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Single Household : in Comparison to the Multiple Househ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57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focusing on the recent phenomena of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at discern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among other leisure activities. For this, the study referred to the 'Survey on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Social Relations' conducted by The Isolation and Loneliness in Society: its Social Cause and Solution Research Team in 2013. Based on its questions about the cultural participation, scores were calculated on the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is scores.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overall scores of single household cultural participation are lower than that of multiple household cultur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of the average degree of cultural participation in terms of gender, age, size of region, educational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level showed there was a bigger deviation in the case of single household. Als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s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age, size of region,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level exert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cultural particip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household. The gender variable, residential area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are seen as to only influence the cultural participation degree of single household, while whether one has a religion or no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only influence that of multiple household.
      번역하기

      By focusing on the recent phenomena of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at discern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among other leisure activities. For this, the study refer...

      By focusing on the recent phenomena of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at discern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the single household, among other leisure activities. For this, the study referred to the 'Survey on the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s of Social Relations' conducted by The Isolation and Loneliness in Society: its Social Cause and Solution Research Team in 2013. Based on its questions about the cultural participation, scores were calculated on the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e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is scores.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overall scores of single household cultural participation are lower than that of multiple household cultur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of the average degree of cultural participation in terms of gender, age, size of region, educational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level showed there was a bigger deviation in the case of single household. Als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s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age, size of region, educational level and household level exert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cultural particip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household. The gender variable, residential area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are seen as to only influence the cultural participation degree of single household, while whether one has a religion or not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only influence that of multiple househo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증가라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의 여가활동 중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고립과 단절의 사회, 그 사회적 원인과 대응> 연구단이 실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 중 문화활동에 대한 참여를 묻는 문항들을 토대로 문화활동 참여 점수를 산출하고, 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반적으로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점수는 다인 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 대한 성별, 연령, 지역규모, 교육수준, 월가구소득, 가구계층별 평균 분석 결과, 각 집단별 평균점수의 편차는 1인 가구 내에서 더욱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활동 참여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과 지역규모, 본인의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계층은 가구형태에 상관없이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변수와 거주지역,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만, 그리고 종교의 유무와 월가구소득은 다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증가라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의 여가활동 중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1인 가구의 증가라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의 여가활동 중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고립과 단절의 사회, 그 사회적 원인과 대응> 연구단이 실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 중 문화활동에 대한 참여를 묻는 문항들을 토대로 문화활동 참여 점수를 산출하고, 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반적으로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점수는 다인 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 대한 성별, 연령, 지역규모, 교육수준, 월가구소득, 가구계층별 평균 분석 결과, 각 집단별 평균점수의 편차는 1인 가구 내에서 더욱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활동 참여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과 지역규모, 본인의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계층은 가구형태에 상관없이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변수와 거주지역,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1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만, 그리고 종교의 유무와 월가구소득은 다인 가구의 문화활동 참여 정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택,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1995

      2 최샛별, "한국적 문화자본의 지형으로서의 청소년 여가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4 (4): 61-80, 2006

      3 김복수,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 2004년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85-218, 2011

      4 김은미,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05-233, 2011

      5 김광득, "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집문당 1997

      6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7 이동연, "한국의 문화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59 : 4-392, 2009

      8 한국관광공사, "한국여가생활의 실태분석과 대책" 한국관광공사 1985

      9 최샛별, "초등학생 여가에 대한 문화자본론적 고찰" 1 (1): 83-104, 2003

      10 이철원,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 분석" 21 : 179-194, 2001

      1 이연택,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1995

      2 최샛별, "한국적 문화자본의 지형으로서의 청소년 여가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4 (4): 61-80, 2006

      3 김복수,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 2004년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85-218, 2011

      4 김은미, "한국인의 문화 소비의 양과 폭: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205-233, 2011

      5 김광득, "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집문당 1997

      6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7 이동연, "한국의 문화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59 : 4-392, 2009

