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날씨 어플리케이션 연구 = A Study of Weather App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8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problem of weather anomalies, users are using mobile weather apps to predict the weather. Even though it provides clear information, the user makes mistakes in forecasting the weather.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lements that can be prepared for the volatile weather through mobile application. Jakob Nielsen's "heuristic" evaluation found weaknesses in the application. Then I proceeded to analyze it from a behavioral economics standpoint. As a result, the two applications had various functions and accurate information. However, user accessibility was low and focused on 'information delivery'.
      번역하기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problem of weather anomalies, users are using mobile weather apps to predict the weather. Even though it provides clear information, the user makes mistakes in forecasting the weather.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problem of weather anomalies, users are using mobile weather apps to predict the weather. Even though it provides clear information, the user makes mistakes in forecasting the weather.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lements that can be prepared for the volatile weather through mobile application. Jakob Nielsen's "heuristic" evaluation found weaknesses in the application. Then I proceeded to analyze it from a behavioral economics standpoint. As a result, the two applications had various functions and accurate information. However, user accessibility was low and focused on 'information deliv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기상이변 및 미세먼지 현상이 대두되면서 발생 가능한 문제의 대안으로 사용자들은 모바일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찾는다. 그러나 발전된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측오류 및 날씨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환경, 경제 등의 문제들은 기대한 만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덕스러운 날씨에 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는 요소를 모바일로부터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UX 전문가를 중심으로 닐슨의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원기날씨’와 ‘케이웨더’사례를 평가 분석한 뒤 취약한 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제품은 다양한 기능과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낮았으며, ‘정보전달’에 주 초점을 두고 있어 딱딱한 느낌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날씨 앱 실증연구시 사용자를 움직이는 적용방법의 효용성에 대한 단서를 얻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결과를 행동경제학 이론이라는 신선한 접근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기상이변 및 미세먼지 현상이 대두되면서 발생 가능한 문제의 대안으로 사용자들은 모바일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찾는다. 그러나 발전된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

      기상이변 및 미세먼지 현상이 대두되면서 발생 가능한 문제의 대안으로 사용자들은 모바일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찾는다. 그러나 발전된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측오류 및 날씨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환경, 경제 등의 문제들은 기대한 만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덕스러운 날씨에 대비를 철저히 할 수 있는 요소를 모바일로부터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UX 전문가를 중심으로 닐슨의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원기날씨’와 ‘케이웨더’사례를 평가 분석한 뒤 취약한 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제품은 다양한 기능과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에게 접근성이 낮았으며, ‘정보전달’에 주 초점을 두고 있어 딱딱한 느낌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날씨 앱 실증연구시 사용자를 움직이는 적용방법의 효용성에 대한 단서를 얻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결과를 행동경제학 이론이라는 신선한 접근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정미, "소비자는 합리적인 존재인가 - 행동경제학의 광고학 적용을 위한 개념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101-131, 2016

      2 김관용,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반영한 통행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 (20): 1-13, 2013

      3 송광석, "기상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이 이용자 만족과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5 (45): 93-116, 2017

      4 이완수, "‘이콘’(Econ)과 ‘넛지’(Nudge)의 결합: 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에 있어 행동경제학 개념과 이론 적용의 타당성" 한국언론학회 12 (12): 129-164, 2016

      5 S. A. Park, "User Behavior Analysis and Context Models for Mobile Weather Service" 2010 (2010): 442-444, 2010

      6 B. K. Seo, "Theoretical Approach of Behavioral Economics for Design Improvement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7 Y. S. Park, "The reason is that technology must use behavioral economics"

      8 Robert E. O'Connor, "Risk Perceptions, General Environmental Beliefs, and Willingness to Address Climate Change" Wiley 19 (19): 461-471, 1999

      9 Daniel Kahneman,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JSTOR 47 (47): 263-292, 1979

      10 Jeryl L. Mumpower, "Predictors of the perceived risk of climate change and preferred resource levels for climate change management programs" Informa UK Limited 19 (19): 798-809, 2015

      1 마정미, "소비자는 합리적인 존재인가 - 행동경제학의 광고학 적용을 위한 개념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101-131, 2016

      2 김관용, "누적 프로스펙트 이론을 반영한 통행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0 (20): 1-13, 2013

      3 송광석, "기상정보시스템 품질요인이 이용자 만족과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5 (45): 93-116, 2017

      4 이완수, "‘이콘’(Econ)과 ‘넛지’(Nudge)의 결합: 커뮤니케이션 효과연구에 있어 행동경제학 개념과 이론 적용의 타당성" 한국언론학회 12 (12): 129-164, 2016

      5 S. A. Park, "User Behavior Analysis and Context Models for Mobile Weather Service" 2010 (2010): 442-444, 2010

      6 B. K. Seo, "Theoretical Approach of Behavioral Economics for Design Improvement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7 Y. S. Park, "The reason is that technology must use behavioral economics"

      8 Robert E. O'Connor, "Risk Perceptions, General Environmental Beliefs, and Willingness to Address Climate Change" Wiley 19 (19): 461-471, 1999

      9 Daniel Kahneman,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JSTOR 47 (47): 263-292, 1979

      10 Jeryl L. Mumpower, "Predictors of the perceived risk of climate change and preferred resource levels for climate change management programs" Informa UK Limited 19 (19): 798-809, 2015

      11 D. Airely, "Predictably irrational" HarperCoollins. Publishing 2008

      12 N. Tomono, "Behavioral Economics" Jihyung Publishing 2007

      13 N. Y. Kim, "A proposal for life style information supply mobile application service shich utilizes weather information" Konkuk University 2009

      14 N. Jakob, "A mathematical model of the finding of usability probelms" 206-213, 1993

      15 J. Nielsen,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