간의 균형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중국경제의 구조적인 전환을 고려하여 지역별 재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70866
이종찬 (순천향대학교)
2019
Korean
중국경제 ; 재정지출 ; 경제성장 ; 4대 권역 ; China economy ; economic spending ; economic growth
KCI등재
학술저널
137-155(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재정제도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며, 지역별 재정지출과 경제성장간의 균형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중국경제의 구조적인 전환을 고려하여 지역별 재정...
본 연구는 중국 재정제도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며, 지역별 재정지출과 경제성장간의 균형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중국경제의 구조적인 전환을 고려하여 지역별 재정지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출과 경제적 지출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동부연안은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복지지출인 사회보장지출이 유의하며, 동북부는 환경보존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지출이 부각된다. 중부지역은 교육지출이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부지역의 경우 아직 선택과 집중에 따른 파급효과가 미비하여, 경제적 지출이 사회적 지출보다 계수 값도 크고 유의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hinese fiscal system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balance between regional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This will allow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overnment exp...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hinese fiscal system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balance between regional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This will allow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overnment expendi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economy. When analyzed into social spending and economic expenditure, the eastern coast is marked by social security expenditure, which is welfare expenditure, with rapid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expenditure is highlighted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entral region is the most educationally influential region, and education spend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growth. The western region is an underdeveloped area and requires active investment. As such, the impact of economic spending on economic growth is significant.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화, "지역성장과 지방재정 간 인과관계: 대구⋅경북의 사례" 한국경제통상학회 28 (28): 97-119, 2010
2 오병기, "지역경제 성장과 지방재정의 인과관계 분석: 투자적지출의 경제적 기능 분류에 따른 동태적 패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143-164, 2014
3 임응순, "지방정부의 재정지출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17 (17): 155-170, 2015
4 문시진, "지방재정지출이 지역의 경제성장, 고용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4 (34): 33-59, 2016
5 문병근,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동태적 관계분석 - 6대 특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재정정책학회 13 (13): 87-118, 2011
6 조동근,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7 (7): 147-172, 2005
7 김성순,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한국재정학회 6 (6): 27-56, 2013
8 이준호, "중국의 재정제도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2 (22): 1133-1163, 2010
9 정진현, "중국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비선형 장기균형관계" 한국지방재정학회 18 (18): 51-68, 2013
10 오대원, "중국 지방 재정 규모 및 변동성과 성장" 한국재정정책학회 16 (16): 73-92, 2014
1 송명화, "지역성장과 지방재정 간 인과관계: 대구⋅경북의 사례" 한국경제통상학회 28 (28): 97-119, 2010
2 오병기, "지역경제 성장과 지방재정의 인과관계 분석: 투자적지출의 경제적 기능 분류에 따른 동태적 패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143-164, 2014
3 임응순, "지방정부의 재정지출과 경제성장 간의 관계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17 (17): 155-170, 2015
4 문시진, "지방재정지출이 지역의 경제성장, 고용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34 (34): 33-59, 2016
5 문병근,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동태적 관계분석 - 6대 특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재정정책학회 13 (13): 87-118, 2011
6 조동근,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7 (7): 147-172, 2005
7 김성순,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한국재정학회 6 (6): 27-56, 2013
8 이준호, "중국의 재정제도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2 (22): 1133-1163, 2010
9 정진현, "중국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성장간의 비선형 장기균형관계" 한국지방재정학회 18 (18): 51-68, 2013
10 오대원, "중국 지방 재정 규모 및 변동성과 성장" 한국재정정책학회 16 (16): 73-92, 2014
11 오병기, "전남과 전북의 지역경제 성장과 지방재정 인과관계 분석" 전남대학교 42 (42): 23-49, 2014
12 김성태, "우리나라 지역경제성장과 지방재정" 한국지방세연구원 1-129, 2012
13 김종구, "우리나라 지방자치제하 지방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국제지역학회 12 (12): 143-164, 2008
14 沈立人, "地方政府的经济职能和经济行为" 上海远东出版社 1990
15 罗国亮, "中央地方关系. 改革开放30年来嬗变的实证研究" (6) : 21-30, 2008
16 谷成, "中国财政分权的轨迹变迁及其演进特征" (2) : 43-51, 2009
17 Bose, N., "Public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 A Disaggregated Analysis for Developing Countries" 75 (75): 533-556, 2007
18 Gupta, S. P., "Public Expendi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 A Cross-Section Analysis" 28 : 423-461, 1969
19 Narayan, P. K., "Panel Data, Co-integration Causality and Wagner’s Law: Empirical Evidence from Chinese Provinces" 19 : 297-307, 2008
20 Lamartina. S., "Increasing Public Expenditure : Wagner’s Law in OECD Countries" 2008
21 Barro, R., "Government Spending in a Sample Model of Endogenous Growth" 98 : 103-125, 1990
22 Barro, R., "Economic Growth in a Cross Section of Countries" 106 : 407-443, 1991
23 Ram, R., "Causality between Income and Government Expenditure: A Broad International Perspective" 41 (41): 393-413,
24 Chang, T., "A Re-examination of Wagner’s Law for Ten Countries Based on Co-integration Modelling Techniques" 14 : 577-589, 2004
성공적인 「고향사랑 기부제」 도입을 위한 정책대안 시나리오 및 정책제언
2019년 근로장려세제 확대 개편의 세수귀착효과 및 소득재분배효과 분석
주택시장의 거래량 변동이 가격 및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산업 중 지방 재정 투입 업종 선정에 관한 연구 : 광주와 전남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5 | 0.73 | 1.018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