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남지역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베이스(Data base) 구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9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퇴계학(退溪學)은 이미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탐구대상의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 현금의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퇴계학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심도있는 이해가 가능하기위해서는 퇴계는 물론 그의 제자들 사이에 이루어졌던 학문적 전승과 심화의 양상에 대해서도 진지한 성찰의 시각이 주어져야 할 것이었다.
      본 연구소에서 진행하였던 〈영남지역의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라는 중형과제는 바로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즉 퇴계 자신과 그의 일부 급문제자들에 대해서만, 그것도 주로 문헌자료에만 의존해 진행해왔던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하기위해 인물(人物), 문집(文集), 누정(樓亭), 서원(書院), 고문서(古文書)의 다섯 부문에서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퇴계학을 퇴계학맥이라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유기적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던 것이다. 인물, 문집부문에서 『도산급문제현록』을 중심으로 가능한 한 연구 대상을 폭 넓게 확보하고자 한 점이라든가, 특히 경북 동남부의 8개 지역에 있으면서 『도산급문제현록』에 등재된 인물을 봉안하거나 그 인물이 주도적으로 활동하여 건립 운영한 서원이나 누정을 현장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조사 검토한 누정, 서원 부문과 敎旨 敎牒 류는 물론 이두나 초서로 쓰여진 각종의 고문서들을 해독하고 원문입력과 데이터베이스화한 고문서 부문의 연구성과 등은 주변 영역을 아우르지 못했던 기왕의 연구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렇게 각 부문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DB 구축 작업을 통해 유기적 통합적으로 할용가능케 함으로써 연구계획 소기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문화에서 가장 심각한 위기 현상으로 지적되는 것이 독자적 콘텐츠의 부재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연구는 시기적절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퇴계학(退溪學)은 이미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탐구대상의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 현금의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퇴계학에 대한 포괄적이고...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특성으로 인해 퇴계학(退溪學)은 이미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탐구대상의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 현금의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퇴계학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심도있는 이해가 가능하기위해서는 퇴계는 물론 그의 제자들 사이에 이루어졌던 학문적 전승과 심화의 양상에 대해서도 진지한 성찰의 시각이 주어져야 할 것이었다.
      본 연구소에서 진행하였던 〈영남지역의 퇴계학맥과 그 문화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라는 중형과제는 바로 그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즉 퇴계 자신과 그의 일부 급문제자들에 대해서만, 그것도 주로 문헌자료에만 의존해 진행해왔던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하기위해 인물(人物), 문집(文集), 누정(樓亭), 서원(書院), 고문서(古文書)의 다섯 부문에서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퇴계학을 퇴계학맥이라는 커다란 흐름 속에서 유기적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하였던 것이다. 인물, 문집부문에서 『도산급문제현록』을 중심으로 가능한 한 연구 대상을 폭 넓게 확보하고자 한 점이라든가, 특히 경북 동남부의 8개 지역에 있으면서 『도산급문제현록』에 등재된 인물을 봉안하거나 그 인물이 주도적으로 활동하여 건립 운영한 서원이나 누정을 현장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조사 검토한 누정, 서원 부문과 敎旨 敎牒 류는 물론 이두나 초서로 쓰여진 각종의 고문서들을 해독하고 원문입력과 데이터베이스화한 고문서 부문의 연구성과 등은 주변 영역을 아우르지 못했던 기왕의 연구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렇게 각 부문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DB 구축 작업을 통해 유기적 통합적으로 할용가능케 함으로써 연구계획 소기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문화에서 가장 심각한 위기 현상으로 지적되는 것이 독자적 콘텐츠의 부재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연구는 시기적절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study of Toigye has settled down to be one of important objects of research on international level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o enable a comprehensive and profound understanding of such study of Toigye, the aspect of scholarly transmission and deepening realized among Toigye and his disciples should also be examined seriously.
      Progressed by this research institute, 'Construction of Data base on the Toegye School and their culture in the YoungNamregion', a mammoth task, began from such sense of problem. To get over the limit of existing research only of Toigye himself and some of his direct disciples and progressed depending mostly on literary sources, the study of Toigye has been examined organ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in the great stream of Toigye Scholarly Vein through a synthetic examination of five categories, character, collection of works, house and pavilion, lecture-hall and archaic texts. As for the category of character and collection of works, this study tried to secure the object of research as wide as possible centering around 'Dosangeupmunjehyeonnok'. As for the category of house and pavilion and lecture-hall, we enshrined those persons who lived in 8 regions of eastern and southern part of Kyeongbuk and whose names were registered on 'Dosangeupmunjehyeonnok', and investigated and reviewed empirically the lecture-hall or house and pavilion that such persons actively built and operated. As for archaic texts, we deciphered various archaic texts written in Idu or cursive style, as well as writ of appointment or board of document, input their original texts and completed database. These works could be of much help to get over the limit of existing researches that were unable to combine surrounding fields.
      Finding of such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s database enabling an organic and synthetic use of them. The desired end seems to be realized substantially. The lack of original contents is regarded and pointed out as the worst crisis in present culture. Taking it into account, this study might be well-timed.
      번역하기

      Currently the study of Toigye has settled down to be one of important objects of research on international level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o enable a comprehensive and profound understanding of such study of Toigye, the aspect of scholarly tran...

      Currently the study of Toigye has settled down to be one of important objects of research on international level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o enable a comprehensive and profound understanding of such study of Toigye, the aspect of scholarly transmission and deepening realized among Toigye and his disciples should also be examined seriously.
      Progressed by this research institute, 'Construction of Data base on the Toegye School and their culture in the YoungNamregion', a mammoth task, began from such sense of problem. To get over the limit of existing research only of Toigye himself and some of his direct disciples and progressed depending mostly on literary sources, the study of Toigye has been examined organ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in the great stream of Toigye Scholarly Vein through a synthetic examination of five categories, character, collection of works, house and pavilion, lecture-hall and archaic texts. As for the category of character and collection of works, this study tried to secure the object of research as wide as possible centering around 'Dosangeupmunjehyeonnok'. As for the category of house and pavilion and lecture-hall, we enshrined those persons who lived in 8 regions of eastern and southern part of Kyeongbuk and whose names were registered on 'Dosangeupmunjehyeonnok', and investigated and reviewed empirically the lecture-hall or house and pavilion that such persons actively built and operated. As for archaic texts, we deciphered various archaic texts written in Idu or cursive style, as well as writ of appointment or board of document, input their original texts and completed database. These works could be of much help to get over the limit of existing researches that were unable to combine surrounding fields.
      Finding of such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s database enabling an organic and synthetic use of them. The desired end seems to be realized substantially. The lack of original contents is regarded and pointed out as the worst crisis in present culture. Taking it into account, this study might be well-tim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