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공적인 「고향사랑 기부제」 도입을 위한 정책대안 시나리오 및 정책제언 = A Study of Policy Alternatives and Proposals for Introducing Successful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oon Jae-in Government has selected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s one of the '100 Major National Policy Project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about to legalize that system soon or later. But this system has negative aspects (demerits) as well as positive aspects (merits) at the same time, so we have to be careful to introduce that system in a successful way by comparing strong points with weak point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nd raises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that may arise with respect to introducing that system in Korea. And then it will suggest desirable policy alternatives to find the best direction thereafter. Finally this paper suggests a long-term step-by-step approach by tâtonnement process from minimal starting point and with pilot-test method.
      번역하기

      As Moon Jae-in Government has selected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s one of the '100 Major National Policy Project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about to legalize that system soon or later. But this system has n...

      As Moon Jae-in Government has selected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s one of the '100 Major National Policy Project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about to legalize that system soon or later. But this system has negative aspects (demerits) as well as positive aspects (merits) at the same time, so we have to be careful to introduce that system in a successful way by comparing strong points with weak point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town-Loving Donation System’, and raises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that may arise with respect to introducing that system in Korea. And then it will suggest desirable policy alternatives to find the best direction thereafter. Finally this paper suggests a long-term step-by-step approach by tâtonnement process from minimal starting point and with pilot-test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되어 조만간 법제화를 앞두고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고향세 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 제도」를 정책모델로 삼고 있다. 그런데 「고향납세 제도」는 장단점이 심각하게 대립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특수여건 때문에 「고향사랑 기부제」 도입에 적지 않은 쟁점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염명배(2017)의 후속․심화연구로서 「고향사랑 기부제」 정부(안)을 대상으로 다양한 쟁점사안을 분석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고향세 제도를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정책목적의 구체화’, ‘세액공제율 조정’, ‘답례품 제도 도입’ 여부 등 세 가지 쟁점사안을 중심으로 각 쟁점사안에 대응하는 정책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중에서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평가할 예정이다. 이어서 정책 시나리오를 채택하는 과정에 있어 쟁점이 교차하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전국적으로 일괄시행하기보다는 작은(minimal) 데서 출발해서 파일럿테스트(pilot test)를 통해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면서 정책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동태적(dynamic) 접근방식을 권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책의 최소 출발점을 우선 ‘농어촌 대상 기부문화’ 확산 차원에 두고, 기부조건, 세액공제율 및 답례품 제도 문제 등은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한 정책효과 분석을 통해 쟁점을 조정․해결하면서 궁극적으로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단계별 문제해결 방식을 제언한다.
      번역하기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되어 조만간 법제화를 앞두고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고향세 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 제도」를 정책모델로 삼고 있다. 그런데 「고향납세 제...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되어 조만간 법제화를 앞두고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고향세 제도)는 일본의 「고향납세 제도」를 정책모델로 삼고 있다. 그런데 「고향납세 제도」는 장단점이 심각하게 대립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특수여건 때문에 「고향사랑 기부제」 도입에 적지 않은 쟁점사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염명배(2017)의 후속․심화연구로서 「고향사랑 기부제」 정부(안)을 대상으로 다양한 쟁점사안을 분석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형’ 고향세 제도를 모색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 ‘정책목적의 구체화’, ‘세액공제율 조정’, ‘답례품 제도 도입’ 여부 등 세 가지 쟁점사안을 중심으로 각 쟁점사안에 대응하는 정책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이중에서 바람직한 정책대안을 평가할 예정이다. 이어서 정책 시나리오를 채택하는 과정에 있어 쟁점이 교차하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전국적으로 일괄시행하기보다는 작은(minimal) 데서 출발해서 파일럿테스트(pilot test)를 통해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면서 정책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동태적(dynamic) 접근방식을 권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책의 최소 출발점을 우선 ‘농어촌 대상 기부문화’ 확산 차원에 두고, 기부조건, 세액공제율 및 답례품 제도 문제 등은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한 정책효과 분석을 통해 쟁점을 조정․해결하면서 궁극적으로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단계별 문제해결 방식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염명배, "「고향사랑 기부제」(고향세)의 성공적 도입방안에 관한 소고(小考)" (6) : 30-51, 2018

      2 남황우, "후루사토납세제도에 있어 기부의 기점과 종점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191-225, 2017

      3 김철, "일본의 미야코노조시 사례를 통해 살펴본 고향세 도입의 성과와 과제" 한국은행 86-89, 2017

      4 원종학,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시사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6-23, 2017

      5 원종학,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시사점" 한국조세연구원 1-12, 2010

      6 신두섭, "일본의 고향납세제도 도입 성과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재정정책학회 18 (18): 145-194, 2016

      7 유선종, "일본 고향세의 현황과 시사점" 1-18, 2017

      8 국중호, "일본 고향납세의 기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23 (23): 73-109, 2018

      9 염명배, "일본 ‘후루사토(故鄕)납세’ 제도에 대한 논의와 ‘한국형’ 고향세(향토발전세) 도입 가능성 검토" 한국지방재정학회 15 (15): 71-111, 2010

      10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1 염명배, "「고향사랑 기부제」(고향세)의 성공적 도입방안에 관한 소고(小考)" (6) : 30-51, 2018

      2 남황우, "후루사토납세제도에 있어 기부의 기점과 종점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191-225, 2017

      3 김철, "일본의 미야코노조시 사례를 통해 살펴본 고향세 도입의 성과와 과제" 한국은행 86-89, 2017

      4 원종학,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시사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6-23, 2017

      5 원종학, "일본의 고향납세제도와 시사점" 한국조세연구원 1-12, 2010

      6 신두섭, "일본의 고향납세제도 도입 성과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재정정책학회 18 (18): 145-194, 2016

      7 유선종, "일본 고향세의 현황과 시사점" 1-18, 2017

      8 국중호, "일본 고향납세의 기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23 (23): 73-109, 2018

      9 염명배, "일본 ‘후루사토(故鄕)납세’ 제도에 대한 논의와 ‘한국형’ 고향세(향토발전세) 도입 가능성 검토" 한국지방재정학회 15 (15): 71-111, 2010

      10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11 염명배, "우리나라의 고향세제도 법제화 논의와 쟁점사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22-77, 2017

      12 이희석, "북해도 유바리시의 재생전략과 고향납세 제도" 69-83, 2017

      13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14 류영아, "고향사랑기부제도 도입의 쟁점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4, 2017

      15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 "고향사랑기부제 도입 계획(안)"

      16 신두섭, "고향발전기부금 제도의 도입 가능성 연구: 기부동기 및 지불의사액 추정"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437-469, 2017

      17 주만수, "고향기부제도에 대한 비판적 평가: 일본 고향납세제도의 경험과 지방분권 원리에 기초하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1 (31): 245-272, 2017

      18 総務省 ふるさと納税研究会, "ふるさと納税研究会報告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Public Polic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3 1.01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