      8 한국관광공사, "한국여가생활의 실태분석과 대책" 한국관광공사 1985

      9 최샛별, "초등학생 여가에 대한 문화자본론적 고찰" 1 (1): 83-104, 2003

      10 이철원,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 분석" 21 : 179-194, 2001

      11 박소정, "청소년기 여가활동이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2 (12): 231-248, 2003

      12 김도희, "청년 1인가구 증가 요인에 따른 생활실태분석과 정부의 정책과제" 2012 (2012): 1-27, 2012

      13 김경원, "질적 연구를 통한 독신동기요인과 실태 조사" 6 (6): 121-157, 2005

      14 최미숙, "중학생의 여가활동유형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5 (15): 1-13, 2003

      15 구민혜, "주부의 여가활동 유형화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12 : 27-50, 1993

      16 김맹선, "전업주부의 여가 형태에 따른 만족도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63-76, 2005

      17 김성숙, "저소득층 일인가구 및 非일인가구의 가계재무상태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25-145, 2011

      18 강미경,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137-155, 2010

      19 전영록, "장애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연구" 동북아관광학회 9 (9): 91-112, 2013

      20 전리상, "장애인 여가문화의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6 (6): 127-148, 2009

      21 조형숙, "유아-아동의 여가활용 실태 및 요구 조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85-510, 2011

      22 이성림,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2 (12): 105-123, 2009

      23 조경욱, "여성 노인의 건강 지위, 사회적 지위와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8 (8): 203-229, 2005

      24 정연홍, "여가활동 참여 장애인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 동북아관광학회 9 (9): 215-233, 2013

      25 배영,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4 (14): 73-100, 2013

      26 권상희, "세대별 여가문화소비유형과 삶의 만족도 연구 : 여가소비경향, 자기정체성, 대인관계, 여가소비만족도, 삶의 만족도간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6 (46): 63-97, 2009

      27 이재수, "서울의 1인 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181-193, 2013

      28 이경애, "서울시 1인가구의 거주지 분포변화에 관한 연구 : 연령별 성별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6 (6): 23-50, 2013

      29 남은영,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1 (31): 57-84, 2008

      30 장미혜,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35 (35): 51-81, 2001

      31 우석진, "문화바우처가 저소득층 문화소비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 한국재정학회 7 (7): 29-51, 2014

      32 최항섭, "명품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 25 (25): 225-261, 2003

      33 윤소영,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09-217, 2002

      34 양정선, "독신의 선택과 노후준비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23-148, 2012

      35 김년희, "독신가구의 재정상태 분석" 대한가정학회 43 (43): 85-104, 2005

      36 심영, "독신가구의 경제생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97-208, 2002

      37 조명은, "독신 가구의 주거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19-227, 2002

      38 권중돈,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 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89-114, 2012

      39 임춘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22 : 192-223, 2013

      40 주소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2 (22): 31-53, 2010

      41 김기태,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 : 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노인을 중심으로" 20 (20): 153-168, 2000

      42 박봉길, "독거노인의 경제적 상실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독감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175-201, 2014

      43 서경현,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21 : 7-26, 2003

      44 박주영, "독거가구 고령여성장애인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3 (2013): 109-128, 2013

      45 김태현,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20 (20): 49-70, 2000

      46 이명숙, "독거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성인간호학회 16 (16): 17-26, 2004

      47 김성희, "도시거주 가정주부의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가족적응, 가족응집, 생활만족의 관계" 8 (8): 61-81, 2000

      48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98-310, 2014

      49 박상훈,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고독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373-389, 2014

      50 김종범, "노인의 여가활동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만족변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4 (4): 71-99, 2007

      51 김영길,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14 (14): 44-55, 2008

      52 윤인애, "노인의 여가 생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탐구" 1 (1): 11-17, 2010

      53 이민홍, "노인 여가성향 진단 도구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5) : 159-184, 2014

      54 차경욱,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53-269, 2006

      55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 16 (16): 333-344, 2009

      56 부르디, "구별짓기 :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2005

      57 이현아, "고령화시대 노인의 여가생활향상을 위한 여가정책의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7 (7): 99-115, 2003

      58 김성희, "가정주부의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가족기능, 생활만족의 관계" 36 (36): 461-473, 1997

      59 한신갑,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여가활동을 통해 본 2005년 한국사회의 문화지형" 한국사회학회 41 (41): 211-239, 2007

      60 Collins, R., "Women and Men in the Class Structure" 9 (9): 27-50, 1988

      61 Katz-Gerro, T., "Voracious Cultural Consumption : The intertwining of gender and social status" 19 (19): 193-219, 2010

      62 Sullivan, O., "Time Waits for No(Wo)man : An Investigation of the Gendered Experience of Domestic Time" 31 (31): 221-239, 1997

      63 Parker, S., "The Sociology of Leisure" Georuge Allen and Unwin Ltd 1976

      64 McKehnie, G. 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Leisure : Past Behavior" 6 : 17-45, 1974

      65 Sullivan, O., "The Omnivore Thesis Revisited : Voracious Cultural Consumers" 23 (23): 123-137, 2007

      66 Van Eijck, K., "The Changing Impact of Social Background on Lifestyle : Culturalization Instead of Individualization?" 32 (32): 319-341, 2004

      67 Peterson, R., "Problems in comparative research : The example of omnivorousness" 33 (33): 257-282, 2005

      68 Fairchild, H. P., "Philosophical Library" McGraw Hill 1944

      69 DiMaggio, P., "Participation in the Arts by Black and White Americans" 68 (68): 753-778, 1990

      70 Stockdale, J. E., "Participation in Free-time Activities : A Comparison of London and New York" 15 (15): 1-16, 1996

      71 Kaplan, M., "Leisure in America: A Social Inequity" John Wiley and Sons Inc 1960

      72 Katz-Gerro, T., "Gendered leisure : cross-national chang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36 (36): 165-186, 2004

      73 Tepper, S., "Fiction Reading in America : Explaining the Gender Gap" 27 (27): 255-275, 2000

      74 Bourdieu, P., "Distinction :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75 Bihagen, E., "Culture Consumption in Sweden : The Stability of Gender Differences" 27 (27): 327-349, 2000

      76 Stichele, A. V., "Cultural participation in Flanders : Testing the cultural omnivore thesis with population data" 34 (34): 45-63, 2006

      77 Ollivier, M., "Cultural classifications and social divisions : A symmetrical approach" 37 (37): 456-473, 2009

      78 DiMaggio P.,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90 (90): 1231-1261, 1985

      79 DiMaggio, P.,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f the Grades of U. S. High school Students" 47 (47): 189-201, 1982

      80 Collins, R., "Cultivating Differ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81 Peterson, R., "Cultivating Differ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82 최샛별, "Class and Cultural Hierarchy of South Korean Society: Focusing on Tastes in Cultural Activities" 한국사회학회 47 (47): 1-24, 2013

      83 Peterson, R., "Changing Highbrow Taste : From Snob to Omnivore" 61 (61): 900-907, 1996

      84 Gayo-Cal, M., "A cultural map of the United Kingdom, 2003" 15 (15): 3-237, 2006

      85 한국문화정책연구원, "2006 여가백서" 2006

      86 이동훈, "1인가구를 위한 소형임대주택 공급확대 방안" 109 : 1-24, 2012

      87 권주안,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 및 공급 활성화 방안" 주택산업연구원 1-91, 2007

      88 이희연, "1인 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 46 (46): 480-500, 2011

      89 한혜진,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 준비에 대한 연구" 한국FP학회 6 (6): 35-62, 2013

      90 진해석, "1인 가구 요구 분석에 따른 집합주택단지 계획" 29 (29): 181-184, 2009

      91 설동필,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의 효율성 연구" 경인행정학회 12 (12): 197-22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5 1.3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